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십자수 배우기 02-3491-4479 10:00~18:00(토 14:00)
꼬옥 읽어보세요. 이론적으로 정리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
자수용제품은 DIY상품으로서 모두 자신의 책임하에 수놓는것입니다. 도안의 오류, 원단과 실의 물빠짐, 원단사이즈계산, 대체품결정, 수놓는 방법, 여러가지 제작등등 모두 자신의 요령과 책임하에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여기 배우기코너와 "자주문의하시는사항"을 꼭 읽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궁금하실때 전화주시면 같이 연구해서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예를들어 가게에서 원단을 작게 잘라주어서 작품을 망쳤다거나, 특수실에서 물이 빠졌다거나 수성펜자국이 남아서 작품을 망치는것등등은 모두 자신의 책임일뿐 결코 다른사람의 책임이 아닙니다. 조금만 관심을 갖는다면 이러한문제는 모두 예방됩니다.
수놓는것은 삐뚤거나 조금은 잡아 당기셔도 좋습니다. 다만 수놓는 기본순서만 지키시면 됩니다. 가면 갈수록 너무 똑바르게 수놓은 작품은 전혀 이뿌지 않다는것을 느끼게 되실겁니다. 따뜻한 마음으로 조금은 삐뚤게 그리고 편하게, 수놓는 과정을 즐기세요.
KIT 에 대한 설명 (1) Kit이란,자세한 설명서와,실,바늘,천,도안등이 모두 한팩에 들어있는 패키지제품을 말합니다. (2) KIT에 대한 추가 설명은 우리코너 뒷부분(21번 이후)을 꼭 보세요. |
2.
|
원단 자르기와 칸수, 카운트(COUNT)수. 누르세요--> 아이다 계산기 (1) Kit의 경우에는 알맞게 잘려져 있으므로 별도로 신경을 쓸필요가 없습니다. 곧바로 3.중심점잡기 로 가십시요.
(2) No Kit 의 경우에는 아래의 요령을 감안하여 자르십시오. [수놓을 칸수 X 2.54 / 원단카운트수]= 순수한 작품만의 사이즈 입니다. 여기에 시접을 더해서 잘라 주어야합니다. "작품 Count 수"란 수놓는 칸수를 말합니다. ◈14 C 원단 : 작품 Count 수 X 2.54 / 14 + 시접 (약 10cm) ◈11 C 원단 : 작품 Count 수 X 2.54 / 11 + 시접 (약 10cm) 예를들어 14카운트원단이고 작품 Count 수가 80 이라면, 80 X 2.54 / 14 + 10 = 24.5 Cm 가 됩니다. 이때 수놓아서 만들고자하는작품에 따라 시접에 더많은 여유를 두어야합니다.
(3)단, 28카운트이상의 원단은 위두칸,아래두칸,합쳐서 4칸을 한칸으로하여 수놓는것이므로 원단카운트수를 2로 나누어 주세요. 따라서 28카운트는 14카운트와 작품의 크기가 똑같이 나오고, 32카운트는 16카운트와 똑같이 나옵니다. 즉, 작품 Count 수 X 2.54 / 원단카운트수 X 2 + 시접 (약 10cm) 로 계산하시면됩니다.
(4) 14카운트 원단 이란 1 inch 안에 네모 칸이 14개 들어있는 원단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원단입니다. 11카운트 원단은 당연히 11개가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2.54는 inch를 cm 로 환산하는 값이며 14 or 11 은 원단 Count 입니다. 시접은 상하와 좌우의 여유분 입니다.
(5) 쿠션이나 방석등을 만들려고 하는 경우, 잘라진 원단 Size가 쿠션 Size 보다 작으면 덧대어 쿠션을 만들면 됩니다. 덧대지 아니하고 제천으로 만들려면, 쿠션 규격 Size 를 감안하여 더 크게 잘라 주어야 합니다. ◈쿠션 규격 Size 기준 (cm) ( 30 X 30, 30 X 35, 35 X35, 40 X 40 ) 의 네가지 ◈ 시접을 감안하여 이보다 1cm정도 더 크게 자르십시오 예) 30 X 30 쿠션 -----> 31 X 31 cm 로 자른다. |
3. |
중심점 잡기 (1) 도안의 중심 : 어떤 도안이든지 중심점을 잡을수있도록 화살표표시가 있습니다. 화살표를 Cross 시켜 만나는 점이 중심점 입니다.
(2) 원단(천)의 중심에는 물론 화살표가 없지만, 가로로 한번 접고 다시 세로로 한번 접어서 모서리 점 이 중심 지점이 됩니다. 이점을 수성펜으로 찍어 두면 좋습니다.( 물론 형광펜등은 나중에 지워지지 않으므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
(3) 중심점을 잡는 이유는, 작품이 원단의 중앙에 균형있게 잘 위치 하도록 하기 위함 입니다. 중심을 대충 잡은 경우는, 수놓은후 작품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심한 경우는 한쪽은 많이 남고 다른 한쪽은 원단이 모자라서, 수를 다 놓을수 없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4) 따라서 수놓는 시작점은, 중심점 또는 중심점에서 가까운곳이어야 합니다. |
4. |
도안보기
 <도안샘플> |
(1) 네모칸 안의 기호는 십자수(Cross Stitch)를 의미하며, 동시에 실 색깔 또는 실 번호를 나타냅니다.
(2) 테두리 굵은 선은 Back Stitch (박음질) 선을 나타냅니다.
(3) 네모칸의 모서리에 점으로 표시된 것은 주로 French Knot (씨앗수)을 나타냅니다.
(4) 백 스티치 설명 백 스티치 실가닥수와 색상등을 별도로 지시해 줍니다
(5) 그 이외의 스티치 기법과 실색상, 실가닥수등이 지시되어 있습니다.
(6) 그리고 실은 1가닥씩 뽑아 사용하세요. 한번에 2 가닥을 뽑아내면 엉키기 쉽습니다.
| 가. 도안에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아래표를 참조 하십시오.
AIDA |
LINEN |
바늘 |
십자수 |
백스티치 |
6~10 카운트 |
20 카운트 2칸 |
22미만 |
3~6가닥 |
2~5가닥 |
11 카운트 |
22 카운트 2칸 |
22~24 |
3 |
2 |
14 카운트 |
28 카운트 2칸 |
24~26 |
2 |
1 |
16~18 카운트 |
32~40 카운트 2칸 |
26~28 |
2 |
1 |
나. 실 1줄이 여섯가닥으로 되어 있으므로 한번에 1가닥씩 뽑아서 쓰시면 됩니다.
 ( 뒷면,"다른땀에 끼우기"그림입니다. ) |
(7) 백스티치 순서: 십자수를 먼저 다 놓고나서 나중에 Back stitch 를 해야 합니다.
(8) 건너 뛰기: 1~2칸 건너 뛰는 것은 괜찮지만, 3칸이상 건너 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끊고 다시 시작 하십시오.
(9) 매듭 가. 매듭을 짓지 않는 것이 원칙 입니다. 나. 그러나 쿠션등 세탁이 필요한 경우는 매듭을 짓는것도 좋습니다. 다. 마감시 뒷면의 가까운 다른 땀에 3~4번 연속하여 끼운후 자르거나, 또는 끼운상태 에서 또다시 매듭을 지은후 자르십시오. 라. 맨처음 시작할때는 다른 땀이 없으므로, 뒷부분에 실을 남겨 진행 방향으로 잡고 수를 놓으면서, 3~4땀 찝어 주십시오. -마. 매듭이 필요한 경우, 처음에 매듭을 짓고, 수를 몇땀 놓으면서 찝어준후, 매듭에 걸어 주십시오. |
|
5. |
십자수(Cross Stitch) * . 십자수용 Aida 천은 수많은 네모 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네모 칸 안을 "X" 자 로 "수" 놓는 것이 십자수 입니다.
(A) 기본 Stitch |
|
A-1. 같은 기호가 하나만있을 경우
왼쪽 아래에서 나와서, 오른쪽 위로 들어간다. 그리고 다시 오른쪽 아래에서 나와서 왼쪽 위로 들어간다.
A-2.같은기호가 옆으로 연속되는 경우

