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한바탕 꿈이 아닐까?
몇 년 전 다뉴브 강 유람선 침몰로 26명의 귀한 생명을 잃는 사고가 있었다. 그중에도 특히 친정 부모님을 모시고 여섯 살 어린 딸과 헝가리 여행 중이던 3대 가족이 모두 변을 당했다는 소식엔 그렇게 가슴이 에일 수가 없었다. 죽음이 어울리지 않는 어린 손녀와 젊은 엄마, 아직 떠나기에는 이른 60대 초반의 할머니와 할아버지... 그들 가족은 여행을 떠나면서 얼마나 좋아했을까 마치 꿈인 것처럼.
삼국유사에 조신(調信)이란 젊은 스님 이야기가 있다. 젊은 스님이 하루는 새로 부임한 강릉 태수의 딸을 보고 한눈에 푹 빠져들고 말았다. 고개를 흔들어보지만 흠모하는 마음만 깊어질 뿐. 그는 매일 낙산사 부처님 앞에 나아가 사랑의 성취를 빌고 빌었다. 그런데 어쩌나, 소문도 없이 그녀가 혼처를 정해 떠나가 버렸으니. 고통을 명상으로 수행하는 스님이라도, 애욕을 명상으로 수행하기에 조신은 너무 젊었다. 마음의 정처를 잃고 부처님 앞에 심경을 호소하며 슬피 울다가 깜박 잠이 들었다. 눈물의 기도 때문일까 기적 같은 일이 벌어졌다. 꿈에도 못 잊을 여인이 홀연히 나타난 것이다. “부모님 명으로 혼인을 했지만 저도 당신을 사랑했어요.” 그래서 먼 길을 찾아왔으니 같이 살자고 한다. 순간, 조신의 심장은 얼마나 벌렁거렸을까.
두 사람은 벅찬 가슴을 안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비록 가진 건 없어도 거칠 것이 없었다. 비가 새는 오두막집이면 어떻겠나, 소박한 삶에 만족하며 행복해했다. 아이를 다섯 낳으면서 많은 세월이 흘렀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그렇게 행복했던 부부 사이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었다. 더듬이 부러진 곤충처럼 서로에게 부담이 되는 존재가 된 것이다. 살림살이는 나물죽을 먹을 만큼 궁색해진 데다, 잇달아 비극이 찾아왔다. 젊음은 가고 몸은 쇠약해져 병들고, 춥고 배고픈 생활고가 그들을 덮쳤다. 열다섯 큰 아들이 배곯아 죽고, 또 하루는 열 살 된 딸아이가 구걸을 나갔다 개에 물려왔다. 아이를 방에 누이고 하염없이 흐느끼던 부인이 눈물을 훔치면서 남자에게 말했다.
내가 당신과 만났을 때는 젊고 얼굴도 아름다웠으며 입는 옷도 좋았지요. 음식이 있으면 나누어 먹었고, 몇 자의 옷감만 생겨도 함께 옷을 지어 입었습니다. 오랜 세월 정은 거슬림 없이 쌓였고, 사랑도 깊었으니 가히 두터운 인연입니다. 하지만, 몸은 쇠해지고 병은 깊어진 데다 춥고 배곯는 것도 지쳤습니다. 이젠 사람들조차 내미는 죽 사발을 외면하니 문전에서 당하는 부끄러움은 태산같이 무겁습니다. 아이들이 추위에 떨고 굶주려도 돌봐줄 방법이 없는 데 어찌 부부의 마음에 애정인들 견뎌내겠습니까?
붉은 얼굴과 예쁜 웃음은 풀 위의 이슬이고, 난초 같은 약속도 바람에 날리는 풀잎일 뿐. 내가 있어 당신에게 누가 되고, 나는 당신 때문에 괴롭습니다. 지난날의 즐거움을 생각하니 바로 근심과 걱정의 시작이었어요. 우리가 어쩌다 이 지경에 왔습니까. 새들이 함께 굶어 죽는 것보다는 짝 잃은 새가 거울 앞에서 짝을 찾는 것이 되레 나을 것입니다. 추울 때는 버리고 더울 때는 가까이 함이 사람으로 못할 짓이나, 나가고 멈춤이 인력으로 될 일도 아니고, 헤어지고 만남도 운명에 달린 일입니다. 우리 이만 헤어졌으면 합니다.
여인이 모든 것을 정갈하게 정리해 주니 남자는 기가 막힌 현실 앞에 고개를 떨굴 수밖에 없었다. 두 사람은 사랑도 삶도 허망함을 곱씹으면서 헤어져야 했다. 그녀는 떠나가고 남자는 밤새 비탄의 눈물을 흘렸다. 마지막 심지까지 타들어가는 초롱불이 꺼질 듯 흔들리고 있을 즈음, 어느새 깊었던 밤도 지나 먼동이 트고 있었다. 아침이 되자 조신의 수염과 머리털은 하얗게 세고, 주름 진 얼굴 위로 고통스럽던 인생살이가 넘실대며 흘러갔다.
그때 소리가 들렸다. “스님, 그만 일어나세요. 웬 낮잠이 이리 깊어요?” 조신은 법당에 들어온 눈 부신 햇살에 얼굴을 찡그리면서 눈을 떴다. 깨어보니 모든 게 법당에서의 꿈이었다. 인생이 한바탕 꿈처럼 지나갔다. 사방을 돌아봐도 흔적도 없는 꿈…. 사랑하는 여자와 한 몸을 이루어 파란만장한 삶을 겪은 뒤 다시 현실로 돌아온 조신은 혼란스럽기만 했다. 그 꿈과 현실의 경계는 무엇으로 나눌 수 있을까. 먼 옛날의 설화로만 돌리기에는 ‘조신의 꿈’이 일장춘몽으로 회오리치고 끝나는 우리네 인생과 너무도 닮아 있다.
다뉴브 강 유람선 사고가 난 뒤 한 주만에 희생된 여섯 살 여아의 시신을 수습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소식을 듣는 순간, 죽은 아이 아빠의 얼굴이 떠올랐다. 사랑하는 아내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예쁜 딸도 없는 이 차가운 현실의 세계에 혼자서 덩그러니 남아 있을 아빠…. 그의 목울음이 동굴 속을 휘젓는 메아리처럼 들려왔다.
“사랑하는 딸아, 엄마 할머니 손 꼭 잡고 즐거운 여행을 하렴. 영영 꿈에서 깨어나지 말고, 영원히 꽃길을 밟으렴.”
어쩌면 삶도 한낱 꿈이 아닐까? 한바탕 한 세상을 휘젓다 사라지는 꿈. 기억만 무성하고 실존은 없는 그런 꿈….
-소설가 / daum cafe 이관순의 손편지-
첫댓글 성남님
3일간의 제주 여행을 하고
늦은 시간에 머물며
좋은 글에 눈 밝힙니다
삶이 한낱 꿈일까요
한바탕 한 세상을 휘젓다 사라지는 꿈ᆢ
기억만 무성하고 실존은 없는 그런 꿈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