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치숙성중 숙성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NDMA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과 또한 in vitro에서 온도, pH 및 소금농도가 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연구하였다. 배추김치를 저온 냉장온도( )와 실온 ( )에서 6주간 숙성할 때 아질산염과 DMA의 함량변화는 실온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으나 저온 냉장 온도에서는 숙성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하였고,NDMA의 최대 생성량도 으로 저온 냉장 때 보다 약 18배 이상 더 많이 생성되었다. 김치 숙성 중 아질산염과 DMA의 함량변화와 NDMA의 생성량과는 관계가 없었으나 pH의 변화는 NDMA 생성량과 같은 관계가 있어 김치 숙성 중 가장 낮은 pH 4.0 부근에서 NDMA의 생성량도 가장 높았다. in vitro 시험에서 NDMA의 생성량은 저온보다는 실온에서 그리고 pH가 낮을수록 더 많이 생성되었고 그 생성량은 온도보다는 pH의 영향이 더 컸다. 보통 소금농도(2.5%)의 김치와 낮은 소금농도(1.5%)의 김치를 각각 숙성할 때 NDMA 의 생성량 변화는 보통 소금농도에서는 숙성기간동안 큰 변화 없이 일정하였고 최대 생성량도 으로 낮았으나, 낮은 소금 농도에서는 3주째 최고 생성되었다. in vitro에서도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NDMA의 생성량도 낮았다.
The effect of ripening temperature, pH and salinity on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N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n vitro was studied,
respectively.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r six weeks at cold storage
temperature (
) and room temperature (
), the contents of nitrite and dimethylamine (DMA) showed variation at room
temperature but no variation at cold storage temperature. The maximum generation
of nitrosodimethylamine (NDMA) resulted low content (
) at cold storage temperature but started to increase after one week
fermentation and reached to the 18-fold higher generation (
) at room temperature. During Kimchi fermentation,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variation of nitrite and DMA content and the generation of NDMA.
However, pH showed effective relation to NDMA generation such as the highest
NDMA generation was obtained at lowest pH 4. During in vitro test, higher
temperature and lower pH resulted more NDMA generation and generation amount was
affected more by pH. Also, the salinity of Kimchi provided inhibitory effects on
the formation of NDMA. NDMA was produced
at normal salinity (2.5%) but
at lower salinity (15%) after three week. The higher salinity showed lower
formation of NDMA in vitro test, to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