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http://cafeimg.hanmail.net/cf_img/m_icon/gol_12.gif)
adagio(It.) 아다지오. 매우 느리게.
안단테 andante보다 느리고, 라르고 largo 보다는 빨리.
allegro(It.) 알레그로. 빠르게. 다소 빠르게.
그러나 프레스토 presto 만큼 빠르지는 않다.
andante(It.) 안단테. 느리게. 보행 속도로.
알레그레토 allegretto와 아다지오 adagio의 중간 속도.
ad lib.(Lat.) 애드 립. 라틴어 ad libitum을 줄인 말.
연주자가 원하는 대로 연주하기
affettuoso(It.) 아페투오조. 느낌(feeling)을 가지고
agitato(It.) 아지타토. 격하게, 급히
alborada(Sp.) 알보라다. 스페인어로 '아침의 노래 aubade'를 의미함.
allargando(It.) 알라르간도. 점점 더 넓게 그리고 점점 더 느리게
amoroso(It.) 아모로조. 사랑스럽게, 부드럽게
arioso(It.) 아리오조. 아리아처럼, 즉 '정상적으로'노래하기
arpeggio(It.) 아르페지오.
화음을 구성하는 음을 동시에 연주하지 않고 차례차례로 연주하는 것
art-song 아트 송. 예술가곡. 민요나 대중가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지한'노래인데 보통 콘서트 연주를 위해 작곡 된다.
aubade(Fr.) 오바드. 프랑스어로 '아침의 노래'를 뜻한다.
(cf. 세레나드-저녁의 노래)
Ave Maria(Lat.) 아베 마리아. 라틴어로 '만세, 마리아'를 뜻함.
ballad 발라드.
(1)민요조의 오래된 노래이며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대개 유절가곡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2)이야기체로 되어있는 노래.
예를 들면 슈베르트와 뢰베가 작곡한 괴테의 '마왕'같은 노래.
(3)프랑스 오페라에서 많이 발견되는 이야기체 형식을 가진 노래.
(4)19세기 영국의 센티멘탈한 노래들.
같은 시대의 영국 오페라에서 많이 발견된다.
barcarolle(Fr.) 바르카롤. 뱃노래, 특히 베니스의 곤도라 사공의 노래.
baroque 바로크. 원래 건축 용어로 '뒤틀린, 정교한, 무거운, 복잡한'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었다.
건축과 같은 시대(즉 1600~1750년)의 음악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몬테베르디, 퍼셀, 바하의 음악이 이에 속한다.
bel canto(It.) 벨 칸토. 세련되게 잘 가꾸어진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뜻함.
벨리니 혹은 도니제티의 오페라 아리아가 요구하는 민첩하면서도 부드러운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뜻함.
영어로 직역하면 '아름다운 노래하기 beautiful singing'을 뜻한다.
berceuse(Fr.) 베르쇠즈. 요람에서 부르는 노래, 자장가를 뜻하는 프랑스어.
bergamasca(It.) 베르가마스카. 프랑스어로 bergamasque로 번역되는 이탈리아말.
(1)이탈리아의 Bergamo에서 16~17세기에 유행했던 가락.
(2)베르가모에서 유래된 민속 춤.
(3)드뷔시는 모호한 그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bergerette(Fr.) 베르쥬레트. 목가적인 스타일의 가벼운 프랑스 노래. 프랑스 말로 berger는 양치기를 뜻한다.
blues 블루즈. 느리고 슬픈 미국의 흑인 음악으로, 1911년 경에 널리 알려졌다.
brindisi(It.) 브린디지. 음주의 노래를 뜻하는 이탈리아 말. 예를 들어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에 나오는 노래.
buffo, buffa(It.) 부포, 부파. 코믹한, 익살스러운. 따라서 opera buffa는 코믹 오페라를 뜻함.
burden 버든. 노래의 반복되는 구절. burden 보다는 refrain 이 더 많이 쓰인다.
cabaletta(It.) 카발레타. 본래 19세기 이탈리아 오페라에서 볼 수 있는 기법,
본디 빠르기 보다 더 빨리 연주하는 아리아나 듀엣의 마지막 부분을 말한다.
canon 카논. 둘 또는 그 이상의 성부가 차례로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성부 모방 작품. cantata(It.) 칸타타. 소나타에 대응되는 성악곡,
일반적으로는 코랄을 포함한 성악과 기악을 위한 종교작품을 말함.
canto(It.) 칸토. 노래, 멜로디를 뜻하는 이탈리아말.
cantus(Lat.) 칸투스. 노래, 멜로디를 뜻하는 라틴어
cappella(It.) 카펠라. 교회. a cappella는 '교회 스타일로'
carmen(Lat.) 카르멘. 노래. 복수형은 carmina이다. 예, carmina burana
carol 캐롤. 유쾌한 성격을 갖는 영국의 전통적인 노래로, 중세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춤추면서 부르는 노래였다. 19-20세기에 사용되기 시작한 크리스마스 캐롤은 한 형식에 불과하다.
castrato(It.) 카스트라토. 높은 소리를 내기 위해 사춘기에 거세한 남성 성악가. 17,18세기의 이탈리아 교회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이탈리아 오페라에서 많이 볼수 있다.
cavatina(It.) 카바티나. 느린 템포로 되어 있는 오페라 노래.
ch. 합창(choir)의 약어.
chamber opera 체임버 오페라.
적은 인원의 성악가와 작은 오케스트라로 구성되는 오페라.
chanson(Fr.) 샹송. 노래, 특히 14~16세기의 프랑스에서 유행하던 다성부 성악곡. 같은 시대에 이탈리아와 영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마드리갈이 유행하고 있었다. 샹송이란 용어는 20세기에 와서 몇몇 작곡가들도 사용하고 있다. 예:Ravel, Chanson madecasses 등.
chant(Fr.) 샹. 노래, 노래하기.
chest voice 체스트 보이스. 가슴 소리. 흉성. (참고: head voice 두성)
classic, classical 클래식. 매우 모호하게 사용하는 용어인데 대체로 다음의 세가지 뜻으로 사용한다.
1."대중의(popular)", "민속의(folk)"이란 뜻과 상대적으로 쓰인다.
2."낭만주의적인(romantic)"과 상대적인 뜻으로.
3."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 스타일이 주류를 이루었던 시대(대략 1770~1830)에 속하는"이라는 뜻으로.
