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10 경제관계장관회의 개최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9664&menuNo=4010100
모든 정부기관이 합심하여 정책이 현장에 전달되는 속도를 높이겠습니다. |
- 2024년 6월 고용률·경활률 29개월 연속 역대 최고치 기록, 취업자 9.6만명 증가 - 차질없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 추진을 통한 경영부담 완화 및 재취업 적극 뒷받침 - 부동산 시장 변동성을 예의주시하며 주택공급 신속 확대와 안정적 가계부채 관리 병행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10(수) 08:00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여 ➊신산업 분야 규제혁신 및 현장애로 해소방안(Ⅱ), ➋2024년 6월 고용동향, ➌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방안, ➍국가계약제도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 부총리(주재), 교육부·과기부·행안부·문체부·농식품부·환경부·고용부·국토부·중기부,
공정위·금융위, 통계청 등 장·차관 참석
최 부총리는 6월 고용률과 경활률이 29개월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실업률 또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취업자 증가폭은 전월 대비 소폭 확대된 9.6만명으로, 폭염 등 일시적 요인이 취업자 증가를 일부 제약했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또한, 건설업 고용 감소폭이 확대되고, 자영업자 감소가 지속되는 등 부분적으로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최 부총리는 범부처 일자리TF를 중심으로 업종별·계층별 고용여건을 매주 점검하고, 고용감소 분야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도 신속히 마련하는 등 고용상황을 보다 면밀히 점검하여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히며, 지난주 발표한 25조원 규모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와 재취업 등 새출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하였습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최근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인 지표 안정에도 불구하고, 서울 일부 지역 중심으로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하였습니다. 이에 정부는 3기 신도시 등 기계획된 물량을 신속 공급하고, 필요시 추가 공급확대 방안도 적극 강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스트레스 DSR 적용 범위를 예정대로 9월부터 확대하는 등 가계부채 하향 안정화 관리 기조도 유지할 계획입니다.
이에 덧붙여 최 부총리는 많은 국민들께서 “여전히 경기가 어렵다”고 인식하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이 현장에 전달되는 “속도”라고 밝혔습니다. 최 부총리는 모든 부처·지자체·관련 기관이 자동차 경주에서 수 초 안에 일사불란하게 정비를 마치는 “피트 크루”와 같이 합심하여 정책이 신속하게, 그러나 성공적으로 추진되는지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수명이 다한 전기차에서 나오는 사용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 지난 3월 발표한 핀테크·로봇 등 규제혁신 방안의 연장선에서 마련한 자율주행 등 두 번째 신산업 분야 규제혁신 및 현장애로 해소방안, 신생기업의 조달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고 건설경기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한 국가계약제도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회의 안건 중 「신산업 분야 규제혁신 및 현장애로 해소방안(Ⅱ)」은 특별히 생성형 AI* 아나운서를 활용한 영상 보고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정부 부처 장관급 회의체에서 AI 아나운서를 활용한 최초의 사례입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행정 낭비는 줄이고, 업무 효율성은 높일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디지털 신기술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 대규모 데이터 기반 훈련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인공지능 유형
< 총 괄 >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과 장 | 김승태 | (044-215-4510) |
| 정책조정총괄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정아 | (044-215-4513) |
< 안건별 담당자 >
[ 신산업 분야 규제혁신 및 현장애로 해소방안(Ⅱ) ]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팀 장 | 최시영 | (044-215-4581) |
| 규제혁신팀 | 담당자 | 사무관 | 박준석 | (044-215-4583) |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팀 장 | 권오민 | (044-215-8890) |
|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 책임자 | 팀 장 | 김정두 | (044-215-8880) |
| | 담당자 | 사무관 | 류한솔 | (044-215-8873) |
[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방안 ]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과 장 | 나윤정 | (044-215-4550) |
| 신성장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동연 | (044-215-4553) |
| 산업통상자원부 | 책임자 | 과 장 | 박재정 | (044-203-4260) |
| 배터리전자전기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기헌 | (044-203-4266) |
| 환경부 | 책임자 | 과 장 | 이정미 | (044-201-7380) |
| 자원재활용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형래 | (044-201-7384) |
| 국토교통부 | 책임자 | 과 장 | 김은정 | (044-201-3817) |
| 자동차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홍예표 | (044-201-38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