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일전에 게소문에 올라왔던 글인데, 26일자로 새로운 댓글이 많이 달렸기에 가져왔습니다^^;;
갈수록 높아만 지는 삼성과 LG. 그리고 자국 전자기업에대한 진지한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한국거는 싸구려..김치.. 기술 빼돌린다..일본에서는 한국게 안팔리니까 전세계사람들이 속고있다...등등
계속50년간 이런 생각 가져야 할텐데... 몇명은 좀 정신 차릴라고 하네요..
--------------------------------------------------------------------------------
【발언】「삼성(삼성)·LG하지만 일본 기업을 뽑은 것은 매우 충격적」…하타무라 도쿄대학 교수(중앙 일보)[09/09/23]
1 :의뢰@태풍 0호φ ★:2009/09/26(토) 00:57:02 ID:???
실패학의 창시자, 하타무라양타로·도쿄대학 명예 교수는 22일, 삼성(삼성)이나 LG 등 한국 기업의
약진에 대해 「일본을 추월한 것은 충격적」이라고 평가했다.
하타무라 교수는 이 날, 여의도(여의도) 테욘빌로 열린 능률 협회 컨설팅 초대 특강으로
「이번 경제위기는 과잉 기능을 가지는 과잉 품질의 물건을 과잉 생산한 것으로 발생했다」라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예에 자동차와 휴대 전화, 액정 분야를 올렸다.하타무라 교수는 「개인적으로 전화와 메일 기능이 있으면
휴대 전화는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컴퓨터나 음악 감상, 카메라 기능까지 있는 휴대 전화가 나와 있다」라고 해
「정말로 이런 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라고 지적했다.
하타무라 교수는 「일본에서 생산하는 자동차의 70%를 외국에서 사용하는 상황은 비정상적」이라고 해 「이러한
무역 건국 구조로부터 빠져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삼성의 경영전략을‘실패 학문적 패러다임(paradigm)'로 성공예에 선택했다.하타무라 교수는 「삼성의 전략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을 모방하는 것을 20년전에 그만둔 것.일본은 큰 물고기를 한 번에 많이 낚시하려고 했지만,
삼성은 작은 물고기가 많이 있는데 가려고 생각을 바꾸어 이것을 실천으로 옮겼다」라고 해, 「그 결과, LG와
삼성이 몇개의 분야를 제외하고, 많은 분야에서 일본을 앞질러, 세계 시장에서 쉐어 1위가 되어 있다.매우
충격적인 결과다」라고 말했다.
하타무라 교수는 「일본에서는 절대적 품질이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생각해 고가격으로 품질이 좋은 단일 제품을 생산했다.
삼성은 이러한 제품인 만큼 구애되지 않고, 각지역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제품을 판매했다」라고 분석해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디지털화이며, 일본은 같은 디지털화를 해도 삼성과 같이는 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실패학에 관해서는 「실패를 통해서만 진짜 과학적 이해를 할 수 있다.용서되지 않는 실패는 같을 어리석음을 반복한다
경우만이다」라고 강조했다.모든 실패를 부끄럽다고 생각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그것이 모든
실패를 부르는 것이다.
하타무라 교수는 「기업에서 정보 전달은 상위 조직을 통과할 필요가 있지만, 실패한 정보는 위에 전해지지 않고 고립하고 있다」
(으)로 해 「실패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기업 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어, 이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총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소스:중앙 일보 (2009/09/23)
http://japanese.joins.com/article/article.php?aid=120774&servcode=300§code=320 [새창에서 열기]
ID:Gq+8OeTA
일본인 평균 월급은 37만엔
http://www3.nhk.or.jp/news/k10015704781000.html# [새창에서 열기]
한국인 평균 월급은 13만엔
http://www.wowkorea.jp/news/Korea/2009/0527/10057882.html [새창에서 열기]
한국은 정말로 후진국이군요...