A-3.같은기호가 아래로 연속된 경우.
A-4. 따라서 진행 방향은, 해당 칸을 수놓은후 ( 같은 기호인 경우 오른쪽으로 갔다가 되돌아 오면 ), 그 다음 그 아래칸으로 |
|
(B) 응용 Stitch |
|
* 초보자는 반드시 기본 Stitch 방법만 사용 하십시오. 응용 Stitch와 병행하면 혼돈이 생겨 수놓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 2~3작품정도 끝내신후 병행하여 수를 놓으시면 진행이 매우 빠르고 쉽습니다.
B-1. 같은 기호가 하나만 있을경우
오른쪽 위에서 나와서 왼쪽 아래로, 그리고 왼쪽위에서 나와서 오른쪽 아래로!
B-2. 같은 기호가 옆으로 연속되어 있는 경우
B-3. 같은기호가 위로 연속되어 있는 경우
B-4. 따라서 진행 방향은, 해당 칸을 수놓은후 ( 같은 기호인 경우 왼쪽으로 갔다가 되돌아오면 ), 그다음 그 윗칸으로 간다. |
(C) Full 종합. |
|
⊙C-1. 기본 Stitch 와 응용 Stitch 를 병행할 경우는 수놓는 순서도 상,하,좌,우 매우 자유 롭고 빠릅니다. 그러나 초보자는 기본 Stitch만 사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 왼쪽 -> 오른쪽 , 위 -> 아래 ) 방향으로만 진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를놓을때 도안의 일정부분씩 끊어서, Count 하면서, 수를 놓아야합니다.
⊙C-2. 원단 바로 잡고 수놓기 -->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원단의 윗부분을 정하여 표시하여 두고, 항상 윗부분을 위로 두고 십자수를 놓으십시오. 윗부분을 위로 두고 수놓다가, 옆으로 잡게 되면 십자수 결이 틀려져 완성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즉, 이랬다 저랬다하면 결이 틀려지므로, 항상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수놓으면 됩니다.
⊙C-3. 초보자는 너무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럴경우 원단이 울 염려가 있고 완성도가 떨어지게됩니다. 살짝살짝 당겨 주세요. | |
6. |
HALF(Cross Stitch) : 1 / 2
(1) 같은기호가 하나만 있을 경우 |
|
또는
 |
(2) 같은기호가 옆으로 연속된 경우 |
|
또는