Coffee Cantata 커피 칸타타. 바하가 1732년 경에 작곡한 익살스러운 칸타타(BWV211)의 별명. 당시에 커피가 대유행이었던 것을 반영한 것임. 이 칸타타의 제목은 'Schweigt stille, plaudert nicht(조용하세요, 잡담하지 마세요)'로 알려져 있기도 한데 이것은 이 칸타타의 가사 첫줄이다.
coloratura(It.) 콜로라투라. 민첩하며 화려한 스타일의 성악곡 또는 그러한 성악곡의 연주를 뜻함.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는 그러한 성악곡에 잘맞는 소프라노를 뜻함.
comedie-ballet(Fr.) 코메디 발레. 극장에서 상연되는 프랑스의 공연물인데 연극, 노래, 춤의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몰리에르의 Le bourgeois gentilhomme의 음악은 Lully가 작곡하였다.
commedia dell'arte(It.) 코메디아 델 아르테. '전문가에 의한 코메디'를 뜻함. 16세기에 발생된 이탈리아의 공연물인데 가면, 즉흥연주로 이루어지며, 등장인물로 흔히 '잘 속는 의사'혹은 '허풍떠는 군인'등이 등장한다.
community-singing 코뮤니티-싱잉. 회합이나 스포츠 이벤트에서 노래하기. 그런데서 부르는 노래는 community song이라고 한다.
conservatoire, conservatorium, conservatory 콩세르바똬르, 컨서버토리움, 컨서버토리. 음악학교를 뜻함. 이탈리아어 conservatorio에서 나온 말인데 본래, 어린애들을 키우며(conserved) 음악을 포함하여 다양한 훈련을 시키던 고아원을 의미했다. conservatoire는 프랑스어, conservatorium은 독일어, conservatory는 영어이다.
consort 콘소트. 16~17세기 영국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기악 연주자 집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onsort of viols하면 비올 연주자들을 뜻한다. 1950년 이후에 이 말은 다시 사용되기 시작함.
consort song 콘소트 송. 16~17세기에 유행하던 풍의 노래에 대한 현대적인 말인데, 성악곡을 비올 콘소트나 기타 다른 악기들의 콘소트가 반주를 한다.
contralto 콘트랄토. 여성의 가장 낮은 목소리. alto와 같은 말.
Coronation Mass 대관식 미사. (1)모차르트의 미사곡 Mass in C, K317(1779)의 별명. 매년 치르는 성처녀 상에 왕관을 씌우는 행사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2)하이든의 미사곡 Mass in D minor의 별명이다. Nelson Mass라고도 한다.
counter-tenor 카운터 테너. 테너보다 높은 남성의 목소리. 영국에서는 헨델과 퍼셀의 시대에 많이 볼 수 있는 용어였다. 20세기 와서 콘서트와 오페라에서 리바이벌 되었다. '남성 알토'라고도 한다.
crescendo(It.) 크레센도. 점점세게
cycle 사이클. 연가곡. 일련의 작품들을 지칭하는데 특히 성악곡에 많다. 구성하는 성악곡들간에 음악적으로 혹은 텍스트의 의미상으로 볼 때 서로 연관되는 노래들이기 때문에 동일한 사이클(연가곡)에 속한 곡들은 함께 연주하는 것이 관례이다.
da capo(It.) 다 카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
decrescendo(It.) 디크레센도. 점점 여리게.
diction 딕션. 노래할 때 필요한 정확하고 분명한 발음.
dolce(It.) 돌체. 달콤하게
dramatic 드라마틱. 소리가 힘이 있어서 힘이 필요한 오페라 역을 감당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드라마틱 소프라노(dramatic soprano), 드라마틱 테너(dramatic tenor)등.
dramma(It.) 드라마. 17,18세기에 오페라를 의미했다. 특히 코믹 오페라를 뜻한다.
Drum Mass 드럼 미사. 하이든의 미사 Mass in C, 1796에 대한 별명. 이 작품에선 케틀 드럼이 현저하게 사용된다.
duet 듀엣. 두 연주자가 함께 하는 연주.
duo(It.) 듀오. 두 사람의 연주자들, 혹은 그들을 위한 작품.
durchkomponiert(Ger.) 두르히콤포니르트. 성악곡에 적용되는 용어인데, 텍스트의 각 연을 동일하게 반복되는 음악으로 작곡하지 않았다는 뜻. 이에 상대되는 용어는 strophic(유절의)이다.
falsetto(It.) 팔세토. 가성. 성인 남성이 그들의 정상적인 음역보다 더 높은 음역에서 내는 목소리. 남성 알토, 즉 카운터 테너(counter-tenor)는 가성을 사용한다.
feierlich(Ger.) 파이어리히. 엄숙하게, 강렬한 느낌으로.
flamenco(Sp.) 플라멩코. 스페인, 특히 안달루시아 노래의 일종.
folk-music 포크 뮤직. 민속 음악
folk-song 포크 송. 민요
Four Last Songs 마지막 노래 네곡.
스트라우스(R. Strauss)가 자신의 성악곡에 붙인 제목.
1948년에 작곡되었고, 오케스트라를 동반한 곡이다. 텍스트는 아이헨도르프(Eichendorff)와 헤세(Hesse)의 것이다.
Four Serious Songs(Ger. Vier ernste Gesaenge) 심각한 노래 네곡. 브람스가 1896년에 작곡한 연가곡인데, 텍스트는 성서에 근거를 두고 있다. 베이스를 위한 곡이다. frottola(It.) 프로톨라. 1500년경 이탈리아에서 유행했던 가벼운 노래 스타일인데, 여러 성부로 구성되었다. 가장 높은 성부가 멜로디였다.
Gesang(Ger.) 게장. 노래(song), 찬가(hymn).
giocoso(It.) 지오코조. 즐겁게, 명랑하게, 익살스럽게
God save the King(Queen) 국왕(여왕)폐하 만세. 영국의 국가.
작곡 작사자 미상. 18세기 중반에 국가로 채택되었다.
grand opera 그랜드 오페라. 불분명한 용어인데, 때때로 일상적인 대화를 전혀 포함하지 않은 완전히 노래되는 오페라를 뜻한다. 때로는 로시니의 '윌리엄 텔'이나 마이어베어의 '유그노'처럼 역사적인 플롯을 사용하는 4막 또는 5막으로 구성된 프랑스 오페라를 뜻한다. 발레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grave(It.) 그라베. 느린 템포로.
grazioso(It.) 그라치오조. 우아하게
Great Organ Mass 큰 오르간 미사. 하이든이 작곡한 미사곡 Mass in Eb, 1774의 별명이다. 오르간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고, Little Organ Mass)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언 성가. 단선율 성가의 한 형태인데, 교황 그레고리오 1세와 관련이 있다. 로만 카톨릭 교회 성가의 표준이 되었다.
habanera 하바네라. 스페인에 도입된, 노래를 동반한 쿠바의 춤. 이 용어의 어원은 쿠바의 수도 하바나이다.
Harmoniemesse 하르모니메세. 하이든이 작곡한 취주악기 미사(WIND-BAND MASS)의 독일어 이름.
head voice 두성. 성악가에게 머리에서 울림이 있는 것으로 느껴지는 음역, 즉 높은 음역을 말한다. (참고: 흉성, 가슴소리 chest voice)
heroic tenor 헤로익 테너. 바그너 오페라에서 볼 수 있는, 무겁고 드라마틱한 역할에 적합한 테너. 독일어 Heldentenor를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Hob. 하이든의 작품번호 앞에 붙는 Hoboken의 줄임말. Anthony Van Hoboken(1887~1983)은 네덜란드의 음악학자인데, 하이든의 작품에 번호를 붙였다.
hymn 찬가. 찬송가. 신이나 성자를 찬양하는 노래.
Imperial Mass 하이든이 작곡한 넬슨 미사 NELSON MASS의 별명.
impressionism 인상파주의. 페인팅에서 빌려온 용어. 드뷔시나 라벨의 작품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인상파주의자들은 이야기체나 드라마틱하게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입장에서 일정한 때에 자신에게 느껴지는 인상(impression)을 기록하는 방법을 채택함.
intermezzo(It.) 인터메쪼.
(1)오페라의 막간에 연주되는 기악곡.
예를 들어, 마스카니의 CAVALLERIA RUSTICANA에서 볼 수 있다.
(2)콘서트를 위한 짧은 작품.
예를 들면, 브람스는 자신의 피아노 중 몇몇곡을 intermezzo라고 불렀다.
