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치는 신장의 야망 13이었나... 그냥 재미로 보시길
코에이가 만든 게임이니 자국 인물의 버프가 있다는걸 감안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고니시 유키나가 (소서행장)
통솔 : 74 무력 : 68 지력 : 77 정치 : 89
사카이항의 상인 출신이며, 임진왜란때 선봉을 맡았습니다.
부산 상륙후 부산진과 동래를 차례로 거쳐 탄금대 전투에서 신립을 격파하고
가장 먼저 한양에 입성합니다.(당연히 선조는 튀었고)
평양까지 점령하는데 성공하나, 조선의 반격과 명나라의 참전으로 후퇴합니다.
가토와 더불어 조선왕조실록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입니다.(히데요시를 제외하면)

가토 기요마사 (가등청정)
통솔 : 90 무력 : 92 지력 :64 정치 : 71
임진왜란때 2군을 맡았으며 고니시와는 견원지간이자 동시 선봉이기도 했습니다.
함경도까지 진격하여 조선의 두 왕자인 순화군과 임해군을 사로 잡았습니다.
조선에서 가장 악명 높은 무장이며 조선에 투항한 항왜들의 거짓말
1순위가 "내가 바로 가토 밑에 있었소이다!!"(.......)

구로다 나가마사 (흑전장정)
통솔 : 78 무력 : 77 지력 : 82 정치 : 87
임진왜란때 3군을 이끌었으며, 황해도 점령을 맡았습니다.
저돌적인 성격으로 인해 일본에서의 별명은 "멧돼지 무사"였습니다.
이 인간 자체는 별 볼 일 없으나 그의 아버지가 히데요시의 최측근 참모인
구로다 칸베입니다. 히데요시를 조조에 비유한다면 나가마사는
순욱의 아들정도의 포지션으로 보면 됩니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소조천륭경)
통솔 : 90 무력 : 77 지력 : 93 정치 : 97
서일본 최고의 다이묘였던 모리 모토나리의 아들입니다.
명군의 참전 이후 후퇴하자는 의견이 다수였던 상황에서 홀로 공세를 주장하였는데 그 결과 나온 전
투가 벽제관 전투... 묘하게 권율장군과 자주 붙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실 전투보다는 내정에 뛰어난 인물로 히데요시가 평하길 서일본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동일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맡기면 정치는 문제없다라고 말합니다.

도도 다카토라 (등당고호)
통솔 : 77 무력 : 70 지력 : 97 정치 : 93
주군을 자주 바꾼 인간인지라 부정적인 이미지로 비춰지는 인물입니다만
능력만큼은 인정 받았던 모양입니다.
임진왜란때 수군 총대장을 맡지만 매치업상대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경험치 셔틀이 됩니다.

우키타 히데이에 (우희다수가)
통솔 : 69 무력 : 58 지력 : 41 정치 : 56
임진왜란때 일본군 총대장을 맡았습니다.
직접 출진하지 못한 히데요시가 대신 앉힌 바지사장
행주대첩때 패하고 중상을 입었습니다.

시마즈 요시히로 (도진의홍)
통솔 : 89 무력 : 105 지력 : 73 정치 : 70
임진왜란때 4군을 맡았으며 전체적인 행보는 후방에 치중되어 있습니다.
이순신,진린의 조명연합군과 노량에서 격돌, 대패하고 맙니다.
이순신 장군을 전사시킨 원흉...
고니시, 가토와는 급을 달리하는 인물이며 히데요시나 이에야스조차 함부로
다루지 못하는 대 다이묘입니다

구키 요시타카 (구귀가융)
통솔 : 78 무력 : 74 지력 : 55 정치 : 44
해적 출신입니다.
안골포 전투에서 이순신장군과 붙으나 패했습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 (복도정칙)
통솔 : 82 무력 : 88 지력 : 56 정치 : 37
임진왜란때 5군을 이끌었으며 충청도를 맡았습니다.
히데요시가 죽자 도요토미가를 배반하고 이에야스쪽에 붙었습니다.