ID:Gq+8OeTA
★1 인당 금융 순자산이 154만엔 밖에 없는 한국인 wwwwww★
http://www.chosunonline.com/news/20090915000008 [새창에서 열기]
2009해의 통계청에 의한 추정 인구(4875만명)으로 단순하게 계산하면,
일인당 자산은3745만원( 약279만엔), 일인당 부채는1679만원( 약126만엔)
그리고, 차감2066만원( 약154만엔)의 순금 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계산이 된다
부채를 제외한 일본인의 개인 자산은 약1,092조엔, 단순평균으로 일인당 약865만엔입니다.
http://www.ne.jp/asahi/ma/ru/bigban/shisan.html [새창에서 열기]
일본인 금융 순자산 865만엔
한국인 금융 순자산 154만엔 wwwwwwwwwwwwwwwwwwwwwwwwwwwww
ID:Gq+8OeTA
왜, 일본은 경제 세계 2위의 선진국인데
한국은 선진국이 될 수 없는 쓰레기 국가입니까?w
1 인당 GDP
일본 3만 8000 달러
한국 1만 6000 달러
2배 이상의 차이로 일본의 압승 ww
한국인의 가치는, 일본인의 반이하 www
식민지 후진국 한국원숭이 www
한국, 1인당의 GDP1만 6000 달러대, 2년 연속 하락 (동아일보)
http://japanese.donga.com/srv/service.php3?bicode=020000&biid=2009070975888 [새창에서 열기]
금년 1인당의 국내 총생산(GDP)은, 04년 이후, 가장 낮은 1만 6000 달러대에
침체해, 5년전의 수준에 돌아올 전망이다.작년에 이어,
금년도 1인당의 GDP가 줄어 들어, 2년 연속 하락한다고 보여져
통화 위기 당시의 1997년, 1998년 이래 첫 일이다.
ID:MimweEe4
가격이 높은 것보다 싼 것이 잘 팔린다
단지 그것뿐
ID:0BtA3cE3
한국에 졌다
큰 일이다
ID:l1MhFHp6
코스트 경쟁으로 지고 있기 때문.
ID:xIv6EL2K
한국 기업이 일본을 추월한 것은 몇개의 분야에서는 사실
ID:WtN0GELL
수출 기업이 무너져 가고 있어! 토요타도 10년 후에는 위험해질것같은 예감
대기업의 감세와 기초 기술에 세금을 투입하지 않으면 진짜로 실업자가 증가할거야!
ID:EDcMfJw7
삼성이라고 매상 세계 랭킹에서는,GE, 히타치, 파나소, 소니, 토시바의 다음 정도?
ID:ENaDogFs
삼성이나 LG는 세계에서 팔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요?
내가 가지고 있는 LG의 구형TV는 지금도 멀쩡한걸
동시기에 산 소니망가졌어
최근 산 샤프의 HD레코더도 망가졌어요
일본제는 비교적 망가지기 쉬워
ID:M9r4E+kG
확실히 상품개발력은 굉장해, 일본보다 진지하게 시장을 연구하고,
시장에 맞춘 상품을 전개하고 있다.
가격도 무기이겠지만, 더이상 그 정도 만으로는 설명할수 없어
ID:So96I4GL
세계에서 팔리고 있다고 말하면 일.미.유럽에서 전부 팔리고 있다는 이미지가 있어.
ID:uqlAItnA
LG의 HD레코더(LG에서 레코더도 만드나요?)가
소니제보다 괜찮았던 것은 사실이예요,
ID:NJMeVKQM
국내에서 비싸게 팔고, 해외에서 덤핑하기 떄문에, 이기는거야
ID:yvdqK8/F
삼성도 LG도 외국에서 노력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가짜 브랜드 취급이야
ID:k+QmuxiW
일본은 현실을 인정하세요
ID:rvRBg30n
-싸움에 진 개 근성이다w
ID:r8KxCaWQ
한국에서는 삼성 사원 이외는 범죄자
ID:nn5rDwSM
역시, 40대 정년제로 하지 않으면 원가 경쟁에서 이길 수 없는 것인지···.
