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가스 시저스 팰리스 호텔 특설링
김득구
VS
레이 맨시니 (Raymond Michael Mancini)


1955년 전북 출생인 김득구는 아버지의 죽음, 어머니의 재혼, 이복형제들과의 불화 등으로 어린시절을 보내고 14살 되던 해 무작정 서울로 상경한다.
서울로 상경 후, 김득구는 동아체육관(관장:김현치)에서 3년 간 아마추어 활동을 하다 1978년 4라운드 판정승으로 프로 권투계에 데뷔한다.
이후 한국 라이트급 챔피언, 동양 라이트급 챔피언이 되며 승승장구를 하게 된다.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가스 시저스 팰리스 호텔에 마련된 특설링에서 미국의 맨시니(R. Mancini)와 세계권투협회(WBA) 라이트급 타이틀전을 갖는다. 이는 한국 프로복싱 사상 최초의 라이트급 세계도전이었다.
맨시니가 절대 우세하다는 여론의 예상을 뒤집고 대등하게 싸우던 왼손잡이 김득구는 불행히도 14라운드에 맨시니가 던진 결정타를 맞고 쓰러진다. 그리고 나흘간의 뇌사 상태 끝에 장기를 기증하고 세상을 떠나고 만다. 김득구 사망 당시 약혼녀는 임신 중이었다.
그의 죽음 후, 전 세계는 권투에 대한 뜨거운 논쟁에 휩싸였고 세계적인 비난 여론을 견디지 못한 국제권투기구들은 15회 경기를 12회로 줄이고, '스탠딩 다운제'를 도입하는 등 선수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당시 상대 선수였던 맨시니는 충격에 휩싸여 한동안 방황하다가 재기를 시도했으나 결국 선수 생활을 접었다.(네이버 용어사전)
첫댓글 한국 권투사에 가장 큰 슬픔이라고 말해야 했는데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