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때는 강토를 널리 개척하였다. 그래서 북부는 실위(室韋) <지금의 滿洲로서 또한 북부에 들어있다> 와 맞닿았고, 남부는 개모(蓋牟) <지금 山海關 동쪽이 모두 남부이다> 에 이르렀다.
고려(高麗) 이후 북부와 남부는 모두 거란(契丹)에게 점령당하였고, 금(金) 나라와 원(元) 나라 이후는 다시 우리 소유가 되지 않은 채 압록강(鴨綠江) 일대가 마침내 천연적인 경계선이 되고 말았다.
우리 세종(世宗)과 세조(世祖) 때에 와서 마천령(摩天嶺) 이북으로 천 리나 개척하여 육진(六鎭)을 바둑돌처럼 설치했고, 밖으로 창해(滄海)까지 이르 렀다. 그러나 요동은 끝내 수복하지 못하고 말았다. 그래서 논하는 사람은 이를 유감으로 여기고 있다.
나는 요동을 수복하지 못한 것은 나라를 위해 다행한 일이라 생각 한다. 요동은 중국과 오랑캐가 왕래하는 요충지이다. 여진(女眞)은 요동을 거치지 않고는 중국에 갈 수 없고, 선비(鮮卑)와 거란(契丹)도 요 동을 차지하지 못하면 적(敵)을 제어할 수 없고, 몽고(蒙古) 또한 요동을 거치지 않고는 여진과 통할 수가 없다. 진실로 성실하고 온순하여 무력 을 숭상하지 않는 나라로써 요동을 차지하고 있게 되면 그 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요동을 차지하고 있을 경우, 서로 화친한다면 사신(使臣)의 접대에 드는 비용과 병정(兵丁)을 징발하여 부역시키는 일 때문 에 온 나라의 힘이 고갈되어 지탱할 수 없게 될 것이고, 또 서로 사이가 좋지 않게 된다면 사면에서 적의 침략을 받아 전쟁이 그칠 때가 없을 것이므로 온 나라의 힘이 고갈되어 지탱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세종과 세조 때에는 명 나라가 이미 북경에 도읍을 정하여 요동(遼東)과 심양(瀋陽)의 사람들이 기내(畿內)의 백성이 되었으니, 이를 엿보아도 진실로 차지할 수가 없을 것이다. 설령 요동과 심양이 아직 오랑캐들에게 소속되었더라도 세종과 세조께서는 이를 빼앗지 않았을 것이다. 어째서인가. 척박하여 아무런 이익도 거둘 수 없는 땅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적국을 증가시키는 일은 영명(英明)한 임금은 하지 않는 법이기 때문이다. 한나라와 당 나라 때에도 오히려 주나라와 진나라의 옛일을 살펴 관중(關中)에 도읍을 정한 뒤에 위력으로 천하를 제어할 수 있었다. 때문에 중국의 지략가들이 논한 것은 동경(東京 낙양(洛陽))과 서경(西京 관중(關中)) 의 우열일 뿐이었다.
