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6-말-(3)】공식적ㆍ비공식적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인사말을 한다.
【내용 요소의 예】
◦ 공식적ㆍ비공식적 상황의 차이 이해하기
◦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여 내용 생성하기
◦ 대상에 맞는 공손한 표현 사용하기
◦ 인사말을 통하여 원만한 대인 관계 유지하기
이 성취 기준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인사말의 필요성을 알고 인사 방법을 익힘으로써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인사말은 인사를 나누는 상황이나 대상과의 관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황과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여 알맞은 인사말을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인사말은 사람을 만날 때 안부를 묻거나 환영하는 말, 헤어질 때 아쉬워하거나 안녕을 기원하는 말, 받은 도움이나 혜택 따위에 대하여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말, 다른 사람의 좋은 일에 대하여 축하하는 말 등을 일컫는다. 인사말을 할 때에는 시간, 장소, 대상, 목적 등 상황적 요소를 고려하여 알맞은 내용으로 하여야 한다. 공식적 상황은 공식성을 띠는 각종 행사에서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인사를 하는 상황이나 업무 관계로 다른 사람을 대면하여 인사하는 상황이며, 비공식적 상황은 개인적이고 사적인 관계에서 인사를 하는 상황이다. 사회적 관계는 지위, 연령, 직무, 친소 정도 등에 따라 형성되는 관계로서, 이에 따라 인사말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선생님이나 웃어른께 인사말을 하는 경우와 친구나 손아랫사람에게 인사말을 하는 경우 인사말의 내용이 다를 수 있다. 웃어른께 인사를 할 때에는 특히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여 인사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적절한 인사말이 대인 관계의 형성, 유지, 발전에 기여함을 알고 상황에 맞는 인사말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 성취 기준은 1학년 말하기 영역의 성취 기준 ‘(1) 일상생활에서 상대와 상황에 맞게 인사를 한다.’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고, 내용 요소 중 ‘대상에 맞는 공손한 표현 사용하기’는 국어 지식 영역 ‘(2) 국어 높임법을 이해한다.’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담화의 수준과 범위】공식적ㆍ비공식적 상황에서 하는 인사말
6학년 수준에서 공식적 상황은 학급이나 학교 안팎의 행사나 모임에서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인사말을 해야 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비공식적 상황은 공식적 상황 이외에 친지나 교우 등과의 개인적이고 사적인 관계에서 인사말을 해야 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인사말의 유형으로는 만나거나 헤어질 때 주고받는 일상적인 인사말, 다수의 청중을 상대로 한 환영사나 송별사, 감사의 말이나 축사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