ID:DccK8Vfy
일본의 제조업은 비참하구나 w
ID:chvgSuL4
일본은 메이커 너무 많아
규격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큰 일
ID:wY/PzgH3
제조업이 개발 도상국등의 저임금인 나라로 발전해가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부터는 실물보다 소프트(지식)의 문제가 된다.
ID:wY/PzgH3
확실히 메이커는 많지만, 견뎌 살아 남고 있는 것도 사실.
한국은 삼성의 독무대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가 집약되고 있어 매상등으로
상위에 오는 것은 당연해.
반대로, 삼성이 불상사든지 실적이 나빠지거나 하면, 한국 경제는 파탄난다.
ID:Zs0hlH1j
완전하게 삼성>소니인 거야ⅴⅴ?
진짜, 일본인으로서 부끄럽다
ID:RZH4VxXP
어째서 조선인은 일본인을 사칭 하는 것이야? 부끄럽지 않아?
ID:0ZF12/nv
국영 공사와 같은 상황의 삼성이 유리한 것은 당연한 이야기.
LG의 품질이 쓰레기인것은, 삼성과 같은 대우를 받지 않으니까
ID:IDqBdWVp
가격이 아니고 디자인으로 지고 있으니―
ID:HUT7zTyY
일본인은 사실 바보.
경영자도 창조적인 생각을 하지않아
ID:M9r4E+kG
이대로 가면 승리자는 한국, 일본은 싸움에 진 개.
ID:C6DyjBqn
이 교수, 실패 학회라고 하는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회원이 많이 가입하고 회비를 지불해 주었으면 하기
때문에 아첨 했을 뿐일 것이다.
사실을 말하면 모두 화내 가입해 주지 않겠지??
ID:iuQk7t3q
갈라파고스 현상이 있는 일본에서 일본기업은 쓰레기
내수는 수출 기업 에 의해서 파괴·붕괴 직전에!
ID:RZH4VxXP
한국 기업은 구미판매 전략은 일본이라고 하는 브랜드에 업혀 올라왔다는걸 잊지마라
ID:6nNZqIZp
애프터서비스는 어때?
내셔널(PANASONIC)의 드럼식의 세탁기 가지고있는데,
아이가 모르는 동안에 세제 넣어서 잔돈을 대량 투입하고 있었는데,
고장이라고 생각해 연락하니까
곧바로 와서, 굉장히 정중하게 분해해 고쳐 주었다
게다가 고장이 아니고 아이가 한 것인데, 출장 수리인데, 무료로 고쳐 주었다
이런 애프터서비스가 확실히 하고 있으니, 국내 메이커가 안심
싸구려의 국외 무명 메이커들은 AS가 후지겠지
ID:VOw8N6yH
■매상고 랭킹(포츈 2009)■
매상고 순이익
40위 삼성 전자 110,350백만 달러 5,027백만 달러
52위 히타치 99,544백만 달러 -7,837백만 달러
69위 LG 82,082백만 달러 830백만 달러
79위 파나소닉 77,298백만 달러 -3,772백만 달러
81위 소니 76,000백만 달러 -985백만 달러
http://money.cnn.com/magazines/fortune/global500/2009/full_list/101_200.html [새창에서 열기]
ID:/24p1zCk
그렇지만 확실히 싼것은 매력. LG제 PC 디스플레이를 4년전에 샀다
좋더라고. 별 저항감이 없었다. 솔직히 조금 무섭다.
ID:iuQk7t3q
■매상고 랭킹(포츈 2009)■
매상고
40정도 삼성 전자 11조엔
52정도 히타치 10조엔
69위 LG 8.2조엔
79정도 파나소닉 7.7조엔
81정도 소니 7.6조엔
토요타20조엔 닛산8조엔 혼다10조엔····정도
ID:iuQk7t3q
액정 TV32인치 클래스가29000엔 이라면 한국제여도 날개 돋힌 듯 팔릴 것이다.
토시바·소니·미츠비시의 액정 파넬은 삼성이나 LG제입니다.
다만 화질은 한국제보다 높습니다.
