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nta's happy helper
산타의 행복한 조력자
Dec 18th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Alan Hassenfeld is spreading an elfish spirit throughout the toy industry
알랜 하센펠드는 장난감 업계를 통해 요정의 정신/영혼을 전파하는 중.
“THERE will be toys under the Christmas tree this year,” says Alan Hassenfeld, as confidently as if he were Santa Claus himself. After a lifetime in the toy business, the chairman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board of Hasbro (short for Hassenfeld Brothers) has learnt not to worry too much about the impact of an economic downturn on his business. “The papers say everyone will get coal as presents this year,” he says, “but most parents—and grandparents—in difficult times will spend less on themselves to ensure their children are happy, especially in the holiday season. That is the import!ant leg-up toys have on almost all other retail items, except food.”
“올해에도 크리스마스 트리 아래에는 장난감들이 놓일 겁니다.”라고 알랜 하센펠드는 마치 자신이 산타 클로스인듯이 확신을 가지고 말한다. 이 Hasbro(하센펠드 형제의 줄임말이다)社 임원회의 위원장(인 알랜)은 장난감 업계에 평생을 투신한 이래, 자신의 비즈니스에 경기 침체가 끼칠 영향을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는 법을 배웠다. “신문에서는 올해 선물로 모두 석탄이나 받게 될 거라고 말합니다만, 힘든 시기의 대부분의 부모들 및 조부모들은 아이들이 행복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기 자신들에게 대한 지출을 줄입니다. 특히 홀리데이 시즌에는 말이죠. 그러한 점이 바로 장난감들이, 음식을 제외한 다른 모든 소매 상품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The numbers seem to bear him out, which may explain why Hasbro’s share price, though well below the all-time high it reached in August, is still up in a miserable year for the stockmarket. In America sales of toys grew by 10% a year during the recession of 1990-91 and by more than 3% in that of 2001. This year the growing popularity of “staycations”, in which people stay at home but behave as if they were away, is helping sales, especially of family-friendly board games (Hasbro owns Monopoly and Cluedo, among others). So too has the recent fall in fuel prices, which means that money that would have gone into the tank can be spent on gifts. Around 80% of Hasbro’s products are priced below $20, so the fuel/toy trade-off is a real one.
Hasbro의 주가가 비록 8월에 기록했던 전무후무한 최고치에는 훨씬 못 미치는 것이긴 하지만, 주식시장에 있어 최악인 올해 여전히 상승세인 이유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숫자들이 그를 지탱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1990-1991년 경기 침체를 겪었던 미국에서 그 한 해 동안 장난감 판매는 10% 성장을 기록했었고, 2001년의 경기 침체 때에는 3% 이상 성장했었다. 올해에는 사람들이 집에 머무르되 마치 어딘가 멀리에 나가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staycation"의 증가 추세가 장난감, 그 중에서도 특히 가족 중심적인 보드 게임 판매(Hasbro는 여러 보드 게임 중에서도 Monoloy와 Cluedo를 보유하고 있다)를 촉진하고 있다. 최근의 연료 가격의 하락 역시 장난감 판매를 촉진하고 있는데, 왜냐하면 연료 가격의 하락은 저장고에 들어갈 연료가 선물에 소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Hasbro 생산품의 약 80%정도가 20불 이하의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그래서 연료/장난감의 맞교환은 진짜이다(?).
“There is no industry with more opportunity than the toy industry,” says Mr Hassenfeld, who at 60 exudes a childlike enthusiasm for toys befitting someone whose family has been in the business for three generations. “As adults, we too often forget what it was to be a child,” he continues, before confessing, pretending to be half-serious, that “At times, the people at Hasbro believe they are elves. I also believe that toys come alive.” (Never mind that Hasbro is based in Rhode Island, rather than at the North Pole.) Among this year’s bestsellers is a “FurReal” robotic puppy called Biscuit, which he says is “as close to being real as you can get, except it doesn’t poo or eat expensive food.” Technological innovation is one reason why Mr Hassenfeld is so excited about the future, as is Hasbro’s increasingly effective extension of its toy brands such as Transformers, GI Joe and Littlest Pet Shop into new media, ranging from movies to the internet. A new partnership with Electronic Arts, a video-game firm, is already bearing fruit. Hasbro is no longer just about toys; it is also an entertainment and leisure company, says Mr Hassenfeld.