(3)18세기에, 진지한 오페라의 막간에 상연하던 짧은 코믹 오페라.
interval 인터벌. 음표와 음표간의 간격.
Italian Song-book 이탈리아 가곡집(Italienisches Liederbuch). 볼프(Wolf)가 독일어로 번역된 46개의 이탈리아 시를 텍스트로 하여 작곡한 가곡집으로, 1890~1896년간에 작곡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jazz 재즈. 대략 1914년부터 사용된 용어로, 뉴 오를리안즈의 흑인에게 기원을 두는 미국 대중음악의 일종. 재즈 리듬은미국의 작곡가들 뿐만 아니라 스트라빈스키, 왈튼, 미요 등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jongleur(Fr.) 종글뢰르. 중세의 방랑하는 음유시인.
이들은 가수이자 악기 연주자, 그리고 곡예사였다.
Kammer(Ger.) 카머. 영어는 chamber(체임버).
Kapelle(Ger.) 카펠레.
(1)교회.
(2)왕이 사적으로 소유한 교회에 있는 음악기관.
(3)음악 기관
Kapellmeister(Ger.) 카펠마이스터.
왕이 사적으로 소유한 교회의 음악 감독.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
keen(Ir.) 킨. 아일랜드의 장송곡.
Kochel(Ger.) 쾨헬.
Ludwig von Kochel(1800~1877)은 오스트리아의 음악학자이다.
그는 모차르트의 작품에 번호를 붙였다.
모차르트의 작품을 식별하는 번호를 쾨헬 넘버라고 한다.
Konzertmeister(Ger.) 콘체르트마이스터. 오케스트라의 리더.
영어로는 concert master라 한다.
Kyrie eleison(Gk.) 키리에 엘레이손.
'주여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뜻의 그리이스어.
이 문구를 붙인 음악을 키리에(미사곡의 일부분)라고 한다.
lament 라멘트. 애도가. 슬픔(특히, 죽은이에 대한)을 나타내기 위한 노래.
largamente(It.) 라르가멘테. 넓게. 이 용어는 LARGO에서 파생된 것이다.
largo(It.) 아주 느리게.
lauda, laude(It.) 라우다, 라우데. 찬미가. 14세기~18세기의 이탈리아에서 유행하던 성가곡으로 다성부를 위한 것이었다. 이것은 오라토리오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Lauda Sion(Lat.) 라우다 시온. 찬양하라 시온을.
성체축일을 위한 로만 카톨릭 교회의 찬미가이다.
lai(Fr.) 레. 음악으로 작곡된 13세기 프랑스의 대화체 시 또는 일반적으로 노래를 의미함.
legato(It.) 레가토. 끊지 않고 부드럽고 매끄럽게. 스타카토의 상대어.
leger(Fr.) 레제. 가벼운. 예:musique legere 가벼운 음악
leggero(It.) 레제로. 가벼운.
leggeramente(It.) 레제라멘테. 가볍게.
lent, lento(It.) 렌트, 렌토. 느리게.
libretto(It.) 리브레토. 오페라 혹은 오라토리오 텍스트. 복수형은 libretti이다.
Lied(Ger.) 리트. 노래. 특히 비 독일어 문화권에서는 슈베르트, 슈만, 볼프가 작곡한, 노래와 피아노로 되어 있는 형식의 노래를 말한다. 한마디로 독일의 예술가곡을 뜻함. 나아가 독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예술가곡도 리트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복수형은 Lieder(리더)이다.
Liederkranz,Liederkreis(Ger.) 리더크란츠, 리더크라이스. 연가곡(song cycle).
litany 리타니. 하느님께 도움을 바라는 기독교의 기도인데, 보통 음악으로 작곡되어 있다. 연도(連禱). 이 용어가 기악곡에도 사용되는경우가 있다.
Little Organ Mass 작은 오르간 미사. 하이든의 미사 Mass in Bb,1778(Hob. XXII:7)의 별명이다. 오르간 솔로가 포함되어 있는 짧은 곡이다.
Lobgesang(Ger.) 로프게장. 찬미가.
lungo, lunga(It.) 룬고, 룬가. 긴(long).
lyric 리릭. (1)엄밀한 의미로, '수금(lyre)을 반주로 하는 성악 연주와 관련이 있는' 예: lyric drama는 오페라와 동의어이다. 특히, 프랑스에서 drame lyrique는 바로 오페라를 뜻한다.
(2)리릭은 시에서, '서사시도 아니고 극시(劇詩)도 아니라, 시인의 감정(feeling)을 표현하는'
(3)시에서 사용되는 용법을 음악에 적용한다. 예: Lyric Piece(Grieg), Lyric Suite(Berg). 특히, 성악에서 lyric은 '가벼운 light' 과 '드라마틱 dramatic'의 중간에 속한다는 의미. 예: 리릭 소프라노, 리릭 테너.
(4)lyric의 복수형 lyrics는 대중가요 혹은 뮤지칼의 가사를 뜻함.
m.d. 피아노 등에서 오른손으로 연주하라는 뜻.
오른손은 프랑스어로 main droite, 이탈리아어로 mano destra이다.
Meistersinger(Ger.) 마이스터징어. 독일의 14세기~16세기에 활발했던 음악가 길드에서 회원에게 부여하던 칭호. 그들은 상인계급 출신이었다. 반면에 그들보다 훨씬 앞선 시대에 있던 미네징어(Minnesinger)들은 귀족 출신이었다.
melisma(Gk.) 멜리스마. 성악곡에서 한 개의 음절에 부여된 음들을 지칭하는 용어. 카덴차의 성격을 띄는 화려한 성악 구절을 뜻하기도 한다. 멜리스마의 복수형은 멜리스마타(melismata)이다.
melodie(Fr.) (1)멜로디 (2)프랑스 예술가곡
melodrama
(1)배경음악을 깔고 이야기를 하는 드라마의 기법.
베토벤의 오페라 피델리오에서, 무덤파는 장면에 채택되어 있다.
(2)감상적인 통속극.
(3)이탈리아어로 melodramma는 단순히 오페라를 뜻한다.
melody 멜로디. 서로 다른 피치를 가졌고 구별되는 음악적인 형태를 가진 음들의 연속.
음악의 세 가지 차원은 1.멜로디 2.리듬 3.하모니와 대위법이다.
melos 영어 melody의 어원이 되는 고대 그리스 말.
meno(It.) 메노. 보다 적은. 예: meno mosso 좀 더 느리게. 작곡가들은 가끔 mosso를 생략하고 poco meno를 사용하여 meno mosso와 같은 뜻을 나타낸다.
messa(It.) 메사.
(1)미사. 예: Messa da Requiem(베르디 작곡).
(2)배치(placing or putting)
messa di voce(It.) 메사 디 보체. 성악에서, 길게 유지되는 음에 점진적인 크레센도와 디크레센도를 주는 것. 이것을 이탈리아어로 'crescere e scemare della voce(목소리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기)'라고 설명하는데, 소위 벨 칸토(bel canto)가창의 기본적인 훈련법이다. 18세기에 작곡된 아리아들은 대개 긴 messa di voce로 시작하는 것이 많다. 19세기에 작곡된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1831)에서도볼수있다.