| |
7. |
Quarter (Cross Stitch) : 1 / 4
(1)
의 4가지 경우 |
|
(2) 기호와 실례 |
"/" 대각선은 박음질이며, 나중에 해준다.
-.양쪽기호가 다르면,각각 해당색으로 1/4 씩 두번뜨고, ( 중심점에서 만난다 ) , 같으면 HALF이므로 한번만 Half Stitch한다. | |
8. |
3 / 4 Stitch
*Full Stitch의 3 / 4 이며, ( 1 / 4 + HALF Stitch ) 이다. 아래 그림처럼 3/4을 메꾼다음 백스티치한다. |
9.
|
 Back Stitch (박음질)
-십자수를 다 놓은후 테두리를 해주거나 또는 글씨를 만들때 Back Stitch를 한다. - 기호는 주로 "선"으로 되어 있고 때에 따라 점선(------)이나 (~~~~)등으로도 표시된다. - 일반 바느질의 박음질과 같으며 오른손 쓰시는 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왼손쓰시는 분은 그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 Back Stitch 순서
"1" 번으로 나와서 "2" 번으로 들어가고, 다음 "3" 번으로 나와서 "4" 번으로 들어가고, 다시 "5" 번으로 나와서 "6" 번으로 들어가고...............
| |
10. |
French Knot (프렌치 넛 : 씨앗수)
- 기호표시는 주로 네모의 모서리에 점으로 표시된다. - 천 아래에서 위쪽으로 바늘을 빼낸다음, 바늘에 줄을 한번 또는 두세번 감은후 바늘이 나온 바로 옆 부분으로 다시 꽂아 넣으면 된다. -.씨앗처럼 도톰한 모양의 점이 생긴다. - 바늘이 나온 같은 자리로 꽂아 넣으면 줄이 빠지게 되므로 반드시 조금 옆부분을 뚫고 들어가야 한다.
1번 지점으로 나와서 실을 바늘에 감고 바짝 당겨준후, 바로옆 2번지점 ( 너무 멀지않게 ), 으로 들어간다. 비닐원단의 경우에는 같은 구멍으로 들어가되 너무 세게 당기면 빠질수 있으므로 적당히 당겨준다. |
|
11. STRAIGHT STITCH(스트레이트): A에서 B로 단번에 주욱 간다.

|
|
12. RUNNING STITCH(런닝): 1 에서 2로, 3에서 4로 계속 하면된다.

