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6일 KOREA WAVE] 한국에서는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한편 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하면서 국민의 소비여력이 침체되고 있다. 가계부채는 평균 8400만원(약 922만엔)에 이르고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내수 회복의 길이 막히고 있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사상 최대인 1913조 8000억원(약 210조 1190억엔)에 달했고 올해 2분기부터 18조원(약 1조 9764억엔) 증가했다. 이 증가폭은 2021년 3분기 이후 3년 만의 크기다.
2023년 국내 총가구수는 2273만 가구로, 가계신용 잔액을 가구수로 나누면 가구당 평균 부채는 약 8420만원(약 925만엔)이다. 2023년 직장인의 평균 월급이 364만원(약 39만 9572엔)인 점을 감안하면 결코 작은 액수는 아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38.3%로 추정됐다. 이는 연봉의 약 40%가 부채 상환에 쓰이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연소득의 70% 이상을 상환에 쓰고 있는 차입자는 275만 명, 연소득을 초과하는 상환을 하고 있는 차입자도 157만 명(전체의 7.9%)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부진으로 추가 성장동력이 필요하다. 10월의 평균 일차 수출액은 26억1000만달러(약 3915억엔)로, 전년동월비 0.3%감소해, 13개월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내수가 기준금리 인하 효과로 회복세를 보이지 않는 한 경기 악화를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 연구자는 내수 회복 속도가 한국 경제의 성장률 2%대 달성을 좌우할 것이라며 수출과 관련해서는 반도체 이외의 호조 품목이 한정돼 있어 성장 모멘텀이 약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