투표행위의 요체는 ‘위험과 호기심 사이의 줄타기’ 이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97년에 유권자들은 ‘김대중은 위험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때 김종필이 앞으로 나와서 ‘안보문제라면 내가 보증을 설께!’하고 방패막이를 자임하자, 위험은 급격하게 호기심으로 바뀌었다.
이회창에 대한 호기심은 ‘대쪽 사정을 해서 공무원 기강을 잡겠지’ 하는 정도였다면, 김대중에 대한 호기심은 ‘남북관계에 큰 변화가 일어날거야’하는 것이었다. 두려움은 어느 순간에 호기심으로 바뀌었고 김대중 대통령은 당선되었다. 이회창보다 김대중 대통령이 더 유권자의 호기심을 자극한 것이다.
2002년도 비슷했다. 노무현은 커다란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정치권에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 같은 기대로 유권자 가슴이 뭉클해졌다. 그러나 높은 지지율이 역풍을 일으켰다. ‘노무현 대통령을 통제할 수단이 없다.’는 거다. ‘재갈과 고삐가 필요해.’ 호기심은 급격히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그때 정몽준 안전판이 나섰다. 두려움은 다시 호기심으로 바뀌고 지지율이 복구되었다.
2007년에는 볼 것이 없다. 정동영은 호기심이라곤 불러 일으키지 못하는 매력없는 인물이었다. 정동영이 통일부 장관을 지냈지만 그에 따른 대북정책 호기심은 김정일이 핵개발로 말아먹었고, 노무현 대통령처럼 정치권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인물도 아니고, 뭐 이렇다 할 내세울 것이 없었다. 그냥 통나무다.
이명박은 확실히 정동영보다는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인물이다. 게다가 삼성, 현대 등 재벌이 잘 나가는 시대흐름과 맞아떨어졌다. 열등감과 노예근성에 찌든 기성세대는 ‘동북아 중심국가’의 비전보다 동남아에 성관광이나 하면서 우쭐대는데 더 흥미가 있었던 거다. 그쪽이 더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들은 여성부의 집창촌 철폐정책에 반감을 가졌던 거다.
지금 현재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인물은 박근혜다. 여성 정치인에다 박정희의 후광을 입었다는 사실만으로, 뭔가 대단한 일이 일어날 것만 같은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거기다가 별로 위험하지도 않다. 그러나 박근혜가 불러 일으키는 호기심은 막연하고 추상적인 것이다. 기껏해야 박근혜 중학생 때 수영복 사진이 어떻다 하는 유치하기 짝이 없는 호기심이다. 선거철이 다가올수록 후보자는 유권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막연한 호기심이 점점 구체화 되면서 흥미를 잃게된다. 대쪽 이회창의 막연한 신선감이 호화빌라와 병역회피로 구체화 되면서 흥미가 반감된 이치와 같다. 그런 사소하고 신변잡기적인 호기심은 수명이 짧다.
박정희 후광이 불러일으키는 향수도 일종의 호기심이다. 만화에 흔히 등장하는 장면 있다. 한물간 퇴물들이 심기일전하고 다시 돌아와서 옛 영광을 되살리는거 말이다. 조성민, 송진우, 구대성이 한화 노장군단을 부흥시킬지 모른다는 호기심 말이다. 그러나 그런 유치한 호기심은 수명이 짧다. 한물간 퇴물들 불러모으기 보다 젊은 신인 키우는게 훨 낫다. 어쨌든 이만수 코치가 삼성구장에 나타나서 팬들에게 인사하면 잠깐 박수는 받는다. 그 정도다.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등 세시봉 멤버들이 TV에 출연하여 그때 그시절 회고담을 늘어놓으면 반짝 시청률 상승하지만 그게 다다.
김대중 대통령이 불러 일으키는 호기심은 스케일이 다르다. ‘김정일 저 인간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궁금하다’는 거다. 그리고 615 정상회담을 통해서 한국인들은 김정일에 대한 호기심을 풀었다. 정상회담이 끝나서 호기심을 풀어버렸기 때문에 대북평화공존정책은 그다지 흥미있는 상품이 못되게 되었다.
김대중 - 김정일 저 인간 상당히 궁금하다.
박근혜 - 박근혜 수영복 포즈 상당히 궁금하다.
