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휘센에어컨
내 글 댓글중에 어떤 여시가 잘 모르겠다고 해서 나는 그림고자니까
드라마속에 나온 조선시대 드라마 위주로 설명해드림
1. 가체머리
가체는 말 그대로 가발을 머리위에 얹는거.
가체는 삼국시대부터 사용했고 조선 영조때 까지 존재했어.
궁중에서는 영조 이후 가체를 사용하지 않았음.
아래 사진은 조선 초기의 가체 모양이야
우리가 평소 아는 것과 다른 이유는 조선 초기는 고려의 영향이 아직까지 남아있었기 때문에
ㅇ형태가 아닌 타원형태의 가체가 존재했음

이건 성종조를 다룬 드라마인데 약간 과도기적이지

그리고 중기로 오면서부터 이런 형태로 바뀌게 되는거

가체에는 떨잠이라고 해서 옥을 투각한 바탕에 금이나 칠보등으로 장식하게 되는데
아무나 떨잠을 얹을 수 없었고 대체적으로 품계가 낮고 신분이 낮은 후궁은
그 수가 제한되기도 했어. 후궁은 떨잠을 가체의 양 옆에 2개를 꽂고 왕후만이 맨 위
중간에까지 3개를 꽂을 수 있었는데 정1품 빈급에 올라선 후궁들은 맨 위에 꽂는 나비떨잠을
뒤집어서 꽂기도 했지.

왕후는 이렇게 3개 꽂는게 가능했어.
그런데 가체 사이로 빨간 공같은게 보이지? 그건 여염족두리라고 해.
하지만 저렇게 상시로 착용한게 아니라 여염머리라고 따로 하는 머리를 할때 착용했음.
2. 여염머리 (떠구지머리)


이런 머리를 여염머리나 떠구지머리라고 해.
왕후가 대례복인 원삼을 입을때 (왕후는 적원삼을 착용) 함께 하는 머리인데
가운데에 여염족두리를 얹고 맨 위에는 떠구지라고 하는 나무가발을 하나 더 얹었어.
왕실에서 어른(대비나 대왕대비)의 탄일(생일)때나 명절때 혹은 왕비가 잠실(누에치는 곳)에
행차할때 하는 의복착용이라고 해.
+ 추가
떠구지머리는 후궁도 했어. 후궁은 항상 떠구지머리를 한게 아니라 왕의 즉위식이나 국가 행사때
대례복인 원삼을 입으면서 하는 머리가 떠구지머리가 됨.
단, 왕후와 다른 점이 있다면 왕후는 적원삼을 입는다면 후궁은 품계에 따라 자적원삼(자주색), 홍원삼(분홍에 가까운)
원삼을 입고 공주와 옹주는 녹원삼을 입었어. 황원삼(노랑색)은 황실의 황후만 입는것이라고 해서 우리나라에
황원삼을 걸치신 분은 순종의 황후인 순정효황후 윤씨 뿐이었음.
3. 칠적관 머리

좀 특이하지? 조선초기부터 중기까지는 이런 칠적관을 착용했어.
물론 왕후에게만 해당되는데 왕후도 아무때나 이 칠적관과 적의를 착용한게 아니라
왕의 등극식, 왕후 책봉식, 왕세자의 책봉식, 왕세자의 대례(혼례) 등의 정말
중요한 '국가행사' 에만 이런 의복을 착용한 것.
원래 칠적관은 명나라에서 만들어 우리나라로 보내줬는데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가
쇠하면서 우리나라에 칠적관을 보내주는게 힘들어졌고 자연스레 우리 고유의 대례복이 발전해.
그 대례복이 바로.
4. 대수머리

왼쪽과 같은 대수가 발달하게 된거야. 대수가 만들어지면서 왕후가 착용하는 적의 또한
꿩의 무늬를 넣어 치적의로 발전하게 됨.
5. 첩지머리
가체가 영조 시대 이후로 궁에서 찾아보기 힘들어진 이유는 바로 사치풍조 때문인데, 가체는 사람의 인모를
쓰는만큼 당연히 비쌌고 엄청 무거웠어. 영조 조에 한 신료의 며느리가 가체를 더 많이 얹으려다 목뼈가 부러져
죽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영조는 사치를 금하기 위해 궁에서부터 가체를 퇴출시켰어.
그래서 가체를 대신하게 된 머리가 바로 이 소담한 첩지머리야.