와키자카 야스하루 (협판안치)
통솔 : 67 무력 : 72 지력 : 40 정치 : 25
일본에서는 듣보잡에 C급 능력치를 가진 쩌리장수로 표현됩니다.
용인 전투에서 1600명으로 조선군 5만명을 격파하는 위용을 보입니다만
한산도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에게 완패합니다.
일본보다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특이한 이력을 가진 장수입니다.
특히 '불멸의 이순신'에서 이순신의 라이벌로 설정되어 상당한 버프를 받은듯
첫댓글 그 보수적인 코에이에서 이순신 통솔력을 100으로 놨다던 것 같은데..
틀렸습니다. 삼국지 10에서 딱 한번 나온적 있는데 대략 능력치가 이렇습니다.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 구현한 중국 전국시대 백기의 능력치와 좀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삼국지12 기준으로 했을땐 삼국지 장수중에는 통솔100인 장수는 없고 고대무장과 일본 무장까지 합친다면 백기, 한신, 우에스기 겐신 이 3명입니다. 또 참고로 신장 시리즈는 능력치 Max가 100이 아닌 120입니다.
@바우짱 삼국지10에 이순신이 있나요? 명량 버프 받아 이순신으로 아시아 정복 한 번 해봐야 하나?ㅎㅎ
@[LAL]Jay 찾아보시면 스페셜 시디라는게 있습니다. 그거 설치(복사)하시면 나옵니다.
@바우짱 저도 삼국지10에서 이순신 써봤는데 확실히 S급은 아니더래도 에이플러스급은 되더군요. 삼국지10은 군사를 쓸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많이 갈리는데 어차피 군사는 노가다 좀만 하면 배울 수 있구요. 삼국지10은 통솔 매력이 높아야 되는데 그것만 보면 나름 상급 캐릭입니다.
@바우짱 오 머 96 정도면 그래도 상당하네요. 좀만 써도 100은 찍겠네요. 전 10은 안해보고 11에서 사람들이 10에서 떠온 이미지로만 써서.. 오히려 무력이 좀 높은 감은 있지만 뭐 겜이니까 ㅎ
오 이렇게보니 또 새롭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여담이지만 코에이는 삼국지보다는 신장쪽에 무게 중심을 더 놓는거 같아 어째 섭섭하네요ㅠㅠ
원래 나오는말이 삼국지는 신장의야망 베타라는 말이있쬬;;
이순신은 통솔100 무력 80 지력 100 정치 0인듯 합니다
곧은성격과 충절이 정치 0이라..이건..이순신장군에게 있어 모욕인듯..;; 정치0인분이 어떻게 진나라와는 사이가 나쁘지 않았을까요...에혀..
@【out pitch】 워낙 청렴하시고 불의를 모르시다보니 썩은 부분이 많이 필요한 정치와는 안맞는 분이라 생각해서 ㅜ ㅜ
흠 이순신 장군님의 능력치를 낮추기 보단 선조의 능력치를 낮추는게 맞지않을까요?
코에이 게임의 정치가 권력다툼이 아니라 내정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꽤 높게 나와야 할 것 같아요.
피난간 조정에서 지원을 받기는 커녕 공납까지 바쳐가면서 전선을 유지하고 군사 물자를 보급하는 데에도 문제가 없었죠.
@ms♪ 그렇죠 코에이에서 정치력은 내정력이죠 통솔 100 무력 75 지력 100 정치 100 으로 놔야 할듯
굳이 게임 능력치로 환산하자면 이순신의 무력은 50 근처가 어울리겠죠. 대신 통솔, 지력, 정치가 매우 높게 나와야 합니다. 성웅, 영웅 이미지가 생기면서 이순신이 무예에도 뛰어났던 것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나, 당시 졸병들조차도 기마술이 매우 능했는데 말에서 떨어진 점, 선비들조차 활을 연습하는 시대에서 딱히 좋은 연습결과가 아님에도 좋아했던 점 등을 보았을 때 무예 자체는 사실 별로라 봐도 괜찮을 겁니다. 심지어 건강도 안 좋았으니..
@souldonuts 보통들 삼국지 까페서 통솔 100 무력 60~70대 지력 95~100 정치 90초반 일케 주는거 같더라고요.
무력은 사실 말에서도 떨어지시고 활쏘기 기록도 그냥저냥이신지라..이성계 같은 신궁이 아니죠..무력 100이 척준경이라면
70정도 드려야...대신 통솔은 숨겨진 능력치+30더 줘야합니다.ㅎㅎ
왜 수군 장수 중에 충무공의 맞상대로는 그나마 도진의홍이 적격이죠. 하지만 관음포에 갇혀서 노량에서 대패하고 50여척만 간신히 도주 크리...ㅋㅋ
시마즈가 뭔데 무력이 저렇게 높나요 ㅋㅋㅋ
굉장히 쌈질을 잘하던 대다이묘라더군요 ^^
세키가하라 전투때, 시마즈는 이에야스 반대편이였음에도 전투끝나고 이에야스가 안건드리죠. 쌈은 무쟈게 잘했다고 합니다.
솔직히 임진왜란에 온 멤버들 b급멤버입니다. a급 멤버나 다이묘들은 병력 출진시키기 싫어헀죠, 이에야스가 젤 잘한일이 임진왜란 출병 안 한건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