명 나라 성조 문황제(成祖文皇帝)는 세상을 뒤덮을 뛰어난 지략이 있었 지만 강성한 몽고와 여진을 멀리서는 제어할 수가 없음을 알았으므로, 마침내 대명부(大名府 북경(北京))에 귀속시켰다. 그 뒤 중국을 통치한 임금들이 이를 변경하지 않았고, 대명부(大名府)는 끝내 중국의 수도(首都)가 되었다. 이러니 요동에 대해 다시 말할 수가 있었겠는가.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세(地勢)는 북으로는 두 강 < 압록강(鴨綠江)과 두만강(豆滿江)이다>을 경계로 삼고 나머지 삼면(三面)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국경의 형세가 그대로 자연적인 요새를 이루고 있으므로 요동을 얻는 것이 도리어 군더더기를 붙이는 격이 된다. 이러니 유감으로 여길 게 뭐 있겠는가. .그러나 진실로 나라가 부유하고 군사가 강성하여 하루아침에 천하를 다툴 뜻이 있어 한 걸음이라도 중원(中原)을 엿보려 할 경우에는 먼저 요동을 차지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어쨌든 서쪽으로 요동을 획득하고 동쪽으로 여진을 평정, 북쪽으로는 국경을 넓혀 위로 흑룡강(黑龍江)의 근원까지 올라가고 오른쪽으로 몽고와 버틴다 면, 충분히 큰 나라가 될 수 있으니, 이 또한 하나의 통쾌한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진실로 나라가 부유하고 군사가 강성하여 하루아침에 천하를 다툴 뜻이 있어 한 걸음이라도 중원(中原)을 엿보려 할 경우에는 먼저 요동을 차지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어쨌든 서쪽으로 요동을 획득하고 동쪽으로 여진을 평정, 북쪽으로는 국경을 넓혀 위로 흑룡강(黑龍江)의 근원까지 올라가고 오른쪽으로 몽고와 버틴다면, 충분히 큰 나라가 될 수 있으니, 이 또한 하나의 통쾌한 일이라 하겠다.... 이러고도 문약한 선비같은 말인가요? 조선 유학자의 한계가 도대체 뭐길레...조선 유학자 분들과 원수 지셨나 봐요
그건 뒤에 사족으로 달아놓은거나 마찬가지고 본문내용은 요동을 수복하지 않아 다행이란거지 않습니까 정양용이 살던 당시는 전세계의 모든나라가 한치의 영토를 넓히려 혈안이 되었던시대죠 영토가 곧 국력인 시대였구요 그런데 저런 허약한 소리나 하고 앉아있었으니 답답하단 겁니다 다른이나 다른나라와 투쟁할 정신마저도 없는 개인이나 나라는 이미 죽은거나 다름없죠
투쟁이라...... 좋은것이지만 주제를 알아야죠. 영토수복? 맘먹고 할라면 누가 못합니까^^ 그 상무정신 드높던 고려때도 요동을 일시 수복했다가 비문하나 세워놓고 철수합니다. 영토가 국력이라????? 그건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게 해석되던 문제입니다. 무굴제국의 예를 보십쇼. 무리한 정복전쟁으로 결국 백성들은 개쪽박을 찼습니다. 조선과 고려에게 이런식의 무리한 영토확장은 내수경제의 파탄을 뜻합니다. 유약해서? 투쟁정신이 부족해서? 물론 유약한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현실을 봤을 뿐입니다. 영토가 넓다고 그나라가 부국강병한 나라는 아닙니다. 19c에 이르기 전까지 러시아는
그 방대한 영토를 가지고도 찌그러기 취급당했습니다. 또한 조선은 조선내에서 생산되는 내수경제만으로도 조선이란 국가를 돌리고도 남았습니다. 물론 후기로 갈수록 전쟁의 폐해와 애새끼들이 날로 쳐먹는게 많아져서 피폐해지는 감이 없지 않아있지만 영조대에는 세종때의 치세를 90%이상 복구했구요. 따라서 득보다는 실이 많은 영토확장을 포기한겁니다. 과거 인조때나 효종때처럼 가진것은 x도 없으면서 북벌외치던 때와는 전혀 다른거죠. 그리고 그 유약한 유학자들이 7년간 20만의 병력을 때려박은 일본도 막아내었고 북방의 야인을 몰아냈으며 청나라와 간도를 놓고 설전을 벌입니다. 잊으셨나본데 펜은 항상 칼보다 강했습니다
뭐, 굳이 따지자면 결정적으로 '중국이 통일 상태가 아닐것'을 필요로 합니다. 고구려가 요동을 완점할 수 있었던 것은 일단 고구려의 국력 자체가 막강했기 때문이고 하지만, 동시에 중국이 분열상태고 4강 체제로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서 중국이 요동을 차지할만한 군사력을 투입하는게 불가능했던 요인이 강합니다. 중국 입장에서 요동은 가장 먼저 쳐서 제거해야 할 적수 중 하나입니다. 전략적으로 유목민과 중국, 만주를 잇고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지점이니까요. 공손씨 시절부터 고구려, 나하추에 이르기까지 요동을 점유한 국가들에게 중국은 기를 쓰고 공격해 들어갔고 결과적으로 통일 중국의 공세에 버텨낼 수 있던 요동국가는 없었죠
고려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거점이 근처에 있던 고구려에 비하면 상황이 훨씬 안 좋았습니다. 공민왕 때 요동 정벌은 하지만...결과적으로 보면 나하추에게 도로 밀려난 꼴입니다. 그 넓은 요동에서 나하추의 기병들이 보급로 끊고 게릴라전 하는 바람에 식량사정도 난리난데다, 고려는 요양은 점령했지만 자기 지역으로 통제하는건 거의 불가능했고...명나라도 초기에는 나하추의 세력을 인정해주는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명이나 되니까 나하추가 통제 가능하지, 사실상 당시의 고려나 조선 초기 입장에서 나하추를 통제하는건 불가능합니다.
