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왕과 죽엽군(竹葉軍)
제 13대 미추임금은 김알지의 7대손으로 대대로 현달하였고 성덕이 있었으므로 첨해왕의 자리를 물려받아 비로소 왕위에 올랐다. 보위에 오른 지 23년 만에 세상을 하직하였는데 능은 홍륜사의 동쪽에 있었다.
제14대 유례왕 때에 이서국의 사람들이 공격을 하여 왔다. 신라에서는 군병을 동 원하여 막으려고 했으나 장기간 대적할 수는 없었다. 그 때 이상한 군사가 나타나 도 와주었는데 모두 댓잎을 귀에 꽂고 있었다. 그리고 신라의 병사와 힘을 합쳐 적을 멸하였다.

<전미추왕릉>
적의 잔병이 물러간 후에 그 이상한 병사는 어디로 갔는지 알수가 없었다. 다만 대나무의
잎이 미추왕의 능앞에 쌓여 있음을 보고 그제서야 선왕이 음덕으로 도와주었 음을 알았는데, 이로부터 이 능을 죽현능이라고 하였다.
제 37대 혜공왕 때인 대력 14년(779년)4월에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김유신공의 무덤에서 일어났다. 그 속에 한 사 람은 준마를 타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장군과 같았다. 그리고 갑주를 입고 무기를 든 40여명의 군사가 그 뒤를 따라서 죽현능으로 들어갔다. 조금후에 능 속에서 우는 소리 가 들리듯하고 통곡을 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 호소를 하는 말에, "신은 평생에 난국을 구제하고 삼국을 통일한 공이 있었습니다. 나라를 진호(鎭 護)하여 재앙을 없애고 환란을 구제하는 마음은 잠시도 변함이 없습니다. 지난 경술년 에 신의 자손이 아무런 죄도 없이 죽음을 당하였으니 다른 곳으로 멀리 가서 다시는 나라를 위하여 힘쓰지 않으렵니다. 왕께서 허락하여 주십시오." 왕이 대답하기를
"공과 내가 이 나라를 지키지 않는다면 저 백성들은 어떻게 해야 된다는 말이오.
아무 소리 말고 그전처럼 힘써 주시오."
김유신이 세 번을 청하였으나 왕은 세 번 다 허락하지 않으니 회오리 바람은 이 내 돌아갔
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두려워하여 대신 김경신을 보내어 김공의 능에 가서 사죄를 하고 공덕보전(功德寶田) 30결을 취선사에 내리어 명복을 빌게 하였다.

<전김유신장군묘>
미추왕의 혼령이 아니었더라면 김유신공의 노여움을 막지 못했을 것인즉, 나라의 사람들이 그 덕을 기리며 삼산(三山)과 함께 제사지내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서열을 오릉의 위에 두어 대묘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