ID:kVCYTtLQ
10년안에 1인당GDP는 한국에 뽑아진다.
ID:iuQk7t3q
벌써 일인당의 GDP는 싱가폴에 뽑아지고 있습니다.
ID:Hs2BWiow
한국의 대일무역 적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어째서 삼성은 그렇게 순이익 나오고 있는지 궁금하다
ID:kVCYTtLQ
싱가폴은 인구500만명 정도의 도시 국가겠지.한국은 그10배야.
이러니 저러니 한국은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다.한편, 일본은···.
ID:sulqRZ5l
일본 기업은 마케팅을 너무 경시하지 않은가
「나는 이런 고성능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라고 말해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입장은 다를수 있어
ID:Hs2BWiow
국산 메이커도 삼성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ID:/24p1zCk
한국제를 사용하고 있다니 격세지감. 시대는 변했구나
ID:KIiCqeIp
세계적으로 불경기에는 싼 것이 팔리는 것은 당연해
LG나 삼성 제품의 초기 불량이든지 고장이 굉장하다.
ID:/Hs02xUD
토시바→Samsung
Sanyo→하이 아르
히타치→LG
미츠비시→현대
의 느낌이 난다
ID:gHJQXTwn
원래 구매력 평가로 보면 일본의 경제력은 대만과 큰 차이 없다
1인당GDP는 틀림없이 한국 대만에는 역전될거야
덧붙여서 홍콩과 마카오의 1인당GDP는 이미 일본을 제치고 있다
실질의 생활 레벨로 말하면 중앙 아시아의 산유국은
GDP1만 달러 이하이지만 생활 레벨에서는 일본보다 훨씬 위이고
ID:55852erk
소니, 마츠시타, 히타치, 토시바, 샤프,NEC, 미츠비시, 산요··
전부 합병해 LJ전자 만들어라!!
그렇게 되면 일본의 그 2사>>>한국의 2사가 되겠지?
ID:hrf4CWRK
보기 드물게 보는 국가적 분식결산
ID:5A039eIh
삼성제는 싸구려야
같은 정도의 용량, 성능의 대형 냉장고가,
삼성제가 998 유로(13만 2000엔), 보쉬(독일의 기업)제가 2499 유로(33만 2000엔)이야
ID:zb/4ew3F
■매상고 랭킹(포츈 2009)■
매상고 순이익
40정도 삼성 전자 110,350백만 달러 5,027백만 달러
52정도 히타치 99,544백만 달러 -7,837백만 달러
69위 LG 82,082백만 달러 830백만 달러
79정도 파나소닉 77,298백만 달러 -3,772백만 달러
81정도 소니 76,000백만 달러 -985백만 달러
http://money.cnn.com/magazines/fortune/global500/2009/full_list/101_200.html [새창에서 열기]
■시가총액 랭킹(파이낸셜 타임즈 2009)■
51위 삼성 전자
156정도 파나소닉
231정도 소니
500정도까지 해당 기업 없음
http://media.ft.com/cms/8289770e-4c79-11de-a6c5-00144feabdc0.pdf [새창에서 열기]
■브랜드 가치 랭킹 100 (비지네스위크 2009)■
19정도 삼성 전자
29정도 소니
75정도 파나소닉
http://www.interbrand.com/best_global_brands.aspx?langid=1005 [새창에서 열기]
■전기 각사의 여기10해 정도의 순손익■
파나소닉 히타치 소니 토시바 삼성 전자
2008연도 ▲3789억 ▲7873억 ▲989억 ▲3436억 5조5526억W
2007연도 2818억 ▲581억 3694억 1274억 7조4210억W
2006연도 2171억 ▲327억 1263억 1374억 7조9260억W
2005연도 1544억 373억 1236억 782억 7조6400억W
2004연도 584억 514억 1638억 460억 10조7900억W
2003연도 421억 158억 885억. 288억 5조9620억W
2002연도 ▲195억 278억 1155억 185억 7조0530억W
2001연도 ▲4278억 ▲4038억 153억 ▲2540억 3조0550억W
2000연도 415억 1043억 168억 962억 6조0030억W
1999연도 997억 169억 1218억 ▲329억 3조1750억W
--------------------------------------------------------------------
합계 688억 ▲1조284억 1조421억 ▲980억 64조5776억W
ID:5A039eIh
위에너 삼성 공작원이지?>?
