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자구는 <늦>과 <아구>의 합성어로 사람의 행동이나 말의 뿌리 또는 상태를 말하는군요~~
그래서 (느자구 없다) 하면 현재 그사람의 말이나 행동거지를 보아 그것의 뿌리가 형편없다는 말이 되네요~~싸가지 없다는 말과 비슷하답니다. (싸가지 없다)와 (느자구 없다)는 차이점은 잘 모르겠구여^^&
그럼...어간 <늦>은 무슨 뜻이냐? 저두 첨 찾아본건데요....^^ (조짐)이나 (징조)를 뜻한다고 합니다. 전라도에선 <늣>이라고 한다는데 사전에는 <늧>의 옛말이 <늦>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늣>이나 <늧>이나 별 차이가 없지 않나 봅니다.
아무튼 <늦>의 뜻이...앞으로 어떻게 될거 같은 일의 근원을 뜻하는 겁니다.
사전에서 예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어요..함 보시죠~!
늧1[늗]
〔늧이[느치], 늧만[는-]〕ꃃ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은 일의 근원.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 ¶늧이 사납다/그 녀석은 늧이 글렀다./이번 일은 늧이 좋은 것 같지 않다. [〈늦〈용가〉]
늦1
ꃃ『북』〖식물〗 밤, 메밀 따위의 꽃.
늦-2
「접사」①『일부 명사 앞에 붙어』 '늦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늦공부/늦가을/늦더위/늦바람/늦장가. ②『몇몇 동사, 형용사 앞에 붙어』 '늦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늦되다/늦들다/늦심다. ꄑ올-06.
늦3
ꃃ『옛』'늧'의 옛말. ¶믈 우 龍이 江亭을 向니 天下ㅣ 定 느지르샷다≪용가 100장≫/이 됴 느지 아니로다≪석상 23:26≫/須彌山 볘윤 이 죽사리 버서날 느지오 衆生이 모매 드로 衆生 歸依 히 욀 느지오≪월석 1:17~18≫.
다음으로 어미...<아구>에 대해서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원래는 사전에 <아귀>가 표준어이고 <아구>는 잘못된 말이라고 나오네요^^& 보통 전라도말은 잘못된 말로 사전에는 표시가 됩니다.사전에 그렇다고 꼭 틀렷다고 생각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아구>란 어떤 뜻인가?? 우리 이런말을 쓰지요~!! 무슨 장사나 일을 함께 하고나서 끝날때쯤 "우리 돈을 얼마나 벌었는가 아구한번 맞춰보자!" "아따..그거 기가 막히게 아구가 맞어야..." 이때 <아구>란 사물의 갈라진 부분을 말하고 싹이 트는 곳을 말하는데 이런 의미인거 같네요~~
사전에 나온걸 볼까요?
아귀1
ꃃ①사물의 갈라진 부분. ¶장식장의 문짝이 아귀가 잘 맞질 않는지 여닫을 때마다 덜컹거린다. ②두루마기나 속곳의 옆을 터 놓은 구멍. ¶아귀를 트다/그는 두루마기의 아귀에 손을 넣고 종종걸음을 쳤다. ③씨앗이나 줄기에 싹이 트는 곳. ¶아귀가 트다. ④활의 줌통과 오금이 닿는 오긋한 부분. ⑤『북』'손아귀'의 북한어. ⑥『북』'입아귀'의 북한어. ⑦『북』익거나 힘을 주면, 금이 가거나 가닥으로 갈라지면서 버그러질 수 있게 감싸여 있거나 마주 접혀 있는 사이나 부분. ≒아금②. ¶아귀를 짝 벌린 밤송이들/아귀를 쩍 벌린 기중기의 바가지.≪선대≫[『아귀〈신선〉]
♣아귀(가) 맞다 ①앞뒤가 빈틈없이 들어맞다. ¶그의 이야기는 앞뒤 아귀가 맞는다/우리가 계획한 대로 아귀가 맞게 일이 착착 진행되고 있었다. ②일정한 수량 따위가 들어맞다. ¶아귀가 맞는 돈.
♣아귀(가) 무르다 ①마음이 굳세지 못하고 남에게 잘 꺾이다. ¶남자가 그렇게 아귀가 물러 어디에 써먹겠니. ②손으로 잡는 힘이 약하다.
♣아귀(가) 치다『북』아귀에서 싹이 나와 가지가 뻗다.
♣아귀(가) 크다 돈이나 물건을 다루는 씀씀이가 넉넉하다.
♣아귀(를) 맞추다 일정한 기준에 들어맞게 하다. ¶오늘 계산을 아귀 맞춰 봐라.
여기의 <아귀>란 말이 전라도에선 <아구>라고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는가 모르겠습니다.^^
저도 첨으로 이런 의미를 보았네요~~~
느자구 없다...싸가지 없다(참...이말은 고창말자랑에서 글제목에서 검색해보시길...)...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사용하는데 <앞으로 우리는 느자구 있는 행동을 하자!><너는 참 느자구가 좋다> 이런식으로 긍정적인 말로 사용해 보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첫댓글 쥔장님 수고 많이 하셨어요......
역시 대장












입동 소설의 11월


*^^*





<
> 고창
고창
고창









*^^*


고맙습니다


반갑습니다



추카 ㅊ







*^^*


더욱 건강 다복하시기 바랍니다


만사형통의 축원과 함께


"고창" 


*^^*
이렇게.국어를.아니.고창말을 기다랗게~~~~~~공부하라고~ㅎㅎ.수고하신대장님?~멋지고요~참고로.용현이에게.다자구할머니이야길 들려주세용~다자구야 들자구야할머니~
오래전에 해놓은 글 찾아다 놓았어 ㅡ.ㅡ;; 다자구야 들자구야 할메는 뭐시디야??
아.아이들 동화가운데.정말 재미있는~~~
글 보는 내내.......

........왜 아구탕이 생각나는걸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