스케일의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이회창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이 호화빌라에 병역회피로 구체화 되면서 눈녹듯이 소멸했듯이, 박근혜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도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점점 유치하게 된다. 더 이상 흥밋거리가 아니다. 흘러간 박정희 시대 퇴물들 막연히 궁금해 하는 사람 있지만 그 이름이 구체적으로 거명되기 시작하면, 노친네들 TV에 나타나서 주접떨면 급식상으로 돌변한다.
그러나 유시민은 메가톤급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두 분 대통령 돌아가신 데 대한 심판이다. 지금은 아무도 그 이야기 꺼내지 않고 있지만, 선거날이 다가오면 점점 구체화 된다. 노무현 대통령은 확실히 뭔가 하나를 남겨두었고, 유권자는 의혹의 상자를 열어보고 싶어한다. 그때 청와대와 봉하마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가? 그때 검찰이 뒤로 누구의 사주를 받고 도무지 무슨 짓을 했던가? 파보면 뭐 나온다. 함 파보자. 다 까발리고 가자.
유시민 - 이명박 심판 굉장히 궁금하다.
손학규 - 손학규식 공감정치 굉장히 궁금하다.
결정적으로 손학규는 그 호기심이 없다. 과연 손학규 공감정치를 유권자가 궁금해 할 것이냐다. 전혀다. 전혀! 그렇다면 답이 나온 거다. 판별분석을 해 보면 이미 유시민이 박근혜를 앞질렀다. 지금 박근혜 30프로, 유시민 10프로 지지율이지만, 손학규, 한명숙 지지율 합치고, 군소정당 지지율 더하고, 박근혜 호남지지율 거품 빼면 거의 25 대 25 백중세로 볼 수 있다.
물론 유시민에게도 마이너스 요인이 있다. 그것은 두려움이다. 호기심이 어느 순간 두려움으로 돌변할 수 있다. 그때 후단협이 뜬다. 유권자들이 유시민을 통제할 수 있는가이다. 지금부터 유시민이 해야할 일은 변신하는 것이다. 유시민은 제멋대로 막 가는 인간이 아니고, 합리적으로 협상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 해서 유시민 본인이 ‘협상하자’고 나오면 이미지 까먹는다.
필자가 오래전부터 권력분할을 주장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유시민 본인이 ‘권력 나눠먹자’ 하고 아무나 하고 악수하고 다니고, 실실 웃고 다니면 이미지 망가지는 것이고, 밑에서 논객들이 자리 깔아줘야 한다. 유시민 본인은 입을 꽉 다물고 있더라도, 논객들이 권력분점 분위기를 띄워서, 유시민이 통제가능한 인물임을 보여줘야 한다. 두려움을 호기심으로 바꿔줘야 한다.
정치의 요체는 두려움과 호기심 사이의 줄다리기에 있다. 두려움이 크면 배척되고 호기심이 크면 소통된다. 두려움과 호기심은 동전의 양면이다. ‘통제가능한 두려움’이 호기심이다. 애초에 아무런 두려움을 불러 일으키지 못하는 인물, 그냥 사람좋은 인물은 가망이 없다. 먼저 커다란 두려움을 불러 일으키고 다음 그 두려움이 유권자의 손으로 통제가 가능함을 보여줘야 한다.
분위기는 점차 좋아지고 있다. 3년전 한국 유권자들은 부시와 틀어지고 김정일의 핵개발에 배신당해서 마음이 상해 있었다. 그때는 삼성, 현대라도 밀어서 우선은 살고봐야 한다는 절박한 생존의 위기감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달라졌다. 지금은 확실히 한국의 산업이 경쟁력을 입증했다.
G20만 봐도 그러하다. 적어도 경쟁력 면에서는 확실히 우리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다. 의식이 족해야 예절을 안다고 했다. 의식이 족한 만큼 예절을 찾을 때다. 의식은 생존이고 예절은 가치다. 박근혜의 생존논리를 유시민의 가치논리가 압도하게 된다.
서울 부동산값이 폭등하는 판에 잘못하면 중산층 대열에서 밀려날지 모른다는 두려움도 이제는 사라졌다. 보수는 두려움을 팔아서 먹고 살고, 진보는 호기심을 팔아서 먹고 산다. 지금 정치의 흐름은 두려움보다 호기심이 더 충만한 흐름으로 가고 있다. 지금 여야 할것없이 갑자기 진보를 외치고 있다. 이건 멋진 거다.
http://gujoro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