6. 족두리 머리

족두리에 녹원삼을 착용할 수 있는건 공주나 옹주 뿐이었음.
혹은 왕후나 세자빈이 삼간택을 마친 후 별궁으로 들어갈때 착용하기도 함.
족두리는 원래 원나라(몽골)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고' 라고 했다고 해.
7. 화관머리

이런 머리인데 드라마와 달리 후궁이 착용하는 경우는 많이 읎슴.
게다가 이 드라마에서 한지민은 고작 상궁인데 상궁이 화관에 금박 의복에 봉황잠이면
저건 거의 왕후나 정1품 빈급 수준임. 말도 안됨 ㅋ....
화관 역시 공주나 옹주들이 많이 착용했다고 함.
이 정도만 알아도 조선시대 궁중머리는 80% 이상 알고있다고 해도 무방함돠
첫댓글 헐 나 이런 게시물 너무 좋아 하악항가
나..변태가 아니고 역사물 이런거 좋아한다는 거였음... 괜히찔려서씀
더이상 족두리가 아니게 됫....!
대수머리가 너무 컷......!
우왕 신기하다 난 첩지머리 너무 이쁜거같아ㅠㅠ쥰내이쁘당
우왕 신긔방긔 재밌엉!!!
역사물 보다보면 의복파괴에 식겁하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신기해.. 재미져..
아아아 이런글 너무 좋다~~^.,^ 많이 알아간다 언니 고마워~~♥
신기하다 !! 가채가 엄청 무겁구나 ㅠㅠ
이런거 좋앟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이런거진짜좋아!!!!!!!스크랩하구싶다ㅜ킁
우와 이런글 진짜재밌엌ㅋㅋㅋㅋㅋ
근데 나전부터 궁금했는데 머리에 플라스틱처럼 있는건뭐야?? 가체가 너무무거워서 그냥 드라마찍을때만 그플라스틱 모양 쓰는거야??
저기에 있는 떠구지머리 아니야? 원래는 나무가발인데 나무 무겁다고 요새는 제작을 플라스틱으로 하는 모양.
이뿌다 ㅋㅋㅋㅋㅋㅋ 난 첩지보단 가채머리가 더 좋아... 화려한게 좋드라...ㅋㅋㅋㅋㅋㅋ그래서 젤 좋은건 대수머리...ㅜㅜ진짜 멋잇고 위엄있어 보여
가체안쓴게 더 이쁘다 단아하고.. 첩지머리?? 우아해
우와 ㅋㅋ 안ㄷ그래도 궁금했었는데 ㅋㅋ
이런글 좋아......
삭제된 댓글 입니다.
고증 잘못한거 ㅇㅇ
우옹 유용해유용해 절읽었어언니얌 고마어
이병훈 저런 ㅉㅈ
문그녕 완전 애기였네ㅋㅋ 가체머리 너무 좋음ㅠㅠ
나 저 대수머리 너무 조음 너무 우아하고 럭셔리함 ㅠ ㅠ
문근영 ㅜㅜㅜ우쭈 이뻐 ㅜㅜ
이런 글 완전 좋아!!!!!!! 아는 것도 있었는데 처음 알게 된것도 많다! 진짜 다양하다ㅎㅎ
고마워 너무 유용하당 ㅠㅠㅠㅠㅠㅠ스크랩이..안되네 또르르.. 언니 그런데 떨잠같은 경우 일반 기생이나 양반집같은 곳의 여자들이 쓰는 것과는 다르게 구분해? 기생들은 화려하게 꾸미잖아 왕후는 세개 꽂을 수 있고 뭐 그런 법칙 없이 그냥 이쁜대로 꽂는건지 아니면 떨잠이라 부르지않고 기생들 꽂는 건 다른 종류로 구분되는지.. 궁그맿!!
기생들이 꽂는건 작은 비녀인 소잠일거야. 물론 문양은 왕후가 쓰는 봉황같은건 쓰면 안됨. 떨잠은 저 금 붙이들이 달랑달랑 거려서 떨잠이라고 하는데 지금 사극들이 많이 변형되서 너무화려하게 나오지 예전에는 그냥 가체에다가 꽃 꽂고 그랬다던데.
ㅎㅎ 검색하면 안 나와. 내가 한문을 끼워 맞춘거라. 그러니까 잠(비녀)은 잠인데 작은 비녀들을 가체 다른 부분에 꽂기도 했어. 그걸 나비나 꽃 같은 기녀들을 상징하는 모양으로 바꿨다고 보면 돼. 물론 왕실에서 사용하는 떨잠은 못 씀. 티비에 나오는거 다 믿으면 곤란함 ㅎㅎ...
이런 글 느므 좋아*-,.-* 흥미로워 흥미로워 ㅎㅇㅎㅇ
나도 이런거 너무 좋아해... 진짜 ㅠ 재밌게 봐썽
나 이런거 너무 죠아!!! 언니 글쓴거 다 보고있숨! 이런거 잘 봐놨다가 사극보고 틀린거 찾아낼때 뿌듯하당ㅎㅎ
언니 찜금지 풀면안대낭ㅠㅜㅠ
내용조아 담아노코싶어서
아! 가채가 아니라 가체였구나..
고려시대 가체가 더 위엄있어보인당
다 예쁘다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난 첩지머리가 젤좋다...ㅋㅋㅋㅋ진짜 소담하고 우아하고 이뻐...한복에 딱 잘어울리는듯ㅎㅎ
언니 진짜 짱인거같애 ㅋㅋㅋㅋㅋㅋ 유용정보 b
우와 짱이다ㅏㅏㅏ너무 이쁘다ㅋㅋㅋ
예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