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와 작대기 짐을 실은 지게에 작대기가 없으면 어떻게 지탱할까요. 유명한 맨발의 인도 전도자 ''선다 싱(Sundar Singh)'' 이 히말라야 산길을 걷다가 동행자를 만나서 같이 가는 도중에 눈 위에 쓰러져 있는 노인을 발견했습니다. ''선다 싱''이 제안을 합니다. “여기에 있으면 이 사람은 죽으니, 함께 업고 갑시다.” 그 말에 동행자는 이렇게 대꾸합니다. “안타깝지만 이 사람을 데려가면 우리도 살기 힘들어요.” 동행자는 그냥 가버렸습니다. ''선다 싱''은 하는 수 없이 노인을 등에 업고 얼마쯤 가다 길에 죽은 사람을 발견하였습니다. 그 사람은 다름 아닌 먼저 떠난 동행자였습니다. ''선다 싱''은 죽을 힘을 다해 눈보라 속을 걷다 보니 등에서는 땀이납니다. 두 사람의 체온이 더해져서 매서운 추위도 견뎌낼 수가 있었습니다. 결국 ''선다 싱''과 노인은 무사히 살아 남았고, 혼자 살겠다고 떠난 사람은 불귀의 객이 되었습니다. 사람을 가리키는 한자 '人'은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댄 형상이고. 나와 등을 맞댄 사람을 내치면 넘어진다는 것이 人의 이치입니다. 그렇게 서로의 등을 기대고서 살아가는 것이 바로 사람살이죠. 히말라야의 동행자는 그것을 잊고 행동하다 자신의 생명마저 잃어버린 것입니다. 훗날 어떤 이가 ''선다 싱''에게 물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위험할 때가 언제입니까?” '선다 싱'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지고 가야 할 짐이 없을 때가 인생에서 가장 위험할 때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짐이 가벼워지기를 바라지만 그때가 위험하다는 것이 ''선다 싱''의 일침입니다. 먼 바다를 떠나는 선박도 항해를 시작하기 전 배의 밑바닥에 물을 가득 채웁니다. 배의 전복을 막기 위해 채우는 바닥짐(ballast)입니다. 우리 인생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나와 등을 맞댄 그 사람 덕분에 넘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힘들게 하는 존재가 삶의 항해를 지켜 주는 바닥짐입니다. 손해보는 것은 참을 수 있지만 이치에 안 맞는 것은 두고 볼 수 없습니다. 서로에게 따뜻함을 주는 복된하루가 되시길 기도합니다 -받은 글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지게와 막대기
별노래
추천 0
조회 88
24.11.16 10:08
댓글 4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
첫댓글 좋은글 감사히 봅니다
서로에게 힘을 주는 일이 많아야 아름다운 세상이 되겠지요
좋은글 & 음악 즐감합니다
좋은 글 읽으니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멋진 음악 들으려면 컴퓨터앞에 자주 오래 머물듯 합니다
9번 늑대와 춤을 먼저 들었어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생각나요 장작불을 끄고 이동한 후에 군인들이 와서 곧 추격하게 되는 장면으로 ......그들은 멸망하였을까요?살아남았을까요?
슬프고도 아름다운 음악.늑대도 보고싶고.
가을엔 이 마음도 단풍들고파 오늘 고향으로 화가친구 전시회 구경갑니다
-고마아트센터--로
정성스러운 댓글을 달아주셨는데 답글이 늦었습니다
늑대와춤을 OST 저도 좋아하는음악 입니다 30년도 더 지난 영화를 잘 기억하고 계시네요
그만큼 감동깊은 영화라고 저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첫눈소식도있고 많이 차거워졌네요 따뜻하게 보내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