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 // 인과응보 ,악업악보, 선업선보
허공 중에서도 바다 가운데서도
또는 산 속 동굴에 들어갈지라도
악업의 갚음에서 벗어날
그런 장소는 어디에도 없다.
[법구경]
몸으로 말로 생각으로 지은 악업은
반드시 그 결과를 받고야 만다.
악업을 짓고 선업을 다시 지었다고
악업이 상쇄되는 것이 아니다.
한 번 지은 악업은 반드시 그 결과를 받고 나서야 사라진다.
악업의 결과에서 벗어날 곳은 이 세상 그 어디에도 없다.
그렇다면 왜 불교에서는
수행을 통한 업장소멸을 설파하는 것일까.
언뜻 보기에 이 게송과 업장소멸은 어긋나는 것 처럼 보인다.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는 소금물의 비유를 설하고 계신다.
한 움큼의 소금을 한 잔의 물 속에 넣으면
그 물은 짜서 마실 수 없게 되지만,
그것을 큰 그릇에 넣으면 마실 수 있는 물이 된다.
잔 속에 넣은 소금의 양과
큰 그릇 속에 넣은 소금의 양은 동일하지만,
물의 양에 따라 마실 수 있는 물이 되기도 하고,
마시기 힘들만큼 짠 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거에 악업을 지어 놓았다고 하더라도
그 업을 기계론적이나 결정론적으로
반드시 나쁘게 받아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즉, 악업을 지었더라도
그 뒤에 선업을 많이 짓거나,
수행을 통해 마음을 닦아
죄가 본래 공함을 깨닫게 되면
악업에 대한 과보를 나쁘지 않게 받을 수도 있다.
즉, 과거에 어떤 업을 지었느냐가
내 삶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
오직 지금 이 순간 내 의지에 따라
자신의 삶과 운명을 자신 스스로
변화시키고 개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업보(業報)의 ‘보’는 ‘다르게 익는다’는 의미다.
업에 따라 결정론적으로 보를 받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과거에 지은 업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생생한 내 삶의 모습에 있다.
--- 법상 ---개와 고양이 사이
출처: 나라중심 원문보기 글쓴이: 47대단군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