투쟁, 투쟁정신은 좋습니다. 하지만 정책은 어디까지나 객관적이고 실리적이어야 합니다. 전쟁과 영토 확장의 허울에 밀려 그런 기본적인 손익관계도 계산하지 못한 채 투쟁만을 외치던 병자호란 때의 주전파들, 결국 나라를 말아먹었죠. 정약용의 글은 일단 당시 상황을 꿰뚫어 보는 날카로운 시선을 투쟁 정신 부족으로 몰아붙여 봐야 사실이 변하는건 아니죠.
하지만 가능성도 있었다고 봅니다 일단 공백지였다는 이유....... 고려에 협조적인 요동주민,투항했지만 명측에서 불신하는 나하추..... 그리고 드넓은 영토라도 집권층이 잘 관리하면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사민정책을 할 수도 있고..... 기타 여러 정책이 있지 않습니까?
여말에는 도무지 그런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막장 직전이었어요. 군사적으로는 왜구들 때문에 남부 지방이 초토화되고, 정치적으로는 겨우 몇달 전에 대규모 숙청 작업이 끝난 상황, 권문세족의 세력이 최절정에 달해서 경제는 물론, 백성의 대다수가 그들에게 예속된 상황에서는 효율적인 군사 동원도 힘들고, 사민정책은 더더욱 불가능합니다. 그렇게 백성들에 대한 통제가 정비되고 국력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세종 때도 요동은 커녕 겨우 4군 6진을 우리 땅으로 만드는 것만 해도 십 수년의 세월에(후대까지 따지면 말 그대로 수십년) 엄청난 인명 소모를 겪은 뒤에야 겨우 함경도 일부 지방을 편입시킬 수 있었지요.
아..예전에 저도 이문제를 거론한적이 있는데.. 일단 우리 입장에서 요동을 접수하기 위해선 먼전 동쪽의 안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흔히들 조선이 사대주의와 문약에 빠져서 요동을 포기햇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그건 정말 모르는 소리입니다. 조선이 건국초에 이 동부지역을 안정시키기 위해 얼마나 전력을 쏟아 부었는지 몰라서 하는 아야기입니다. 조선이라고 해서 요동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여진족들의 저항이 워낙 확고했기 때문에 뜻대로 되지않은 것입니다. 동쪽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요동으로 가는 갓은 바로 퇴로와 보급선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음..정약용선생은 '조선의 국력으로는 한반도정도가 적당하다 괜히 국력도 안되는데 요동을 차지하고있다가는 그곳을 유지하는비용도 감당못할것이고 또한 요동을 노리는 수많은 적들과 전쟁으로 나라가 위태해질것이다.' 라고 주장하시는데 그말이 맞다고생각합니다. 당시 조선의 국력은 중국의 일개성만도 못했습니다. 한반도정도가 겨우커버가능한 조선이 한반도이상크기인 요동을 차지한다고 생각해보십쇼. 로마를 망하게 만든 가장중요한 이유중에 하나는 전성기때는 몰랐어도 전성기가 지난후에 커버가 불가능해진 넓은 영토와 국경선때문이었습니다.
