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명언
겸손은 사람을 머물게 하고,
칭찬은 사람을 가깝게 하고,
넓음은 사람을 따르게 하고,
깊음은 사람을 감동케한다.
- 목민심서 (정약용)-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
다산은 조선후기 사람으로 개혁의지를 갖고 있는 정조 임금의 신임을 받고 정사에 몰두하며 정치, 과학,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능력 있는 목민관으로써 최선을 다합니다.
그러나 정조가 승하하자 남인, 북인, 노론, 소론이라는 사색당파싸움의 희생양이 되어
전라남도 강진으로 귀양살이를 떠나며..
유배 생활은 무려 18년간 지속 됩니다.
그는 긴 유배생활동안에 한 번도 남을 원망하는 일이 없이 나라를 구하는 길은 백성들을 깨우치는 일이라며 저술 활동에 몰입합니다.
'국가와 나' 나라가 있기에 나도 존재한다는 굳은 신념을 가지고
'목민심서'를 비롯해 155권이라는 역작들을 저술한 것입니다.
그것도 붓글씨로 만든 점을 생각할 때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산은 젊은 시절 서울의 창동 집에서 그의 형 정약전과 함께 살면서
과거시험 준비를 하였습니다.
그 때 문간방에 살고 있는 목수가 자신이 발명한 솜틀기계로 많은 재산을 모아 그 발명 댓가로 거금을 건내 주자, 한사코 거절하였고,
부인까지도 절대 받으면 안 된다고 타이른 것을 보면 그의 청렴도는
오늘의 목민관들에게 귀감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산이 지은 목민심서 48책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산의 애민(愛民)사상을 6등급으로 구분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 올바른 복지정치,
첫째가 양노(養老)에 두고 올바른 정치는 노인들이 안락하게 살아갈 수 있고,
둘째는 유아(幼兒)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며,
셋째는 장애인 병자, 홀아비, 과부 즉 사궁지수를 꼽았으며,
넷째는 가난한 백성,
다섯째는 상가(喪家)백성,
마지막으로는 재난당한 백성을 돕는 것으로
애민(愛民)사상을 베풀고 실천하는 삶을 산 것이다.
다산 정약용의 시련
1800년, 정약용이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힘이 되어준 정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후 조정에서 권력을 잡은 세반대파를 내치기 위해
조선의 유교 이념과 많이 다르다는 이유를 들어
1801년 천주교 박해를 시작했습니다.
이때를 [신유박해]라고 하며
많은 천주교 신자가 순교했습니다.
한때 천주교를 접했던 정약용 역시
전라남도 강진으로 유배를 가야만 했습니다.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학문연구에 몰두하였고
500여권의 책과 2500여 수의 시를 지었습니다.
1818년, 18년의 귀양살이를 끝내고
고향에 돌아온 후에도 그는 꾸준히 학문을 연구하며
책을 펴냈고, 1836년이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
[영상 음악] 속세를 떠나/다산 정약용 시, 임긍수 작곡/소프라노 임청화 photo by 김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