ID:2zkoreP7
업무용으로 Samsung을 사용하고 있지만
고장율도 NEC 미츠비시보다 낮다
더이상 안된다 일본메이커들.....
ID:dJ1YstjQ
삼성의 강점은, 연구비에 돈을 들이지 않고 모두 일본 제품의 기술을 훔치는 것으로
신규 제품을 개발해 버리는 것.
개발에 막대한 돈을 들이는 일본 기업과 다르다.
ID:y/edCMgQ
대일 적자가 줄어 들지 않는 것은 왜야wwwwwwwwww
ID:dJ1YstjQ
비유하면, 일본 메이커는 평상시부터 착실하게 공부하고 있는 학생
한국 메이커는 테스트 전날에 일본 메이커 학생으로부터 노트를 빌리고,
좋은 성적을 내는 학생
일본 메이커는 성실하기 때문에 터무니없이 정직하게 노트를 빌려 주고 가르쳐줘
그렇지만 어느쪽이나 성적은 우수라고 하는 결과.
ID:zMo1+ZtB
삼성·LG는 세계 시장에서 쉐어를 늘리고 있는건 사실이겠지.
ID:CGCaw9Aj
일본메이커 너무많아
한국과 같이 백색·디지털 가전을 1사에 집약해도 좋은거 아니야?
ID:MV0vJB9+
실제 지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일본 기업은 정치력도 없음.전략도 없음.
해외에 맞춘 상품개발도 하지 않고, 기술만으로 승부를 보려하지
기술은 도둑맞고 재판에서는 이기지 못하고www
ID:GUAbazJa
삼성은 반도체와 액정과 휴대폰이 엄청나
쉐어도 이익도 너무 굉장하다.
일본의 전기 메이커가 뭉쳐도 쉐어로, 이익으로 진다.
ID:NLmm//m2
일본의 휴대폰은 일본 사양일 뿐이야
해외에서는 쓸데없는 물건이지
예를 들면, 중국 시장의 휴대 보유 대수7억대정도 된다.
삼성등 한국 기업은 그 중 몇%취하는줄 아냐??
언제까지나 섬나라 근성 경영하고 있는건지?
ID:Dpr0aXI1
매스컴은, 일본의 기술력이 굉장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는, 중한과의 기술 격차는 없어지고 있다
ID:z/JLAD4U
삼성이 만든 획기적인 기술이 있는 거야?
ID:ujsKKGnQ
삼성한테 파나소닉이나 소니도 포함해 완전 패배하고 있는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LG에게는 아직 이2회사는 지지 않지
산요나 미츠비시 전기 클래스 라면 몰라도
ID:gWqOY2vA
산업 뿐만이 아니라 예술이나 스포츠등 모든 분야에서 일본은 한국에 추월당하는군......
ID:mB6GIOxi
브랜드상으로 소니는 LG에는 이기고 있지만, 파나소닉은 LG와 비슷비슷하거나 아래야
파나소닉의 해외의 브랜드력이 없음은 상당히 치명적이야.
유럽에서는 건투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개후잡 쓰레기지.