13. STEM STITCH(스템): A에서 B로간다. A와 B사이의 중간인 C에서 나와 D로 내려가서 E(=B)로 나온다.

14. SATIN STITCH(새틴) : 중앙에있는 점선의 방향을따라 A에서 B로간다. 같은식으로 반복 하면서 한쪽을 먼저 메꾼후, 반대쪽도 같은 방향으로 메꾼다. 이때 간격이 골고루 되도록하여야한다.
15. LAZY DAISY STITCH(레이지데이지): A로 나와서 둥근모양을 만든다음 다시 A로 들어가면서 동시에 B로 나온다. 그리고 C로들어가며 찝어준다.
16. LONG SPLIT STITCH(롱 스플릿) : A로 나와서 B로간다. 스티치한 끝부분의 실사이(C지점)을 뚫고 나와서 D로간다. 2)번은 처음줄의 방향과 반대로 거슬러 스티치한다.

17. BULLION NUT STITCH: A에서 나와서 B로가며, 그림 2)처럼 실을 남겨둔다. A지점 바로 옆에서 (블리언넛) 바늘을 조금만 꺼낸다. 그리고 A에서B까지의 거리만큼 실을 바늘에 돌돌감는다. 감은실을 잡고서 바늘을 빼낸다. 빼낸 돌돌감은실을 반듯이 놓고 B로 내려간다.
18. BUTTONHOLE STITCH(버튼홀): A에서 나와서 B로 들어가면서 바늘을 바깥쪽으로 뺀다. 2) 번 그림은 마지막에 걸어주는 방법입니다.

19. CORDING(코딩) : 실의 한쪽끝을 고정시키고 한쪽방향으로만 뺑뺑 돌려줍니다. 그리고 바늘을 잡고 실의 양쪽끝을 함께 잡습니다. 그리고 바늘을 놓아 버리세요. 마지막으로 매듭을 지은후 바늘쪽도 가위로자르고 매듭을 짓습니다.

20. COUCHING(카우칭) : 코딩한실이나 또는 다른실을 일정한위치에 놓은후, 바늘과실로 한땀씩 찝어서 고정시켜 주는것입니다.

21. 원단바탕 그림 여부에 따른 십자수 KIT의 종류 (1) 원단에 바탕그림이 그려져 있는 NO COUNT
 원단 샘플입니다. (흰색부분만 수놓으면 됩니다)
(2) 원단에 X 자 표시가 수성인쇄되어있는STAMP,
 (아기이불 KIT 원단입니다) 수성인쇄란 물세탁시 지워져서 없어지는 인쇄를 말합니다. 일반작품의 경우에는, 수성인쇄가 아닌 STAMP도있습니다. 이경우는 지워지지않고 또, 지울 필요도 없습니다. (3) 그리고 아무 표시도없는 COUNT제품이 있습니다
22. 크루얼 KIT : 원단에 바탕그림이 있습니다. 면실과 털실이 같이 들어있습니다. 십자수보다 배우기가 더 쉽습니다.
 바탕에 하얗게 비어있는 부분만 수놓으면 됩니다
23. 리본자수 KIT : 대부분 원단에 바탕그림이 있습니다. 면실과 리본실이같이 들어 있습니다.
 바탕그림에 따라서 수놓으면 됩니다
24.KIT상품의 실정리 방법 KIT제품은 거의 대부분 실정리 칼라복사본을 붙였습니다. 그래서 실정리 하실때, 실제로 실정리된 칼라복사본을 보고 정리하므로 아주 쉽게 됩니다. 그리고 수놓는 가닥수나 필요한 부분은 요약설명서에 한글로 표시하였습니다. 다만 일부 작은회사의 일부제품만 아직 진행중입니다. 해당상점의 설명이나 해당상품의 설명을 보시면 그런 내용을 일일이 표시하였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실분류방법입니다. (1) 같은색깔끼리 분류해서 구분해 놓는다. (2) 구분이 아주 쉬운것을 먼저 정리한다. (예를 들어 흰색, 검정) (3) 설명서의 가닥수 표시를 보고 가닥수가 특별히 많거나 적은 것을 먼저 정리한다. 대부분 가닥수로 서로 다르므로 구분이 쉽게됩니다. (4) 그다음 같은계통의 실끼리 구분한다. 같은 계통이란 색상 이름은 같고, 다만 진하고 연한 차이만 있으므로 구분이 쉽습니다. 즉, PALE은 아주연한색, LT(LIGHT)는 연한색, DK(DARK)는 진한색, VERY DK는 매우진한색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남은실중 구분이 잘안되는건 다음의 색상표를 보세요.
25. 색상표 : 안녕하세요? 색상구분 도우미입니다. 구분이 까다로운 색상만 골라놓았습니다