“장난감 산업보다 더 많은 기회를 기회가 있는 산업은 없습니다.”라고 60세임에도 3대째 장난감 업계에 종사해온 가족 내력에 걸맞게 장난감에 대해 아이들과도 같은 열정을 내뿜는 하센펠드는 말한다. “성인으로서 우리는 아이들이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너무나 자주 잊어버리곤 합니다.”라고 말하며 그는 이어서 다음과 같은 말을, 반쯤 진지한 척하면서, 고백한다. “때때로 Hasbro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엘프(요정)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장난감들이 살아있다는 것도 믿어요.” (Hasbro가 북극이 아니라 로드아일랜드주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은 신경 쓰지 말 것) 올해의 베스트셀러 가운데에는 비스킷이라 불리는 “FurReal" 로봇 강아지가 있는데, 이에 관해 그는 ”응아를 하거나 비싼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것만 빼고 최대한 실재에 가깝게“ 만든 것이라고 말한다. 기술적 혁신은 하센펠드씨가 미래에 대해 그토록 신나하는 이유 중 하나인데, 이는 Hasbro가 점점 더 Transformers, GI Joe 및 Littlest Pet shop 등과 같은 자사의 장난감 브랜드들을 영화서부터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으로 확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디오게임 회사인 EA와의 새로운 파트너십도 이미 열매를 맺고 있다. 하센펠드는 Hasbro가 더 이상 단지 장난감만을 다루는 기업이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및 레저 기업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The rise of consumerism in the emerging economies—the global slowdown notwithstanding—also represents a huge opportunity for the toy industry. Until recently most of the big toy companies had barely bothered with these countries, but that is changing. Toymakers have built retailing and marketing infrastructure, and the internet enables them to circumvent the limitations of old-fashioned domestic media and globalise brands such as Hasbro’s Star Wars and Transformer ranges. (This process has not been entirely smooth: Hasbro recently dropped its lawsuit against the Indian brothers behind Scrabulous, a popular online version of Scrabble, a case that was making the toy company look a lot like the Grinch.)
전지구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새로이 일어나는 경제에서의 소비주의의 등장 또한 장난감 산업에 아주 거대한 기회를 제시한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대형 장난감 회사들은 이러한 국가들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지만 이제 달라지고 있다. 장난감 메이커들은 소매 및 마케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고 인터넷은 이러한 업체들로 하여금 구식 국내용 미디어의 한계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Hasbro의 Star Wars와 Transformer ranges 처럼 자사의 브랜드들을 글로벌라이즈하고 있다. (이 과정이 완전히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Hasbro는 최근 Scrabble의 인기 온라인 버전인 Scrabulous를 만들었던 Indian brothers에 대해 제기했던 소송을 취하했는데, 이 사건은 Hasbro를 고약한 욕심쟁이 Grinch처럼 보이게 했었다.)
Since May, ensuring that Hasbro makes the most of these opportunities has been the day-to-day responsibility of Brian Goldner, the firm’s second non-family chief executive since Mr Hassenfeld gave up the post in 2003. He had run the firm he joined in a junior role in 1970 since 1989, following the unexpected death of his older brother. Now he is primarily a mentor to Mr Goldner, as well as the custodian of the firm’s culture and an elder statesman who is leading the effort to tackle two of the toy industry’s most pressing problems.
5월부터 Hasbro가 이러한 기회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하센펠드가 2003년 경영직을 그만둔 이래, 이 회사 사상 두 번째 비-가족 출신의 최고 경영자인 브라이언 골드너의 책임이 되었다. 하센펠드는 1970년 junior role로 입사했으며 1989년 그의 형의이 갑작스fp 사망한 이후부터 회사를 경영하게 되었다. 현재 하센펠드는 우선적으로 골드너의 멘터일 뿐만 아니라, 회사 문화의 후견인이자 장난감 업계를 가장 압박하는 문제들 중 두 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이끄는 원로이기도 하다.
These problems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during 2007, the industry’s annus horribilis, thanks largely to Hasbro’s fiercest and slightly bigger rival, Mattel, the maker of Barbie dolls. (When Mr Hassenfeld was running Hasbro he turned down an offer for his company from Mattel, not least because of the clash between Mattel’s aggressive culture and Hasbro’s more familial and philanthropic one.) A huge recall of Mattel toys, accompanied by headlines about deadly lead paint, resulted in an orgy of China-bashing as consumers and the press worried about the toy industry’s record of safety and labour practices.