ID:Wnc74LR3
■삼성 전자 미국 특허 취득 건수■
2004년 6위
2008년 2위
■연구 개발비 2008■
삼성 전자 6900백만 달러
파나소닉 5545억엔
소니 4973억엔
■설비 투자비 2008■
삼성 전자 11500백만 달러
파나소닉 4493억엔
소니 3321억엔
http://www.samsung.com/jp/aboutsamsung/electronics/investment/index.html [새창에서 열기]
http://panasonic.co.jp/ir/reference/factbook/j03.html [새창에서 열기]
http://www.sony.co.jp/SonyInfo/CorporateInfo/qfhh7c000000lajq.html [새창에서 열기]
■매상고 영업 이익율■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삼성 전자 4.9% 9.1% 10.6% 9.3%
파나소닉 0.9% 5.7% 5.0% 4.6%
소니 -2.9% 5.3% 1.8% 3.1%
http://www.samsung.com/jp/aboutsamsung/electronics/company/images/2008.pdf [새창에서 열기]
http://panasonic.co.jp/ir/reference/annual/2009/pdf/panasonic_ar2009_j.pdf [새창에서 열기]
http://www.sony.co.jp/SonyInfo/IR/financial/ar/arj09_full.pdf [새창에서 열기]
ID:Y7z17FXh
한국에 대한 「쌀 것이다 나쁠 것이다」의 의식을 나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로 삼성을 사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것은 일본만의 이야기야.
일본의 전기 업계는 완전하게 임종을 맞이한 것 같아.
ID:M9WGAP/Y
국제 공항의 여기저기에서 모니터든지 무엇이든지 삼성이나 LG이고
효율 좋은 선전은 능숙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은 너무 서툴러.
ID:+27sGOG3
중국에서도 삼성LG만 팔리고 있는 것 같다
일본제는 가격이 비싼 것뿐.......
ID:EMOQqUXK
일본에 있으면 LG는 가게 구석에 놓여져있어
그 약진은 전혀 실감할 수 없어
일본인의 아시아를 업신여기는 세계관은 위험 레벨에 도달했어
ID:Y7z17FXh
고부가 가치 노선은 잘못되어 있지 않지만, 일본은 전기 메이커도 제품도 너무 많아.
고부가 가치=삼성, 저부가가치(흰색 가전(냉장고,세탁기등))=LG와
정부 주도로 집약시켰기 때문에.
PC는 대만 메이커에 당하고,
가전은 한국 메이커에 당하고,
자동차도 인도에 당하는 거니···.
ID:Y7z17FXh
신흥국을 위한 제품=LG, 선진국을 위한 제품=삼성
한국은 확실히 이익을 내면서 돌진중.
일본의 메이커는 「품질」 「브랜드력」으로 따라 잡히고 있고,
한층 더 「가격 경쟁력」이라고 하는, 사용자들에게 전혀 어필을 못하고있어
ID:Y7z17FXh
한국은 개발비 필요 없기 때문에 싼 것 같아
기술을 뒤로부터 훔치고, 일본인 기술자를 고용하고,
구미나 중국에서 방대한 특허를 취득한다.
그리고, 신흥국의 시점에서 싸서 적당히의 제품이나, 싸서 고기능의 제품을 대량생산.
파나소닉이나 SONY도 노력했으면 좋지만, 무능한 경영층에겐 무리
ID:jn+7cuM8
진짜로 미국에서는 완전하게 텔레비전=삼성인걸.
ID:orBVWYkG
가격은 하이얼,LG, 삼성에 맞겨룸 할 수 없다.
유럽은 일본 메이커의 브랜드력이라고 하는 것은 거의 없어
특히 독일은 차나 가전은 독일제가 세계 제일과 자부하고 있는 듯 하고,
거기에 겨루는 유럽의 가전 메이커도 성능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의 메이커가 비집고 들어가는 여지조차 없어
유럽 시장에 먹혀들려면 에너지 절약 성능으로 크게 리드한 제품 만들 수 밖에 없다.
ID:wqMfoSwy
한국 제품을 향후에도 살 마음은 없지만.
세계에서 보면 삼성,LG가 일본 기업보다 우위에 있는건 틀림없어
현대차도 일본이 토요타가 세계 쉐어1위!라고 기뻐하고 있는 동안
상당히 판매 대수를 늘려 오고 있다.
ID:rT6IBm5h
현대는 괜찮아.노조가 발목잡고 있으니깐
그것보다 역시Samsung이 문제.노조도 없고.
ID:wqMfoSwy
현대차는 그토록 노조가 강해서 파업을 하고 있는데 판매대수를 늘려 오고 있다.