번호 |
계통색 |
색상명 |
색상설명 |
1 |
흰색 |
OFF WHITE |
흰색에 가까운 아이보리 |
2 |
회색 |
STEEL GREY |
밝은 회색 |
3 |
" |
CHARCOAL |
진한 회색 |
4 |
노랑색 |
CREAM |
연한 아이보리 |
5 |
" |
LEMON |
밝은 노랑 |
6 |
" |
BEIGE |
탈색,염색하지않은자연색 |
7 |
황토색 |
TAN |
황갈색 |
8 |
" |
GOLDEN BROWN |
노랑밤색 |
9 |
" |
TERRA COTTA |
붉은진흙색,적갈색 |
10 |
분홍색 |
PEACH |
복숭아색,살색 |
11 |
" |
SALMON |
연어살색 |
12 |
" |
CORAL |
산호색 |
13 |
" |
MAUVE |
연한자주빛 |
14 |
" |
MAGENTA |
자주빛 |
15 |
초록색 |
HUNTER GREEN |
연두색 |
16 |
" |
FOREST GREEN |
진한록색 |
17 |
" |
OLIVE GREEN |
올리브색(황록색) |
18 |
" |
KHAKI |
카키색(군복색) |
19 |
파랑색 |
TURQUOISE |
하늘색 |
20 |
" |
AQUA |
푸른물색 |
21 |
" |
ROYAL BLUE |
감청색(밝고진한파랑) |
22 |
" |
NAVY BLUE |
짙은남색(진하고어두운파랑) |
23 |
보라색 |
LAVENDER |
연한보라 |
24 |
" |
PURPLE |
보라 |
25 |
" |
VIOLET |
붉은빛이나는보라 | 26. 세탁과 물빠짐과 다림질은? 세탁은 상식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중요한 사항이므로 꼭 읽어보시고 실수를 예방하세요. ^^
(1) 세탁기는 사용하지마시고 물세탁(손빨래)하십시오. 설겆이용세제, 중성세제(울샴푸), 물비누를 사용하여 미지근한물에 잠깐 담가 두었다가 살살 비벼주십시오. 비누는 올틈에 끼므로 삼가하십시오
(2) 각종 특수실, 구슬, 장식을 수놓은후에는 물빠짐등이 우려되므로 절대로 세탁하면 안됩니다 (3) 세탁후 절대로 그대로 말리지말고 반드시 젖은채 다림질하십시오. 다림질은 뒷부분을 먼저 다리고 나서 앞부분을 다리세요 만약 세탁시 물이 빠지면 절대로 그대로 말리지말고, 곧바로 꺼내어 맑은물에 10분정도 담그고 계속 헹구어 주십시오. 그래도 잘안되면 맑은물에 잠깐씩 담그어 헹구는 작업을 여러번 계속하십시오 그러면 원상복구됩니다. 쿠션원단등 일반원단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나서 그대로 말리지말고 반드시 젖은채 다림질하십시오. 만약 물이 빠지는데도 불구하고 그대로 말리면 원상복구가 어렵습니다.
만약 그대로 말려버렸다면 다음 방법이 효과가 좋습니다. 다만 알수없는 부작용이 있을수 있습니다 옥시크린(얼룩제거용 스프레이)를 얼룩부분에 분사하고 약 4~5분지난후 맑은물에 밤새 담가주세요 얼룩이 심하면 여러번 반복하세요. (4) 소독약이나 표백제등은 절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소독약이나 표백제등을 사용하면 물이 왕창 빠질수 있습니다. 절대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물이 왕창 빠지는 경우는 소독약(표백제)를 사용한 경우와 특수실을 세탁하는 경우뿐입니다 어쩔수없이 그런 경우에는 위 (3)번 설명대로 하십시오.
(5) DMC실등 면실로 수놓은 경우에도 물이 빠지는 경우가 있고, 기타 알수 없는 이유로 물이 빠질때도 위 (3)번 설명대로 하십시오.
(6) 수성펜을 사용한 경우와 아기이불 KIT등의 수성 STAMP된 원단은, 세탁하기전에 우선 맑은물에 충분히(수시간) 담가두었다가 여러번 헹구어 주세요. 특히 수성펜자국은 그렇게해야 부작용이 제일 적습니다. 그리고 나서 세탁하세요.
(7) 그냥 삶는것은 문제는 없지만 가급적 삶지 마십시오. 물에 30분이상 오래 둘때는 물빠짐이 있는지 중간중간 확인하십시오.
(8) 리본실의 경우 세탁을 전제로하면, 진한색리본은 미리 세탁해서 물을 뺀후 수놓으시는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