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트위터를 인수하자마자 곧바로 감원의 칼날을 들이댔다. 한때 7500명에 달했던 트위터 정규직이 1300명까지 줄었다. 타깃은 주로 말단 직원과 고위직 사이에 낀 중간관리자들이었다. 머스크는 “코딩하는 직원 한 사람을 관리하는 사람이 10명이나 되는 게 트위터의 가장 큰 문제”라고 했다. 실무를 맡은 부하 직원을 관리하는 중간 직급이 지나치게 많다는 불만을 표시한 것이다.
직장 내 중간관리자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조직의 허리에 해당한다. 국내 대기업의 경우 대체로 직장 생활을 7~8년 정도 한 과장급에서 15~16년 차 안팎의 차장급 사이가 해당된다. 미국의 경우에도 국내 기업의 대리·과장급인 어소시에이트(associate)에서 차장급과 엇비슷한 시니어(senior) 또는 어시스턴트 매니저(assistant manager) 사이가 중간관리자로 분류된다.
중간관리자는 업무가 능숙해질 만큼 경험을 쌓았고, 연봉도 부장급 이상보다는 낮다. 그런데도 미국에서 이들을 상대로 감원의 피바람이 불고, 국내에서도 비슷한 연령대의 직장인들이 희망퇴직을 신청하라는 압력을 받는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 왜 한창 일할 나이의 직장인들이 퇴출 위기에 몰리고 있을까.
30대에게도 다가오는 해고 칼날
미국의 소프트웨어 업체 세일즈포스는 올해 초 전체 직원의 10%에 해당하는 7000여 명을 내보내겠다고 밝혔다.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CEO는 “코로나 사태가 끝나가고 경기 침체가 다가올 수 있다”며 배경을 설명했는데, 주된 대상이 중간관리자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구글도 비슷한 상황이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지난 1월 전체 직원의 6%인 1만2000명을 해고했는데, 피오나 시코니 구글 최고 인사책임자는 “구글에는 3만명의 관리자가 있다”며 중간관리자 위주로 감원을 진행했다고 시사했다.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노동 관련 법규에 따라 정규직을 사측 마음대로 잘라낼 수 없다. 대신 희망퇴직이나 권고사직의 형식을 빌려 구조조정을 한다. 예전에는 부장급 이상 고참 관리자들이 위험했지만, 근래에는 과장·차장급 중간관리자도 나가라는 압력을 받는다. 엔터테인먼트 업종의 대기업 A사는 실적 부진을 이유로 올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A사에 정통한 재계 인사는 “전체 해고자 가운데 어림잡아도 60% 정도는 과장·차장급이었다”며 “30대 초반에 불과하지만 퇴사 압력이 가해진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