Messe(Fr., Ger.) 메스, 메세. 미사.
mesto(It.) 메스토. 슬픈.
meta(It.) 메타. 절반, 중간.
mezzo, mezza(It.) 메쪼, 메짜. 절반.
mezza voce(It.) 메짜 보체. 절반의 목소리로, 즉 절제된 목소리로.
m.s. 왼손. 이탈리아어로 mano sinistra는 왼손을 의미함.
musical 뮤지칼. musical play(음악연극)의 줄임말.
musical comedy 뮤지칼 코메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유행하던 가벼운 공연. 오페레타(operetta)와 비슷함.
music-drama 뮤직 드라마. 음악 극. 바그너가 자신의 오페라 '로엔그린Lohengrin'에 붙인 용어.
musicology 뮤지콜로지. 음악학.
Musikwissenschaft(Ger.) 무직비센샤프트. musicology에 해당하는 독일어 용어.
Nelson Mass 넬슨 매스. 하이든의 미사곡 Mass in D Minor,1798(Hob.XXII:11)의 별명. 이 미사곡은 Nelson의 나일강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enia(Gk.) 네니아. 만가(挽歌).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이 부르는 노래. 브람스는 1881년에 실러(Schiller)의 텍스트로 합창곡을 작곡하였는데 그 제목이 nenia의 독일어 번역인 Nanie(네니)였다. 또한 Birtwistle은 1970년에 소프라노와 기악 앙상블을 위해 Nenia on the Death of Orpheus(오르페우스의 죽음을 슬퍼하는 만가)를 작곡하였다.
neo-classical, neo-classicism 네오 클래시컬, 네오 클래시시즘. 신고전주의. 1920년대에 유행하던 음악스타일의 한 흐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소규모 기악 채용, 대위법적인 요소의 강조, 감성주의(emotionalism)의 회피, 등. 스트라빈스키, 힌데미트 같은이들은 모차르트보다는 바하에게 더 동질감을 느꼈다. 이런 점에서 neo-classic보다는 neo-baroque가 더 적합한 용어라 생각된다.
new music
(1)17세기 초에 유행하던 새로운 표현주의 음악.
(2)1850년~1900년간에 리스트와 바그너, 그리고 그들의 추종자들이 보다 전통적인 외관을 가졌던 브람스의 음악에 반대하여 주장하던 음악.
nobile(It.) 노빌레. 고상한.
nobilmente(It.) 노빌멘테. 고상하게.
nocturne
(1)밤에 연주되는 곡. 18세기에 작곡되던 세레나드 타입의 곡으로, 여러 악기로 연주되며, 복수의 악장으로 구성된다.
(2)하나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서정적인 피아노 곡으로, 쇼팽이 작곡한 곡들이 많이 있다.
noel(Fr.) 노엘. 성탄절.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캐롤.
Nunc Dimittis(Lat.) 눈크 디미티스. 라틴어 성경의 누가복음 중 Nunc Dimittis로 시작되는 텍스트. 로만 카톨릭 교회의 저녁 예배때 연주 되는 곡. 작곡가들은 Magnificat와 Nunc Dimittis를 함께 작곡한다. 두 곡은 통합되어 하나의 곡을 이룬다.
ma(It.) 마. 그러나(but)
madrigal 마드리갈. 16세기~17세기에 유행하던 여러 성부로 이루어진 성악곡을 말한다. 마드리갈은 대위법적으로 작곡되었으며, 이탈리아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나 영국에서도 유행하였다. 나중에 몬테베르디에 이르러 독립적인 기악 반주를 동반하게 된다. 가사는 주로 세속적인 사랑의 이야기가 많은데, 때로는 종교적인 마드리갈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예: madrigali spirituali(영적인 마드리갈). 본래 마드리갈은 이탈리아에서 14세기에 발생한 형식인데, 사라졌다가 위에서 밝힌대로 16세기에 다시 살아난 것이다.
maestoso(It.) 마에스토조. 위엄있는, 당당한.
maestro(It.) 마에스트로. 이탈리아에서 전통적으로 지휘자와 작곡가에게 부여하던 칭호. 특히 미국에서는 지휘자에 대한 존칭으로 사용한다.
maestro al cembalo(It.) 마에스트로 알 쳄발로.
18세기에 콘서트와 오페라를 지휘하던 음악가인데 동시에 그자신은 하프시코드를 연주하였다.
maestro di cappella(It.)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
왕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교회의 음악 감독.
Magnificat(Lat.) 마그니피카트. 루가복음에 포함되어 있는 '마리아의 노래'. 이 노래의 라틴어 번역본의 첫 단어가 magnificat이다. 이 곡은 로만 카톨릭뿐만 아니라 영국 국교회에서도 예배에 사용한다.
malinconia(It.) 말린코니아. 우울(melancholy)
marche(Fr.) 마르슈. 행진. 예:Marche militaire 군대행진곡
marcia(It.) 마르치아. 행진. 예: alla marcia 행진곡 풍으로
Marseillaise,La(Fr.) 라 마르세이예즈. 루제 드 릴(Rouget de Lisle)가 1792년에 작곡한 프랑스 국가. 마르세이예즈라는 이름은 당시에 마르세이유에서 온 자원병들이 파리에 입성하면서 이 노래를 불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Mass 매스. 미사(missa)는 라틴어. 이탈리아어는 messa 이다.
로만 카톨릭 교회의 종교의식의 한 형태. 높은 미사(High Mass)는 가창되고, 낮은 미사(Low Mass)는 가창되지 않고 말로 한다. 미사곡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작곡되는데 보통, 전통적인 단선율로 작곡된다(단, 레퀴엠 미사곡은 예외). 통상적인 미사(Ordinary Mass)는 변경되지 않고 언제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 베네딕투스를 동반한 상투스, 아그누스 데이(Kyrie, Gloria, Credo, Sanctus with Benedictus, Agnus Dei).
이러한 통상적인 미사곡은 베토벤의 경우 단순히 Mass in C라고 했고, 하이든의 Nelson Mass처럼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것은 미사곡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미사곡의 텍스트는 언제나 라틴어로 작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 제2차 바티칸 종교회의의 칙령이 효력을 발생하게 되어 각 민족의 언어로 된 텍스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mattinata(It.) 마티나타. 아침의 노래.
mazurka 마주르카. 3/4 또는 3/8박자로 된 폴란드의 춤곡. 쇼팽에 의해서 콘서트 뮤직으로 소개 되었다. 쇼팽은 약 55곡의 마주르카를 작곡했다.
mezzo-forte(It.) 메쪼 포르테. 약자는 mf. 피아노와 포르테의 중간.
mezzo-soprano(It.) 메쪼 소프라노.
소프라노와 콘트랄토의 중간 음역에 속하는 여성의 목소리.
mezzo-contralto(It.) 메쪼 콘트랄토.
메쪼 소프라노보다 조금 낮은 음역의 여성 목소리.
m.g. 왼손으로. 프랑스어 왼손 main gauche의 약자.
min. minor(단조)의 약자.
Minnesinger(Ger.) 미네징어. 12세기~13세기 독일에서 유행했던 음유시인의 길드에 속했던 사람들. 사회적으로 이들은 귀족 계급 출신이었다.
minor 마이너. 메이저(major)의 상대어.
minore(It.) 미노레. 마이너(minor)의 이탈리아어.
minstrel 민스트럴. 중세의 음악 공연자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
이들은 보통 자신이 직접 반주를 하며 노래하였고 대개 길드 같은 조직에 몸을 담고 있었다. 이런 사람들은 Joungleur, Meistersinger, Minnesinger, Troubadour, Trouvere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missa(Lat.) 미사.
moderato(It.) 모데라토. 보통빠르기.
moll(Ger.) 몰. 마이너(minor)
molto(It.) 몰토. 매우, 많이.
mosso(It.) 모소. 활기있는.
motet 모테트.