요동은 먹기도 힘들고 먹어봤자 소화도 힘든 땅입니다. 정약용선생말씀처럼 조선이 누구네들처럼 밥먹고 소화안되면 싸우는나라도 아니고 무력이랑은 거리가 거의 안드로메다급 넘사벽인데 갔다가는 개망신만 당하고 나올께 뻔하죠. 그냥 능력안되면 시끄러운땅에 들어가서 쇼하는것보다는 있는것 지키면서 조용히 지내는게 최고인겁니다;;
첫댓글 문약한 선비같은 말이군요 정약용이 조선후기 최고의 실학자라지만 조선유학자란 한계는 어쩔수 없나 보군요
...그러나 진실로 나라가 부유하고 군사가 강성하여 하루아침에 천하를 다툴 뜻이 있어 한 걸음이라도 중원(中原)을 엿보려 할 경우에는 먼저 요동을 차지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어쨌든 서쪽으로 요동을 획득하고 동쪽으로 여진을 평정, 북쪽으로는 국경을 넓혀 위로 흑룡강(黑龍江)의 근원까지 올라가고 오른쪽으로 몽고와 버틴다면, 충분히 큰 나라가 될 수 있으니, 이 또한 하나의 통쾌한 일이라 하겠다.... 이러고도 문약한 선비같은 말인가요? 조선 유학자의 한계가 도대체 뭐길레...조선 유학자 분들과 원수 지셨나 봐요
그건 뒤에 사족으로 달아놓은거나 마찬가지고 본문내용은 요동을 수복하지 않아 다행이란거지 않습니까 정양용이 살던 당시는 전세계의 모든나라가 한치의 영토를 넓히려 혈안이 되었던시대죠 영토가 곧 국력인 시대였구요 그런데 저런 허약한 소리나 하고 앉아있었으니 답답하단 겁니다 다른이나 다른나라와 투쟁할 정신마저도 없는 개인이나 나라는 이미 죽은거나 다름없죠
투쟁이라...... 좋은것이지만 주제를 알아야죠. 영토수복? 맘먹고 할라면 누가 못합니까^^ 그 상무정신 드높던 고려때도 요동을 일시 수복했다가 비문하나 세워놓고 철수합니다. 영토가 국력이라????? 그건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게 해석되던 문제입니다. 무굴제국의 예를 보십쇼. 무리한 정복전쟁으로 결국 백성들은 개쪽박을 찼습니다. 조선과 고려에게 이런식의 무리한 영토확장은 내수경제의 파탄을 뜻합니다. 유약해서? 투쟁정신이 부족해서? 물론 유약한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현실을 봤을 뿐입니다. 영토가 넓다고 그나라가 부국강병한 나라는 아닙니다. 19c에 이르기 전까지 러시아는
그 방대한 영토를 가지고도 찌그러기 취급당했습니다. 또한 조선은 조선내에서 생산되는 내수경제만으로도 조선이란 국가를 돌리고도 남았습니다. 물론 후기로 갈수록 전쟁의 폐해와 애새끼들이 날로 쳐먹는게 많아져서 피폐해지는 감이 없지 않아있지만 영조대에는 세종때의 치세를 90%이상 복구했구요. 따라서 득보다는 실이 많은 영토확장을 포기한겁니다. 과거 인조때나 효종때처럼 가진것은 x도 없으면서 북벌외치던 때와는 전혀 다른거죠. 그리고 그 유약한 유학자들이 7년간 20만의 병력을 때려박은 일본도 막아내었고 북방의 야인을 몰아냈으며 청나라와 간도를 놓고 설전을 벌입니다. 잊으셨나본데 펜은 항상 칼보다 강했습니다
부여님은 버로우.
그런식으로 말씀하지 마세요.