금년은 대부분의 라이벌들이 판매 대수 대폭감소 했는데,
유일하게 전년대비로 플러스인 것이 현대차.
도쿄에서의 최근은 현대의 택시가 이따금 달리고 있어
5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몰라요
일본도 마음을 단단히 먹어라!
현대·기아자, 상반기에 세계 판매 대수 증가율로1위
http://headlines.yahoo.co.jp/hl?a=20090818-00000046-yonh-kr [새창에서 열기]
ID:UfAZsM4M
유럽에서 삼성은 지멘스의 2분의 1의 가격으로 팔고 있어
모두 사지도 않고 보지도 않았지, 하이얼과 같은 레벨이야
ID:RwG60RFh
결국 싸서 적당한 품질이 있기 때문에, 일본 이외의 해외에서는 팔리겠지
일본에서는, 일본 메이커의 브랜드에 이기지 못해
ID:ITgRDRFM
솔직히 일본 시장에서는 팔리지 않아도 대단한 문제가 아니지요.
세계 최대의 미국 시장과의 차이는 분명합니다.....
ID:tDsOeuwO
확실히 삼성의 약진은 경이적이지만,
기술개발에서는 미국이나 일본이 아직껏 영향력이 크다는것을 잊지마라
ID:tMvK1z5X
한국은 일본의 8 분의1의 경제력 밖에 없다
(덧붙여서 일본은 독일과 프랑스 2개국의 경제력)
ID:iyomoNAR
최종적으로는 역시 삼성vs파나소닉이 될 것 같다.
매출액은 파나소닉이 산요 매수로 삼성에 근접할거고....
시가총액은 삼성에 훨씬 많지
브랜드 가치는 아시아에서는 약간 삼성 우세, 유럽에서는 프랑스·이탈리아에서는 삼성이겠지만, 영국·독일에서는 파나소닉 우세할 것이다.
■Asia's Top 1000 Brands 2009■
http://www.tns-global.com.hk/pr_top1000brands.php [새창에서 열기]
■United Kingdo Top 20 Brands■
http://www.inside-games.jp/news/296/29680.html [새창에서 열기]
태양광 발전에서도 삼성은 신규 참가, 파나소닉은 산요를 활용.
ID:1IJZhl3B
브랜드력으로 말하면 삼성에 이길 수 있는 것은 소니뿐이지...
LG조차 소니와 파나소닉에 이기고 있어
ID:trxhjuv1
휴대폰도 팔리지 않는다
가전도 팔리지 않는다
일국에 메이커가 너무 많아
국내에서 싸우기 위해 모델 변화가 빈번하고 제품 수명도 짧고....
대합병이 필요
ID:bqncEtQ0
일본의 휴대폰이나 가전은 일본에서밖에 통용되지 않는 하이 스펙인 물건
일본도 삼성이나 LG처럼 세계 시장에서 적정가격으로 팔리는 물건을 만들어야돼
일본제=고급」이라고 하는 브랜드 이미지가 있으니까
그것을 무너뜨린다는 것도 어려운 이야기.
|
깨어있는 의식을 가지고 있는 일본인도 있긴 하군요....
