셤직전이라.. 딱히 개인적으로 하는일도 없고해서..이까페저까페 돌아다니면서..어떤 질문이 올라오는지 보는데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이 어떤것인지 정확하게 이해안하신 님도 있으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대충 올립니다..
지금 중요하게 쓰이는 부분은 두가지 밖에 없네욤..나중에 생각나면 더 올려드리졈..
1.관리도를 그릴때의 가설개념..
이 게시판을 애용(?)해 주셨던 님들은 이미 제 글을 읽으셨겠지만..귀무가설은 기존의 개념을 그대로 현상태에 적용시킨다는 의미입니다.
관리도를 처음 적용하는 공정이 아니라면 기존의 공정은 관리가 잘되고 있다고 생각되는데..혹시나 공정이 이탈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에 관리도를 계속 그려보는 것이졈...
그러므로 귀무가설은 '공정이 관리상태하에 있다' 입니다.
공정이 관리상태하에 있을때의 평균을 u0 라고하면....
H0:u=u0
이렇게 표현되겠죠? 물론,관리도의 초점이 평균일때말이죠..분산이면 또 분산에 대해 쓰시면되는거구..
그럼..대립가설은..'공정은 관리상태를 이탈했다'또는 '벗어났다'라고 표현할수있겠져..
벗어났는지 안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할때에는 지금 평균이 어디로든지 이동했다는 뜻이기때문에 u0가 아니라는 뜻이져.
H1:u is not u0 (등호기호 '=' 에다가 사선그어서 표현하져..여기선구현이안되서..ㅡㅡ)
두번째..평균이 상승했다라고 본다면.
H1:u>u0
세번째..평균이 하강했다고 본다면,
H1:u<u0
입니다..어쨌든,not 기호와 >또는< 기호를 쓸때의 차이점은 단측검정이냐 양측검정이냐 차이입니다.
즉,not기호가 대립가설이되면..상승인지하강인지의 방향을 모르기에 양쪽방향을 다 본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위험확률을 '알파'라고 설정하셨다면 실제 검정을 행하실때에는 '알파/2'로 하시겠지요..알파값이 0.05 일때 양측검정을 행하신다면..
알파/2값..즉 0.025로 양측검정을 행하시게됩니다.
그게 아니라면,단측검정..즉 한쪽방향만 검정해보는것이구여..알파값은 그대로 쓰이겠죠?
------------------------------------------------------
2.실험계획법에서 분산분석표(ANOVA)를 그릴경우...
실험계획법에서는 보통 어떤 가정을 깔고 하는것인지 아셔야겠죠..
처음에는 데이터에 영향력을 행사할만한 인자를 설정하죠?
(인자설정시엔 브레인스토밍,그리고 fish-born diagram등을 써서 토의를 거친후에 설정하게되죠..보통은..)
그런데,인자는..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검증해봐야겠죠?..지금은 토의상태로만 이 인자들을 결정한 상태이니깐..
이때, 귀무가설은 이 인자들은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못할것이다 라고 설정합니다..물론 보통의 일반적인 경우에 말이죠...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란 뜻은 수치상으로 봤을때 '데이터에 변동을 주지않는다.' 즉,변화를 주지 않는다는거죠..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은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라는 뜻이구염..우리가쓰는 말로는 '유의하지 못하다' '유의하지않다'등으로 표현하졈..
그래서,실험계획법의 귀무가설은..
H0:인자들은 유의하지 않다.
그럼..다 끝났네요..대립가설은 그반대니깐...
H1:인자는 유의하다.
즉, 데이터에 변동을 준다..입니다.
이렇게 가설을 설정해놓고..실험에 들어가졈..예를들어 A와 B 그리고 C라는 인자를 3개잡아놓고 실험을 시작한 다음, 그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을 행하죠.
그리고 모.. A,B는 유의하지 못한데..C는 유의하다고 할수있다..등으로 결론이 나올겁니다..즉, C에 한해서는 귀무가설이 기각된다고 할수있는것이죠..
많이 안해보신분은 헷갈리실수도 있는데... 이 글을 읽고난후에 이러한점들을 유념하시면서 분산분석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친구가 이번실기치는데..물어보니 1주남았다면서요?
좋은 결과있으시길 바랍니다...
전에도 말했지만..실기에 특별히 조언해드릴만한게 없네요..필기하실때 실기공부가 같이 되는관계로..
단,문제를 보고 답을 적어 내실때에는 반드시 공식을 먼저 적으셔서..이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난후에 공식에 맞추어서 과정을 풀어내리시면 좋은결과가 있으실겁니다..
카페 게시글
품질관리이야기
일반적으로쓰이는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의미..
곰돌이
추천 0
조회 567
03.04.20 12:49
댓글 0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