ㅋㅋ
오랑캐라... 오랑캐라..조선은 오랑캐가 아니지요 그래서 민족이 아직 남아 있을런지도 몰르겟내요.
그러고 보면 요동을 경영하던 고구려는 정말 대단하단 생각이드네요. 고대로부터 근세까지 요동은 정말 수많은 민족들의 각축장이라는 느낌입니다.
지킬 힘이 없는 자에게는 드넓은 영토는 재앙일 뿐이겠죠. 다산선생의 의견은 실학자로서의 당연한 결론입니다...^^
아아.. 윗분말씀에 심히 동감이가네요 . 지킬 힘이 없는자에게는 드넓은 영토가 재앙이라.. 좋은말 배우고갑니다~ ㅎ
당연히 실용주의 이죠.아니라고 생각하면 당신은 삼족오 유겐트.
아놔 베스트리플
뭐, 굳이 따지자면 결정적으로 '중국이 통일 상태가 아닐것'을 필요로 합니다. 고구려가 요동을 완점할 수 있었던 것은 일단 고구려의 국력 자체가 막강했기 때문이고 하지만, 동시에 중국이 분열상태고 4강 체제로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서 중국이 요동을 차지할만한 군사력을 투입하는게 불가능했던 요인이 강합니다. 중국 입장에서 요동은 가장 먼저 쳐서 제거해야 할 적수 중 하나입니다. 전략적으로 유목민과 중국, 만주를 잇고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지점이니까요. 공손씨 시절부터 고구려, 나하추에 이르기까지 요동을 점유한 국가들에게 중국은 기를 쓰고 공격해 들어갔고 결과적으로 통일 중국의 공세에 버텨낼 수 있던 요동국가는 없었죠
ㅎㅎ 통일되자마자 바로 태클 들어오는 ... 수나라 당나라 ㄷㄷㄷ
고려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거점이 근처에 있던 고구려에 비하면 상황이 훨씬 안 좋았습니다. 공민왕 때 요동 정벌은 하지만...결과적으로 보면 나하추에게 도로 밀려난 꼴입니다. 그 넓은 요동에서 나하추의 기병들이 보급로 끊고 게릴라전 하는 바람에 식량사정도 난리난데다, 고려는 요양은 점령했지만 자기 지역으로 통제하는건 거의 불가능했고...명나라도 초기에는 나하추의 세력을 인정해주는 수 밖에 없었습니다. 명이나 되니까 나하추가 통제 가능하지, 사실상 당시의 고려나 조선 초기 입장에서 나하추를 통제하는건 불가능합니다.
투쟁, 투쟁정신은 좋습니다. 하지만 정책은 어디까지나 객관적이고 실리적이어야 합니다. 전쟁과 영토 확장의 허울에 밀려 그런 기본적인 손익관계도 계산하지 못한 채 투쟁만을 외치던 병자호란 때의 주전파들, 결국 나라를 말아먹었죠. 정약용의 글은 일단 당시 상황을 꿰뚫어 보는 날카로운 시선을 투쟁 정신 부족으로 몰아붙여 봐야 사실이 변하는건 아니죠.
하지만 가능성도 있었다고 봅니다 일단 공백지였다는 이유....... 고려에 협조적인 요동주민,투항했지만 명측에서 불신하는 나하추..... 그리고 드넓은 영토라도 집권층이 잘 관리하면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사민정책을 할 수도 있고..... 기타 여러 정책이 있지 않습니까?
여말에는 도무지 그런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막장 직전이었어요. 군사적으로는 왜구들 때문에 남부 지방이 초토화되고, 정치적으로는 겨우 몇달 전에 대규모 숙청 작업이 끝난 상황, 권문세족의 세력이 최절정에 달해서 경제는 물론, 백성의 대다수가 그들에게 예속된 상황에서는 효율적인 군사 동원도 힘들고, 사민정책은 더더욱 불가능합니다. 그렇게 백성들에 대한 통제가 정비되고 국력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세종 때도 요동은 커녕 겨우 4군 6진을 우리 땅으로 만드는 것만 해도 십 수년의 세월에(후대까지 따지면 말 그대로 수십년) 엄청난 인명 소모를 겪은 뒤에야 겨우 함경도 일부 지방을 편입시킬 수 있었지요.
