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 十 萬 章 章 句 下 (권지 십 만장 장구 하)
3 柳下惠 (우하혜) 는 , 不羞 汙君 (불차 오군) 하며, 不辭 小官 (불사 소관) 하며,
1 5 4 2 3 4 3 1 2
進不 隱賢 ( 진불 은현) 하야, 必以 其道 (필이 기도) 하며, 遺佚而 不怨
1 4 3 2 1 4 2 3 1 4 2 3
(유일 이 불원) 하며, 阨窮而 不憫 (액궁 이 불민) 하며, 與 鄕人 處
1 2 4 3 3 1 2 4
(여 향인 처) 하되, 由由 然 不忍 去也 (유유 연 불인 거야) 하여,
1 2 3 6 4 5
爾爲 爾 (이위 이) 오, 我爲 我 (아위 아) 니, 雖 袒裼 裸裎於 我側
1 3 2 1 3 2 1 5 6 4 2 3
(수 단석 라정어 아측) 인들, 爾焉 能浼 我哉 (이언 능매 아재) 리오하니,
1 2 3 5 4
故 (고) 로 , 聞 柳下惠之 風者 (문 유하혜지 풍자) 는, 鄙夫 寬 (비부 관) 하며,
1 6 2 3 4 5 1 2 3
薄夫 敦 (박부 돈) 하니라.
1 2 3
解釋 유하혜는, 더러운 임금을 섬기기를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며,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아니하며, 나아가서 어짐을 숨기지 아니하여, 반드시 그 도로 써 하며, 버림을
받아도 원망하지 아니하며, 막히고 곤궁하여도 근심하지 아니하며, 마을 사람과 함께
있어도, 너그러운 태도로 태연하여 차마 떠나가지 못하여, 너는 너이고, 나는 나이니,
비록 나의 곁에서 웃통을 벗고 벌거 벗은들, 너가 어찌 능히 나를 더럽힐수 있으리오 하니,
그러므로, 유하혜의 가르침을 들은 사람은, 완고한 사람은 너그러워 지며, 경박한 사람은
두터워지느니라.
字解 柳下惠(유하혜) 不: 아닐 불. 羞: 부끄러울 수. 汙: 더러울 오.
君: 임금 군(임금을 섬기다란 뜻) 不: 아닐 불. 辭: 사양할 사. 小: 작을 소. 官: 벼슬 관.
進: 나아갈 진. 不: 아닐 불. 隱: 숨을 은. 賢: 어질 현. 必: 반드시 필. 以: 써 이.
其: 그 기. 道: 도 도. 遺: 버릴 유. 佚: 편안할 일 (받아들이다란 뜻)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不: 아닐 불. 怨; 원망할 원. 阨: 막힐 액. 窮: 곤궁할 궁.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不: 아닐 불, 憫: 근심할 민. 與: 더불 여, 함께 여.
鄕: 시골 향. 고향 향 .마을 향. 人: 사람 인. 處: 있을 처. 由; 말미암을 유.
由; 말미암을 유. 然: 그러할 연. 由由然(유유연): 너그러운 태도로 태연하다란 뜻.
不: 못할 불. 忍: 차마(못)할 인. 去: 떠나갈 거. 也: 어조사 야. 爾: 너 이.
爲: 될 위 (이다란 뜻) 爾: 너 이, 我: 나 아. 爲: 될 위(이다란 뜻) 我; 나 아.
雖: 비록 수. 袒: 웃통벗을 단. 裼: 웃통벗을 석 裸: 벌거벗을 라.
裎: 벌거벗을 정. 於: 어조사 어 (~에서란 뜻) 我: 나 아. 側: 곁 측.
爾: 너 이. 焉: 어찌 언. 能: 능할 능. 浼: 더러울 매. 我: 나 아. 哉: 어조사 재.
故: 까닭 고 (그러므로란 뜻) 聞: 들을 문.(배우다란 뜻) 柳下惠(우하혜) 之: 어조사 지.
風: 모양풍 가르칠 풍. 者: 사람 자. 鄙: 인색할 비, 더러울 비, 완고할 비.
夫:지아비 부, 사내 부 (사람이란 뜻) 寬: 너그러울 관. 薄: 엷을 박.
夫:지아비 부, 사내 부 (사람이란 뜻) 敦: 두터울 돈.
4 孔子之 去齊 (공자지 거제) 에, 接淅 而行 (접석 이행) 하시고, 去魯 (거노) 에,
1 2 4 3 1 2 3 2 1
曰 遲遲 (왈 지지) 라, 吾 行也 (오 행야) 여 하시니, 去 父母 國之 道也
1 2 3 1 2 3 1 2 4
(거 부모 국지 도야) 라, 可以 速則(而) 速 (가이 속즉(이) 속) 하며, 可以 久則(而) 久
1 2 3 4 5 1 2 3 4 5
(가이 구즉(이) 구) 하얏. 可以 處則(而) 處 (가이 처즉(이) 처) 하며, 可以 仕則 仕
1 2 3 4 5 1 2 3 4 5
(가이 사즉 사) 는, 孔子也 (고자야) 시니라.
6
解釋 공자께서 제 나라를 떠나가심에, 물에 담갔던 쌀을 건져서 가시고, 노 나라를 떠나심에,
말씀하시기를 더디고 더디어라, 나의 갈 길이여 하시니, 부모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
이니라, 빠르게 하면 곧 빠르게 하고, 오래할만 하면 곧 오래 하며, 가히 써 숨어 살만
하면 곧 숨어 살고, 벼슬을 할만하면 곧 벼슬을 하신것은, 공자이시니라.
字解 孔子(공자) 之: 어조사 지. 去: 떠나갈 거. 齊: 제 나라 제. 接; 이을 접 (담가서란 뜻))
淅: 쌀일 석 (적미수야로, 물에 담근 살을 건지다란 이란 뜻)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行: 갈 행. 去: 떠나갈 거. 魯: 노 나라 노. 曰: 말할 왈. 遲: 더딜 지. 遲: 더딜 지.
吾: 나 오. 行: 갈 행 (발 걸음을 뜻함) 也: 어조사 야. 去: 떠날 거. 父: 아버지 부.
母: 어머니 모. 國: 나라 국. 之: 어조사 지. 道: 도리 도. 也: 어조사 야.
可: 가히 가. 以: 써 이. 速: 빠를 속. 則: 곧 즉. (而) 速: 바를 속.
可: 가히 가. 以: 써 이. 久: 오래 구. 則: 곧 즉.(而) 久: 오래 구.
可: 가히 가. 以: 써 이. 處: 살 처 (숨어 살다란 뜻) 則; 곧 즉.(而)
處: 살 처 (숨어 살다란 뜻) 可: 가히 가. 以: 써 이. 仕: 벼슬 사.
則: 곧 즉. 仕: 벼슬 사. 孔子(공자) 也: 어조사 야.
接淅(접석)은: 물에 쌀을 담가서 일어서 건지다란 뜻.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