(1)교회 합창곡. 보통 라틴어로 되어있다. 교회 전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텍스트가 사용된다.
(2)합창이며 '진지한(serious)'한 내용이지만 교회와는 관련이 없는 곡. 예: 패리(Parry)가 작곡한 '이별의 노래들(Songs of Farewell)'.
(3)중세에는, 주어진 테너 파트에 기반을 둔, 다성부 성악곡을 의미. 테너보다 높은 성부는 대개 테너보다 더 빨리 진행된다. 프랑스의 세속 모테트의 경우, 테너 성부는 라틴어로 되어 있는데, 테너보다 높은 성부에서는 프랑스어 텍스트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모테트를 특히 polytextual motet라고 한다.
ode 오드. 송시(頌詩). 송시를 텍스트로 하여 쓴 성악곡.
Old Hall Manuscript 올드 홀 매뉴스크립트. 성 에드먼드 칼리지의 Old Hall에서 발견한 14세기~15세기에 사용하던 교회 음악의 모음곡집.
op. opus의 약자.
opera-ballet 오페라-발레. 오페라와 발레의 비중이 반반인 공연물로, 17세기~18세기의 프랑스에서 륄리(Lully), 라모(Rameau)같은 작곡가들이 작곡하였다.
opera bouffe(Fr.) 오페라 부프. 가벼우며 보통 풍자적인 오페라 또는 오페레타.
예를 들면, 오펜바하의 오페레타. 이탈리아어 opera buffa에서 차용한 용어인데,
음악사적으로 볼때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opera buffa(It.) 오페라 부파. 코믹 오페라. 페르골레지의 La serva padrona 에
의해 대표되는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를 말한다. 비교: opera seria
opera comique(Fr.) 오페라 코미크. 이 용어의 문자적인 의미는 '코믹 오페라'이다. 그러나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의미한다.
(1)필리도르(Philidor)나 몽시니(Monsigny)같은 이들이 작곡한 이야기체 대화를 동반한 18세기 프랑스의 코믹 오페라.
(2)19세기에 들어와, 이야기체 대화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코믹하건 그렇지 않건)
오페라를 뜻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레치타티브를 포함하지 않았던 구노의 '파우스트', 비제의 '카르멘'같은 오페라들의 오리지날 버전이 오페라 코미크에 속한다.
(3)대문자로 표기한 Opera-Comique는 파리에 소재하고 있는 극장의 이름이다.
opera-oratorio 오페라-오라토리오.
스트라빈스키가 자신의 작품 '오디푸스 왕 Oedipus Rex'에 부여한 용어.
이것은 무대에서 공연을 하되 동적이 아니라 정적으로 공연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opera seria(It.) 오페라 세리아. 진지한 오페라(serious opera). 오페라 부파의 상대어. 특히, 18세기에 번창하였고 그것이 로시니의 Semiramis(1823)까지 이어졌던 오페라의 한 형태인데, 다음과 같이 네 가지 특징을 갖는다.
(1)이탈리아어 대본
(2)영웅적 혹은 신화적인 플롯
(3)음악과 액션에 있어서 형식을 중요시함
(4)주요 배역은 카스트라토(거세한 남성 성악가)들이 맡았다.
operetta(It.) 오페레타. 막의 수에 관계없이 가벼운 오페라(light opera)를 뜻함.
operette(Fr.) 오페레트. operetta의 프랑스어.
opus(Lat.) 오푸스. 작품을 뜻하는 라틴어. 줄여서 op.로 표시한다. 작품번호를 붙일 때 op.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작품 번호 40은 op.40으로, 작품 번호 40의 세번째 작품은 op. 40, no. 3으로 표기한다.
oratorio 오라토리오.
(1)작곡의 한 형태이다. 1600년 경에 로마 소재 성 필립 네리의 작은 예배당(Oratory)에 기원을 두고 있다. '오라토리오'라는 이름도 거기서 생긴 것이다. 다소 극적인 모양새를 갖춘 종교 텍스트를 광범위하게 작곡한 것이다. 대개 솔리스트, 합창, 오케스트라 등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는 무대 배경, 복장, 액션 등을 필수적으로 갖추었으나, 나중에 단순히 콘서트 형식으로만 연주하게 되었다.
(2)위의 형식과 비슷하게 연주 되지만 비종교적인 주제를 다루는 경우도 있다. 예:헨델의 Semele(시멜리), 티페트의 A child of our time(우리 시대의 아이)같은 작품들.
orchestration 오케스트레이션. 작품을 오케스트라가 연주할 수 있도록 고쳐 쓰는 일.
ordre(Fr.) 오르드르. suite에 해당하는 프랑스 말.
Orgel(Ger.) 오르겔. 오르간을 뜻하는 독일어.
예컨대, 바하의 Orgelbuchlein은 '오르간 소책자'를 뜻한다.
orgue(Fr.) 오르그. 오르간을 뜻하는 프랑스 말.
Orpheus Britannicus(Lat.) 오르페우스 브리타니쿠스. 영국의 오르페우스라는 뜻. 퍼셀의 사후에 출간된 가곡집 두 권의 이름. 이중에서 18곡을 골라 브리텐(Britten)이 편곡하였다.
ossia(It.) 오시아.
(1)대체할 수 있는 악절(樂節)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이전 버전에서 잘못 표기된 것이라고 생각하는 악절에서, 편집자는 ossia를 표기하고 수정된 악절을 제시한다. 잘못 표기된 악절을 발견한 작곡자 자신이 ossia를 사용하는 수도 있다.
(2)오페라의 정식 제목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제목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예를 들어, Otello, ossia Il Moro di Venezia라고 표기한 것은, 오페라 Otello는 또한 Il Moro di Venezia라는 제목으로 불릴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ostinato(It.) 오스티나토. 계속 반복되는 인물이나 리듬을 뜻함.
예: basso ostinato는 계속 반복되는 베이스를 뜻한다.
ottava(It.) 오타바. 옥타브를 의미하는 이탈리아 말.
ouverture(Fr.) 우베르튀르. overture를 뜻하는 프랑스 말.
Ouverture(Ger.) 우베르튀레. overture를 뜻하는 독일어.
overture 오버츄어. 서곡.
(1)오페라나 오라토리오의 공연에 앞서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음악.
(2)연극의 공연에 앞서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음악.
(3)콘서트 홀을 위한 한 개 악장으로 된 오케스트라. 이런 경우 특히 콘서트 오버츄어(concert-overture)라고 한다. 멘델스존의 Hebrides가 최초임.
(4)French overture는 17세기~18세기에 오페라에 앞서서 연주되던 오케스트라 곡으로, '느린 악장-빠른 악장'의 두 악장으로 구성 되었다.
(5)Italian overture는 '빠른 악장-느린 악장-빠른 악장'의 세 악장으로 구성 되었다. 이것은 나중에 교향곡(symphony)으로 발전되었다.
p. 이탈리아어 piano의 줄임말. 약하고 부드럽게.
parlando, parlante(It.) 파를란도, 파를란테. 말하는 톤으로 노래하라는 용어.
parody 패러디. 쉽게 식별되는 작품을 모델로 하여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개작한 작품.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사용하는 용어이다.
partition(Fr.) 파르티시용. 악보(score)를 뜻하는 프랑스 말.
