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와 작대기.
짐을 실은 지게에 작대기가 없으면 어떻게 지탱하겠는가?
유명한 맨발의 인도 전도자 ''선다 싱(Sundar Singh)'' 이 히말라야 산길을 걷다가
동행자를 만나서 같이 가는 도중에 눈 위에 쓰러져 있는 노인을 발견하였다.
''선다 싱''이 제안을 하였다.
“여기에 있으면 이 사람은 죽으니, 함께 업고 갑시다.”
그 말에 동행자는 이렇게 대꾸하였다.
“안타깝지만 이 사람을 데려가면 우리도 살기 힘들어요.”
동행자는 그냥 가버렸다.
''선다 싱''은 하는 수 없이 노인을 등에 업고 얼마쯤 가다 길에 죽은 사람을 발견하였다.
그 사람은 다름 아닌 먼저 떠난 동행자였다.
''선다 싱''은 죽을 힘을 다해 눈보라 속을 걷다 보니 등에서는 땀이 났다.
두 사람의 체온이 더해져서 매서운 추위도 견뎌낼 수가 있었다.
결국 ''선다 싱''과 노인은 무사히 살아 남았고,
혼자 살겠다고 떠난 사람은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사람을 가리키는 한자 '人'은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댄 형상이다.
나와 등을 맞댄 사람을 내치면 나도 넘어진다는 것이 人의 이치이다.
그렇게 서로의 등을 기대고서 살아가는 것이 바로 사람 살이다.
히말라야의 동행자는 그것을 잊고 행동하다 자신의 생명마저 잃어버린 것이다.
훗날 어떤 이가 ''선다 싱''에게 물었다.
“인생에서 가장 위험할 때가 언제입니까?”
'선다 싱'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내가 지고 가야 할 짐이 없을 때가 인생에서 가장 위험할 때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짐이 가벼워지기를 바라지만 그때가 위험하다는 것이 ''선다 싱''의 일침이다.
먼 바다를 떠나는 선박도 항해를 시작하기 전 배의 밑바닥에 물을 가득 채운다.
배의 전복을 막기 위해 채우는 바닥짐(ballast)이다.
우리 인생 역시 마찬가지이다.
TV에서 할머니 혼자서 손자를 키우는 다큐를 본 적이 있다.
아들 내외가 이혼을 하고 손자를 맡기고 어디론가 훌쩍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이웃 사람들은 안쓰러운 모습에 혀를 찼다.
할머니는 주위 시선에 개의치 않고 아침부터 식당 일을 하며 '
저 애가 없으면 무슨 낙으로 사는가?'라는 마음으로 손자를 키웠다.
손자에게 할머니가 목발이었다면 할머니에게 손자는 삶을 지탱하는 바닥짐이었다.
나와 등을 맞댄 그 사람 덕분에 내가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존재가 삶의 항해를 지켜 주는 바닥짐이다.
손해보는 것은 참을 수 있지만 위치에 안 맞는 것은 두고 볼 수 없다.
_ 채근담_
카페 게시글
교학상장
교학상장 4433 (지게와 작대기)
心耕愛知
추천 1
조회 6
23.05.19 09:50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