한국의 경제력이 일본의 1/8 ? 아직도 정신 못차리는구만 1/4 된지가 언제인데. 불과 십수년전만 해도 수십분의 1인적도 있었지. 다시말하면 경제규모가 비슷해 지는건 시간문제라는 소리지. 그리고 인구수에서 1/3 차이 나는거랑 비교하면 큰 경제력 차이도 아니다. 까불지마라
삼성과 엘지가 싼맛에 팔린다는 저 무식하고 몰상식한 사고관과 발언은 섬나라 문어대가리들 답다! 멋져!! 죽 그렇게 안심하며 자위하면서 살길 바란다. 문어대가리 제품이 오로지 와따라고 엄지손가락 치켜세우며 니들꺼만 연신 사라. 그래야 기술도 점점 더 후져지고 디자인은 문어대가리용으로만 만들어서 영영 섬나라 안에서 썩게.ㅋㅋ 멋지다 역시!!ㅋㅋ 세계에 나가봐라. 니들 문어대가리들이 만든 냉장고만 보면 사람들이 웃는다.ㅋㅋ
우리집 티비 전화 냉장고 전자렌지 청소기등은 20년도 넘은건데 ㅋㅋ goldstar(금성)때거 ㅋㅋ 골드스타는 삼성의 옛브랜드 ㅋㅋ 한번도 고장안나고 잘만쓴다 ㅋㅋ 진짜임 ㅋㅋ 단한번도 고장안났음 오히려 옛날게 더 단단하고 튼튼하고 오래감ㅡㅡ 그리고 울나라사람들 넘 사치가 심함 조금만 이상생겨도 새로 사버리고... 다 버리고... 이사갈때 보셈 밖에 멀쩡한것들 다 버려져있지ㅉ 되도록이면 계속 쓸 생각을 하세요
골드스타가 금성이에요 ^^ 골드(금) 스타(성)^^ 삼성은 그냥 그대로고... ㅎㅎ, 남미쪽인가.. 거기에선 아직도 GoldStar 에 대한 브랜드 인지력이 좋아서 지금도 GoldStar 마크 그대로 쓴다고 최근 뉴스에서 봤음 ^^
골드스타가 삼성의 옛브랜드라 생각하시는거 보니 아직 젊으신분이신듯 ㅎㅎ
금성 → 럭키금성(Lucky Goldstar) → LG 요렇게 바뀐거죠... 저희 집앞 수퍼이름이 LG의 역사라는...ㅋㅋㅋ 럭키슈퍼 → LG슈퍼 → GS슈퍼...
LG 현재 명칭은 Life's Good (좋은 인생). 이제 럭키금성은 촌시럽다고 외국사람들 앞에서는 무조건 Life's Good이라고 소개함 ^^;
집앞슈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의리 있는 슈퍼내요 럭키가 언제때슈펀데 아직까지 ㅋㅋㅋ
오오 골드스타~ㅋㅋㅋㅋㅋㅋㅋ완전 오랜만이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공감ㅋㅋㅋ 금성 진짜 너무 튼튼해, 아주 미쳐버리겠어요ㅋㅋㅋㅋㅋㅋ
아 금성이 LG로 바뀐거?? 난 삼성으로 알고 있었는데;;;;
난 젊지만 금성이 lg인거 알았음 ㅋㅋㅋㅋㅋ 왜냐면 태어난순간을 함께했기때문 -_- 비디오랑 tv 아직까지쓰고있어요 고장도 안나 ㅋㅋㅋㅋ 우리아빠의 무한신뢰 ㅋㅋ
사랑해요...엘~~~지....첨 엘지로 로고 바꿀때 로고송 이거 였는데...^^
저희집도요 ㅋㅋㅋㅋ골드스타....냉장고 티비 다 골드스타인뎅....삼성이 요즘 엄청 성장했지만 옛날엔 골드스타였죠 ㅎㅎㅎ
우리집 골스드타 세탁기 고장안나서 엄마가 엄청 신경질 내다가 결국은 그냥 버리고 새거 삼... 옛날꺼라 용량이 작았거든요...ㅋㅋㅋ
엘지, 8월 초, LG 240Hz LCD TV, 미국 전문지 평가 1위.
gdp운운하면서.. 희희낙낙 그렇게 살아라 계속... 명실상부하게 한국은 현재 발전중... 일본은 후퇴중... 이니까..ㅋㅋ
미국 배끼면서 성장한게 누구? 한국문화 배끼면서 성장했던 그 야만국이 어디? 빙싄들 꼴갑이당 진짜 ㅋㅋㅋㅋ 계속 그러고 살아라 일본 아가들아~~재밌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삼성과 엘지가 일본거 복사질만 해댄다고?? 자랑이다 븅신 쪽바리들 복사질한 한국에 품질이며 디자인이 떨어지는 니들은 뭐냐?? 무식한 쪽바리들
우낅끼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