Partitur(Ger.) 파르티투르. 악보를 뜻하는 독일어.
part-song 파트-송. 여러 개의 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노래. 솔로나 제창(unison song)과 구별된다. 특히 16세기 초 영국에서 유행하던 노래 형식으로, 대위법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러 성부를 가지고 있다. 가장 높은 성부가 멜로디라는 점이 마드리갈과 다르다.
Passio(Lat.) 파시오. Passion을 뜻하는 라틴어.
Passion 패션. 수난에 관한 성경 스토리를 음악으로 작곡한 것.
라틴어로 passio는 수난 혹은 고통을 뜻함. 특히 예수의 죽음을 다룬 것이 많다.
수난곡은 대개 교회에서 부활절 이전에 연주한다.
예: 바하의 '성 요한 수난곡', '성 마태 수난곡'등.
pasticcio(It.) 파스티치오.
18세기에 유행하던 것인데 여러 작곡가의 음악을 조립하여 만든 오페라.
pastiche(Fr.) 파스티슈. pasticcio를 뜻하는 프랑스 말.
pastoral 패스토랄. 목가(牧歌). 시골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음악.
pastourelle(Fr.) 파스투렐르. 본래는 '여자 양치기'를 뜻함.
기사가 여자 양치기와 나누는 시적 대화를 뜻하는데 여자 양치기를 유혹하는 내용이다. 그러한 시를 작곡한 성악곡. 13세기 혹은 그 이전에 프랑스에서 유행하였다.
나중에 이 용어는 다시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때는 일반적으로 목가적인 삶을 다룬 작품을 뜻함.
percussion 퍼커션. 타악기.
petto(It.) 페토. 가슴. voce di petto는 가슴소리(chest voice).
pianissimo(It.) 피아니시모. 매우 약하고 부드럽게. 보통 pp.로 표기한다.
pianoforte(It.) 피아노포르테. 우리가 보통 '피아노'라고 부르는 악기를 뜻하는 이탈리아 말.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약하게-세게'이다. 예전의 하프시코드보다 강약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악기라는 것을 나타내는 듯함.
piu(It.) 피우. 더욱. 예:piu lento 더욱 느리게
plainchant, plainsong 플레인찬트, 플레인송. 중세의 교회용 성악곡으로, 나중에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로 칭해져 로만 카톨릭 교회에서 예배용으로 채택되었다. 플레인찬트는 무반주 단선율 성악곡으로 멜로디는 '자유로운'리듬으로 구성되었다. 고유의 기보법으로 기록됨.
pochetto, pochettino(It.) 포케토, 포케티노. poco(조금)의 지소어(指小語).
pochissimo(It.) 포키시모. poco의 최상급. 아주 조금.
poco(It.) 포코. 조금.
polo 폴로. 스페인 춤의 한 형태로 노래를 동반하고 있다.
pop 팝. popular의 줄임말. 본래는 형용사로 '넓은 청중에게 호소하는'을 뜻했다. 그러나 1950년대에 와서 클래식이 아니며, 상업적인 목적으로 주로 미국에서 만든 노래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portamento(It.) 포르타멘토. 소리의 끊어짐이 없이, 한 음에서 높거나 낮은 다른 음으로 옮겨 가라는 용어.
portando(It.) 포르탄도. 위의 portamento와 동일한 용어.
port de voix(Fr.) 포르 드 봐.
(1)위의 portamento와 동일한 뜻.
(2)17세기 이후 프랑스 음악에서 장식음을 의미함.
post-Romanticism 포스트-로만티시즘. 후기-낭만주의. 낭만주의의 절정에 해당하는 바그너 이후에 계속된 음악 스타일에 적용되는 용어.
후기-낭만주의는 힘을 중요시 하며, 감정이나 철학적인 사상과 음악의 연계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말러(Mahler)처럼.
pot-pourri(Fr.) 포푸리. 여러 선율을 뒤섞은 혼성곡. 메들리.
Praeludium(Lat.) 프래루디움. 전주곡(prelude).
precipitato, precipitoso(It.) 프레치피타토, 프레치피토조.
성급하게, 급히, 서둘러서.
pre-classical 프리-클래시컬.
C.P.E. Bach나 J.C. Bach같은 작곡가들의 음악 스타일을 지칭하는 용어.
이들은 바로크보다 나중에 속하며,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같은 비엔나 고전주의 음악가들 보다 바로 앞선 시대에 속한다.
prelude 프리루드. 전주곡.
pressez(Fr.) 프레세. 가속하라, 속도를 올려라.
prestissimo(It.) 프레스티시모. 매우 빠르게. presto의 최상급.
presto(It.) 프레스토. 빠르게.
primo, prima(It.) 프리모, 프리마. 제일의, 첫째의.
프리모는 남성형, 프리마는 여성형 형용사이다.
특히, 프리모는 듀엣 피아노 곡에서 높은 파트를 가리킴.
prima donna(It.) 프리마 도나. 오페라의 캐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여성 성악가.
prima donna assoluta(It.) 프리마 도나 아솔루타. 절대적인 프리마 도나.
프리마 도나 중에서 프리마 도나.
primo uomo(It.) 프리모 우오모. 오페라의 캐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남성 성악가.
prima vista(It.) 프리마 비스타. 초견.
prima volta(It.) 프리마 볼타. 첫번째.
principal 프린시팔.
(1)오케스트라의 각 섹션에서 리더인 연주자.
(2)오페라에서 주요 배역을 맡은 성악가.
programmatic music, programme music 프로그라마틱 뮤직, 프로그람 뮤직. 스토리나 그림을 해석하는 음악. 이 용어는 '콘서트 프로그람'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러스트러티브 뮤직(Illustrative music)'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metheus 프로메테우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인데, 올림퍼스에서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주었다. 그 벌로 그는 바위에 묶인채 독수리에게 간을 먹혔다. 프로메테우스는 많은 음악의 주제가 되었다. 특히 괴테의 '프로메테우스'는 슈베르트(1819)와 볼프(1889)가 쓴 리트의 텍스트가 되었다.
prompt 프롬트. 오페라에서 성악가에게 시작하라는 신호를 줌.
psalm 사암. 본래 하프에 맞춰 부르던 찬미가를 뜻했다.
지금은 구약성서 시편에 수록된 시들을 지칭함.
psalmody 사머디. 시편의 시를 텍스트로 하는 성가곡.
quartet 쿼르테트.
(1)네 사람으로 구성된 기악 또는 성악 연주 그룹.
(2)네 사람의 연주자를 위한 곡.
quatuor(Fr.) 콰튀오르. quartet에 해당하는 프랑스 말.
quintet 퀸테트.
(1)다섯 사람으로 구성된 기악 또는 성악 연주 그룹.
(2)다섯 사람의 연주자를 위한곡quintuor(Fr.)
켕튀오르. quintet에 해당하는 프랑스 말.
ragtime 래그타임. 초기 형태의 재즈인데, 특히 싱코페이션으로 연주하는 피아노 곡일 경우가 많다. 1890년 경부터 1920년 사이에 유행이었다가 1970년대에 스트라빈스키의 '11개 악기를 위한 래그타임(Ragtime for 11 instruments)'으로 리바이블 되었다.
rallentando(It.) 랄렌탄도. 점점 느리게.
rasch(Ger.) 라슈. 빠르게.
recit. recitative의 줄임말.
recital 리사이틀. 독창 혹은 이중창으로 진행되는 공연.
recitative 레시타티브. 말하는 것처럼 연주하는 노래의 한 형태.