이 문제들은 Hasbro에게 있어 가장 치열하면서도 덩치는 좀 더 큰 라이벌 상대인 바비 인형 메이커 Mattel社 덕분에 장난감 업계에 있어 최악의 해가 됐던 2007년에 많은 주목을 받았었다. (하센펠드가 Hasbro를 경영할 당시 Mattel로부터의 제안을 거절한 적 있는데, Mattel의 공격적인 회사 문화와 Hasbro의 보다 가족적이고 정스러운 회사 문화 간의 부조화가 주된 이유 중 하나였다) 치명적인 납 성분 페인트에 대한 헤드라인에 따른 Mattel 장난감들에 대한 엄청난 규모의 리콜이, 소비자들과 언론들이 장난감 업계의 안전 안내서와 노동 관행을 우려함에 따라 중국에 대한 배척 분위기의 만연이라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Shutting the sweatshops 노동 착취 공장의 문을 닫다
The attacks on China were unfair, insists Mr Hassenfeld, who is unapologetic about his belief that Chinese workers are essential if toys are to be affordable. Of the toys recalled in 2007, around 75% had design faults that originated in America (notably a flaw that resulted in small magnets being swallowed), rather than dodgy Chinese paint. The quality and labour practices of Chinese toy firms are improving fast: “China has changed,” he insists, though he concedes that enforcement is not yet as tough as its newest labour laws. Ironically, the economic downturn has helped by driving thousands of Chinese toymakers out of business. Most were small, domestically oriented firms that combined low cost, low quality and exploitation of workers, says Mr Hassenfeld. He is involved with an effort to create a global standard for the ethical manufacture of toys through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Toy Industries’ CARE Process. Enforcing stricter standards is good business as well as good ethics, of course, because it reassures customers and enables toymakers to continue outsourcing their manufacturing to China.
장난감들이 살만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선 중국 노동자들이 필수불가결하다는 믿음을 굳건히 갖고 있는 하센펠드는 중국에 대한 공격이 불공정했다고 주장한다. 2007년에 리콜된 장난감들 가운데 약 75%는 그 이상한 중국산 페인트의 문제라기보다는 미국에서 이루어졌던 디자인상의 잘못(자석들이 삼켜질 수 있는 결과를 낳았던 작은 흠/금)때문이었다. 중국의 장난감 회사들의 수준과 노동 관행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중국은 변하고 있어요”라고 말하는 하센펠드는, 비록 새로이 제정된 노동법 만큼 그 시행이 강력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시인하면서도 그렇게 주장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경기 침체가 수천개에 달하는 중국 장난감 제작사들이 폐업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하센펠드에 따르면 대부분의 중국 업체들은 저비용과 낮은 품질 그리고 노동자 착취가 결합된 소규모의 가내 기업형태다. 그는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Toy Industries’ CARE Process를 통해 장난감의 윤리적 생산을 위한 글로벌한 기준를 세우는 일에 참여하고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일들이 소비자를 안심시킬 뿐만 아니라 장난감 제조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생산 공정을 중국에 아웃소싱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Mr Hassenfeld calculates that at least 1.3m workers, around one-third of those employed in Asia by the industry, are covered by the CARE Process, which is policed by toymakers and NGOs. As a result, he says, “I’m not so worried about child labour any more. You see it less and less, because firms know that if they are found employing children they immediately lose their certificate of compliance.” Here’s hoping he is right.
하센펠드는 아시아에서 장난감 업계에 고용된 노동자 중 약 1/3 가량인 최소 1백3십만명이 장난감 제조회사와 NGO들이 관리하는 CARE process의 혜택을 받고 있다고 본다. 그 결과, 그는 “아이들의 노동에 대해 더 이상 그렇게 고민하지 않아요. 아동의 노동은 앞으로 점점 줄어들 겁니다. 왜냐하면 장난감 회사들은 만약 자신들이 아이들을 고용하는 것을 들키게 되면 즉시 certificate of compliance(적합증명서 -> 아마도 International Council of Toy Industries’ CARE Process에서 발행하는 문서인 듯)를 잃게 될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한다. 그가 옳기를 바래본다.
첫댓글 해석을 올리실 때는 아래의 내용에 해당하는 타이틀과 부제목도 함께 올려주세요. Economist기사는 모두 각자의 카테고리가 있기 때문에 카테고리를 알려주는 것이 읽는 사람에게는 중요한 것 같습니다. Face value Santa's happy helper Dec 18th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