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리기
1 열 : 시접, 잔반, 메(밥)
2 열 : 어동육서(漁東肉西)
3 열 : 탕류
4 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5 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홍동백서(紅東白西)
|
[추석 차례상 차림법]
|
|
|
※ 차례상 준비시 유의점 |
|
· 복숭아와 삼치,칼치,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
|
·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는다... 더보기 |
| |
|
[관련정보]
| |
음식 장만 '초보탈출' 프로젝트
올해 갓 결혼한 주부 이현주씨(30)는 다가오는 추석이 두렵다. 처음으로 친정이 아닌 시댁에서 명절을 맞는 것이기도 하고 할줄 아는 명절음식도 없기 때문이다. 주부경력 10년차 홍경옥, 백상아씨가 살림비법을 풀어낸 '돈되는 e짠순이 절약테크 따라잡기(영진닷컴)'에서 처음으로 명절을 맞는 신세대 주부들을 위해 음식장만 노하우를 공개했다.
▶초스피드 전 부치기
차례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전'. 그러나 주 재료 손질에 밀가루를 묻히고, 계란 옷까지 입혀 부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간다. 이럴 땐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합쳐보자. 소금간을 알맞게 한 후 계란을 노른자와 흰자가 잘 섞이도록 풀어준 다음, 계란의 1/2~1/3분량의 밀가루를 섞어준다. 여기에 동태 등의 재료를 담궜다가 달궈진 프라이팬에 부치면 끝난다.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 왕 간단 동그랑땡
각종 야채와 고기를 다져 만드는 동그랑땡은 전과 마찬가지로 한입크기로 떼어내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차례로 입혀 부쳐야 한다. 그러나 동그랑땡 반죽에 밀가루와 계란을 직접 넣어 섞은 뒤 숟가락으로 한 수저씩 떠서 달궈진 프라이팬에 지지면 조리과정과 시간을 30% 절약할 수 있다. 섞인 계란과 밀가루는 다진 고기와 야채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 열명 일손 안 부러운 부채뒤집개
명절음식은 맛도 맛이지만 모양도 중요하다. 명절에 많이 먹는 전과 동그랑땡, 부침개 등은 뒤집어 익힐 때 특히 조심해야 한다. 기존 조리기구를 이용해 뒤집다 보면 시간도 많이 걸릴뿐더러 자칫 속도가 늦어 골고루 익히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부채를 이용한 넓은 뒤집개를 사용해보자. 부채에 호일을 감싸기만 하면 끝. 한꺼번에 많은 양을 뒤집을 수 있어 시간절약뿐 아니라 모양유지에도 그만이다.
▶ 기름기를 몽땅 흡수해버리는 신문지 앞치마
하루 종일 음식장만을 하다보면 기름이 여기저기 튀어 옷을 버리기 일쑤다. 앞치마를 해도 기름때가 잘 빠지지 않아 얼룩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럴 때 기름기 흡수가 뛰어난 신문지 앞치마를 이용하면 좋다. 신문지 앞치마는 직사각형 신문지를 긴 쪽으로 1/4접고, 가로로 반 접는다.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잘라내고 구멍난 부위에 머리를 넣어 착용하면 된다. 신문지의 면적만큼 몸을 커버해줘 옷과 몸에 기름이 튀지 않는다. 신문지의 휘발성 냄새로 옷에 기름냄새도 배지 않는다.
/김지혜기자
지방쓰기
한문으로 지방을 쓸 때에는 여러 가지 규칙이 있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에 벼슬이 없으면 학생(學生)을 쓰고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쓴다.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살아생전에는 부라 하고 사후에는 고라 한다.
여자의 경우는 유인(孺人)이라 쓰며 그 다음에 본관성씨를 쓰게 된다. 여자지방의 비(妣)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모라 하며 사후에는 비라 한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의 지방을 모실 때에는 왼쪽에 남자 지방을, 가운데에 본비의 지방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모시게 된다.
지방쓰기 예시
- 평민으로 사신 부(父)의 지방 :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 평민으로 사신 모(母)의 지방 : 현비유인000씨신위(顯비孺人OOOO씨 神位)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父)의 지방 : 현조고학생부군신위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母)의 지방 : 현조비유인000씨신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