여말에는 공격은 커녕 현상유지가 필요했고, 조선초에는 일단 중국이 통일상태였습니다-_-;
요동이라는 땅은 먹음직 스러운 먹이일지 모르나, 그 당시 요동으로 나갈 상황도 되지 않았고, 만일 요동으로 진출했다해도 개발+수성이 가능했을지도 의문이며, 결국은 요동을 다시 뺏기겠지요.
결론은 먹을 수 있었으면 먹었습니다.종합적인 능력이 안되니 그런거죠.이건 순전히 특정 지배층의 계산적인 사고에 의한게 아니고 지극히 자연스러운거죠.힘이 넘치면 힘을 쓰고 아니면 걍 있고 힘 모자라면 발리고..제가 아는 모든 역사가 이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더군요.
아..예전에 저도 이문제를 거론한적이 있는데.. 일단 우리 입장에서 요동을 접수하기 위해선 먼전 동쪽의 안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흔히들 조선이 사대주의와 문약에 빠져서 요동을 포기햇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그건 정말 모르는 소리입니다. 조선이 건국초에 이 동부지역을 안정시키기 위해 얼마나 전력을 쏟아 부었는지 몰라서 하는 아야기입니다. 조선이라고 해서 요동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여진족들의 저항이 워낙 확고했기 때문에 뜻대로 되지않은 것입니다. 동쪽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요동으로 가는 갓은 바로 퇴로와 보급선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능력을 벗어난 점령지 확대는 결국 파멸 뿐이라는 사실은 수많은 전사에서 나타나 있습니다 영토 만능주의는 금발 애송이의 밥이 될 뿐인져(응?)
한마디로 전략시뮬겜에서 땅따먹는 거하구 현실은 엄연히 다른 것입죠-_-
토탈워에서도 개돌하면 적자로 파산... 늘어나는 영토에 압박해오는 적은 많고.. 국력은 딸리고.. 결국 GG
약탈로 충당. ㄳ.
음냐 알렉씨를 스카웃 해오면.. 응???? 뭐지?? 뭘까?
음..정약용선생은 '조선의 국력으로는 한반도정도가 적당하다 괜히 국력도 안되는데 요동을 차지하고있다가는 그곳을 유지하는비용도 감당못할것이고 또한 요동을 노리는 수많은 적들과 전쟁으로 나라가 위태해질것이다.' 라고 주장하시는데 그말이 맞다고생각합니다. 당시 조선의 국력은 중국의 일개성만도 못했습니다. 한반도정도가 겨우커버가능한 조선이 한반도이상크기인 요동을 차지한다고 생각해보십쇼. 로마를 망하게 만든 가장중요한 이유중에 하나는 전성기때는 몰랐어도 전성기가 지난후에 커버가 불가능해진 넓은 영토와 국경선때문이었습니다.
요동은 먹기도 힘들고 먹어봤자 소화도 힘든 땅입니다. 정약용선생말씀처럼 조선이 누구네들처럼 밥먹고 소화안되면 싸우는나라도 아니고 무력이랑은 거리가 거의 안드로메다급 넘사벽인데 갔다가는 개망신만 당하고 나올께 뻔하죠. 그냥 능력안되면 시끄러운땅에 들어가서 쇼하는것보다는 있는것 지키면서 조용히 지내는게 최고인겁니다;;
맞는 말입니다. 고려말 당시는 고려는 자기가 기 보유하던 영토조차 간수하기 어려운 시절이었습니다. 영토확장을 잘못했다가 신흥세력이었던 명나라와 전쟁이라도 벌였으면 요동수복은 물론이오, 한반도 자체가 위태로웠습니다. 따라서 요동의 포기는 적절한 선택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