보통의 기보법으로 쓰여졌으나 리듬에 있어서 상당한 자유가 허용된다.
주로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에서 사용되며, 아리아 바로 전에 레시타티브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recitativo(It.) 레치타티보. recitative에 해당하는 이탈리아 말.
refrain 리프레인. 후렴.
Renaissance(Fr.) 르네상스. 재생, 다시 태어남. 음악에서 르네상스는 중세와 바로크 시대의 사이에 있는 기간을 말한다. 즉, 15세기 초부터 17세기 초까지. 던스터블(Dunstable)이나 뒤파이(Dufay)같은 작곡가들이 이에 속한다.
repetiteur(Fr.) 레페티퇴르. 오페라단의 음악 스태프 중의 한 사람으로, 성악가들에게 코우치 역할을 하며 공연중에는 프롬터(prompter)가 된다. 프롬터는 공연중에 성악가들에게 노래를 시작하라는 신호를 주는 사람.
repetition(Fr.) 레페티시용. 리허설에 해당하는 프랑스 말.
repetition generale(Fr.) 레페티시용 제네랄. 최종적인(드레스)리허설.
reprise(Fr.) 르프리즈. 반복(기호).
Requiem 레퀴엠.
(1)죽은 사람을 위한 로만 카톨릭 교회의 라틴어로 되어 있는 미사곡.
레퀴엠의 텍스트는 라틴어 "레퀴엠(requiem)"으로 시작된다.
레퀴엠은 '쉬거라' 혹은 '안식하라'는 뜻. 대개 단선율로 되어 있다.
많은 레퀴엠들이 실제 장례식에서 연주되지 않고, 콘서트 연주용이다.
예를 들면 베를리오즈의 '죽은이들을 위한 대 미사곡(Grande Messe des Morts)'나 베르디가 작가 알레산드로 만쪼니를 위해 작곡한 레퀴엠이 그러하다.
(2)죽은 사람을 기념하기 위한 합창곡. 예를 들면 브람스가 성경 텍스트를 사용하여 작곡한 '독일 레퀴엠(A German Requiem)'이 그러하다.
rhapsody 랩소디. 광상곡. 19세기와 20세기의 작품으로, 한 개의 악장으로 되어 있고 낭만주의적인 영감으로 가득차 있는 경우가 많다. 대개 이미 존재하는 테마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리스트의 '헝가리언 랩소디' 그리고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테마에 기초한 랩소디' 등.
rit. ritardando의 약어
ritardando(It.) 점점 더 느리게
ritmo(It.) 리듬
rock 미국적인 뿌리를 가진 대중음악으로, 1950년경부터 퍼져나가 지금은 전세계로 확산되어 있다. 대개 솔로 보이스와 전자 기타로 연주 되었다.
rock 'n' roll rock and roll을 뜻함. rock음악의 한 형태로, 특히 리듬에 맞춰 연주자가 몸을 흔드는 것이 특징이다.
rococo 쿠프랭(F. Couperin 1668-1733)의 음악에 적용되는 용어로, 이전의 바로크 음악이 육중한 규모와 구조적인 면을 강조한 반면, 로코코는 장식적인 면과 가벼움을 강조한다.
romance(Fr.& Eng.)
romanza(It.)
Romanze(Ger.) 로망스, 로만짜, 로만쩨. 음악적으로 광범위하고도 모호한 의미를 갖고 있는 용어이다. 피아노 협주곡의 느린 악장을(모차르트), 때로운 단순히 독창곡(solo song)을 의미하기도 한다. 어쨌든 로망스에는 '친밀함'과 '부드러움'과 같은 뉘앙스가 포함되어 있다. 낭만주의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Romanticism 낭만주의. 감정의 표현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음악. 따라서 감정의 표현을 절제하고자 했던 고전주의(Classicism)와 대립된다. 한편 음악과 감정의 관련성을 부인하는 스트라빈스키 같은 이들을 반-낭만주의(anti-Romantic)음악가라고 한다.
rondeau(Fr.) 롱도. 순환 혹은 반복되는 형태을 갖고 있는 음악형식. 13-15세기에는 성악곡을, 17세기에는 기악곡인 경우가 많았다.
rondel(Fr.) 롱델. 위의 rondeau와 동일한 용어.
rondo(It.) 론도. 반복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기악곡을 뜻함.
모차르트의 시대에 와서 론도는 작곡의 한 패턴으로 자리잡았고,
협주곡이나 소나타의 마지막 악장에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ABACADA...로 구성되었을 때, 반복되는 A를 "론도 테마(rondo-theme)"라고 하고, B,C,D 는 테마에 대비되는 "에피소드(episodes)"라고 한다.
이러한 형태가 소나타에 적용되면(예를 들어 모차르트나 베토벤처럼) 소나타 론도(sonata-rondo)라고 하는데, 이때 주음이 아닌 키로 되어 있는 첫번째 에피소드(B)는 나중에 주음의 키로 다시 나타난다. 그리고 이탈리아 오페라에서 느린 부분 다음에 빠른 부분이 오는 아리아를 론도라고 하였다. 그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rubato(It.) 루바토. 박자에 구애받지 않고 연주하라는 의미.음악에 적절한 표현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saraband(Eng.)
sarabande(Fr.) 사라방드. 전 유럽으로 퍼진 스페인의 춤.
예전의 조곡(suite)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포함되었다.
사라방드는 3/2박자로 된 느린 음악이다.
Scala, La 라 스칼라. 1788년에 세워진 밀라노의 극장이름으로, 정식이름은 Teatro alla Scala이다. 스칼라라는 이름은 이 극장이 Santa Maria alla Scala 라고 하는 교회 터에 세워졌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schnell(Ger.) 슈넬. 빠르게. schneller 는 '더 빠르게'
semi-opera 세미 오페라. 17-18세기의 공연 작품을 지칭하는 현대 용어. 예컨대 퍼셀의 <아더 왕 King Arthur> 같은 작품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는 하지만 오페라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세미 오페라'로 분류한다.
semplice(It.) 셈플리체. 단순하게.
sempre(It.) 셈프레. 언제나.
senza(It.) 센짜. ...없이(without)
serenade 세레나데. 본래는 사랑하는 여성의 창문 밑에서 사랑을 구하기 위해 저녁에 부르는 노래를 뜻하였다(비교: aubade는 아침에 부르는 노래). 그러나 지금은 아주 넓고도 모호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고전주의 시대(18세기)에 이 용어는 '관악기로 구성된 여러 악장으로 이루어진 음악'을 뜻하였다. 그것은 소나타 형식 혹은 미뉴에트 형식을 취하였다. 그러한 뜻으로 사용되는 독일어 용어는 Nachtmusik이다(예:Eine kleine Nachtmusik). 한편, 본래적인 의미, 즉 사랑을 구하기 위해 저녁에 부르는 노래는 독일어로 Standchen이라고 한다.
serenata(It.) 세레나타.
(1)세레나데를 의미함. 예:모차르트의 Serenata notturna(1776)
(2)18세기에 영국에서는 '오페라를 많이 닮은 칸타타'를 의미하였다.
예:헨델의 <Acis and Galatea>
serre(Fr.) 세레. 스피드와 긴장을 증가시키라는 용어.
동일한 뜻의 이탈리아 용어는 stringendo이다.
sforzando, sforzato(It.) 스포르찬도, 스포르차토.
특별히 강조하여 연주하라는 용어.
Six, The(Eng.)
Les Six(Fr.) 6인조. Auric, Durey, Honegger, Milhaud, Poulenc, Tailleferre 여섯 명의 프랑스 작곡가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6인조는 프랑스 평론가 앙리 콜레(Henri Collet)에 의해 1920년에 결성되었다. 콜레에 의하면 이들의 정신적인 지도자는 사티(Satie)와 장 콕토(Jean Cocteau)였다고 한다. 이 6인조에 의해 프랑스 음악의 르네상스가 이룩되었다. 그러나 6인조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서 오네게르(Honegger), 미요(Milhaud), 풀렝크(Poulenc)만이 명성을 떨쳤다.
slur 슬러. 이음줄. 끊지 말고 이어서 연주하라는 표시
solo(It.) 솔로. 한 사람이 연주하는 곡 또는 곡의 일부분. 보통 solo song이라고 하면 한 사람의 성악가가 피아노 반주로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sommo, somma(It.) 솜모, 솜마. 가장 높은.
예: con somma passione는 '최고로 열정적으로'
sonata(It.) 소나타. 문자적으로는 기악곡을 의미한다(가창되는 곡, 즉 성악곡은 칸타타 cantata). 1600년경에 이탈리아에서 소나타는 '널리 유행되지 못하던 기악곡'을 의미했다(당시에는 canzona 혹은 ricercar가 유행하였다).
하이든, 모차르트 시대(이른바 고전주의 시대)에 소나타는 대개 3-4개 악장으로 구성되었다. 지금은 한 사람 혹은 두 사람이 연주하는 곡만을 소나타라고 한다.
세 사람이 연주하는 기악곡을 트리오(trio), 네 사람이 연주하는 기악곡을 콰르텟(quartet)..., 그리고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것을 심포니(symphony)라고 한다.
그러나 바이올린 소나타 혹은 첼로 소나타 같은 용어들은 피아노의 참여를 당연시 한다. 소나타는 '소나타 형식'을 갖는다. 이러한 소나타 형식은 스카를라티(D. Scarlatti)의 1악장으로 된 짧은 건반을 위한 곡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소나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바하(C.P.E. Bach)이다. 바하 이전의 기악곡들은 주로 여러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조곡(suite)이었다. 17세기와 18세기 초에 유행하던 체임버 소나타(이탈리아어로 sonata da camera)는 대개 춤곡이었는데 실제로 조곡(suite)에 속하는 것이다. 조곡은 두 개 이상의 현악기들이 건반의 반주와 함께 연주한다. 즉, 오늘날의 소나타에 적용되는 '한개 혹은 두개의 악기의 연주'라는 필요 조건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것이다. 교회 소나타(sonata da chiesa)도 춤곡처럼 가벼운 곡이 아닐뿐 실제로 조곡(suite)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sonata-form 소나타 폼. 소나타 형식. 소나타나 심포니의 제1악장에서 채택하는 음악적 구성의 한 형식이다. 때로는 다른 악장에서도 채택한다. 소나타 형식은 주제 제시부(exposition), 전개부(development), 재현부(recapitulation)로 이루어진다. 즉, 앞부분에서 제시된 주제를 발전시키고 마무리짓는 형식이다. 재현부는 제시부의 변형된 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재현부 이후에 코다(coda)를 추가하는 수도 있다. 코다는 일종의 '최종 마무리'이다.
sop. soprano(소프라노)의 줄임말.
soprano(It.) 소프라노. 여성의 가장 높은 성부에 속하는 목소리
sostenuto(It.) 소스테누토. 음을 연장하여, 계속하여.
sotto voce(It.) 소토 보체. 속삭이는 목소리로.
soutenu(Fr.) 수트뉘. sostenuto에 해당하는 프랑스 음악 용어
speech-song 스피치 송. 말과 노래의 중간에 속하는 노래. 이것은 쉔베르그(Schoenberg)가 처음으로 시도한 것이다. 독일어로 Sprechgesang이라고 한다.
spianato(It.) 스피아나토. 매끄럽고 고르게.
spinto(It.) 스핀토. 목소리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로,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는' 힘있는 소리를 지칭한다. 예:lirico spinto(테너나 소프라노 중에서 멀리 헤치고 나아가는 힘있는 목소리를 뜻함).
spiritual 스피리츄얼. 흑인 영가. 대개 솔로와 후렴으로 구성되는 미국 흑인들의 민요적인 성격을 띄는 종교 성악곡.
Stabat Mater(Lat.) 스타바트 마테르. 십자가 옆에서 철야하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중세 라틴어로 된 기도 시. 1727년 이후 줄곧 로마 카톨릭 교회의 찬미가(hymn)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전에도 죠스켕(Josquin)이나 팔레스트리나(Palestrina) 같은 이들이 작곡한 곡들이 있었다. 그리고 페르골레지(Pergolesi)나 버클리(Berkeley)가 작곡한 곡도 있다.
staccato(It.) 스타카토. 짧게 끊어서 연주하기
Standchen(Ger.) 슈텐트헨. 세레나데를 의미하는 독일어
stark(Ger.) 슈타르크. 큰 소리로, 강하게.
Star-Spangled Banner, The 스타 스팽글드 배너. 미국의 국가. 1931년에 국가로 채택되었다. 가사는 1814년에 쓰여졌다. 그러나 곡은 그 이전에 죤 스태포드 스미스(John Stafford Smith)가 작곡한 것이다.
Stimme(Ger.) 슈티메. 목소리, 성부(聲部).
string(s) 스트링. 악기의 줄을 뜻한다. 보통 현악기를 스트링이라고 한다. 오케스트라에서stringsection이라고 하면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를 말한다. 하프와 피아노는 별도로 분류된다. 따라서 스트링 오케스트라는 제1,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를 포함한다. 현악사중주는 제1,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다. 현악 삼중주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다.
strophic 스트로픽. 동일한 음악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노래를 strophic song이라고 한다. 물론 가사는 다르다. 쉽게 말해, 1절 2절 3절...이런식으로 구성된 성악곡을 말한다. 한마디로 '유절가곡'이라고 한다.
subito(It.) 수비토. 즉시, 즉각적으로
suite(Fr.) 스위트. 조곡. 여러 악장으로 구성된 기악곡을 보통 조곡이라고 한다. 특히 17, 18세기에는 알망드(allemande), 꾸렁트(courante), 사라방드(sarabande), 지그(gigue)같은 춤 형식이 포함 되었다. 이러한 춤곡들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형식(binary form)은 18세기 중반에 소나타 형식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그 후 조곡은 설땅을 잃게 되었다. 19, 20세기에 들어와 조곡은 일반적으로 소나타 보다 더 가볍고 덜 조직화된 기악곡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오페라나 발레 음악에서 테마를 빌어와 발전시킨 여러 악장으로 구성된 기악곡을 뜻하기도 한다.
Swan Song(Ger., Schwanengesang) 스완 송(슈바넨게장). 백조의 노래. 슈베르트의 사후인 1828년에 출판사가 14곡을 모아 "백조의 노래"라는 이름으로 출판한 가곡집이다. 따라서 이 곡들은 단순한 모음곡집이지, 연가곡이라고 할 수 없다.
symphony 심포니. 문자적으로 심포니는 "함께 내는 소리"를 뜻한다. 심포니는 예전에 (1)오페라에 앞서 연주되는 서곡(overture), 또는 (2)성악곡을 도입하기 위한 기악 섹션을 의미했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18세기 중반이후 심포니는 심각한 성격을 가진 오케스트라 곡으로, 오케스트라를 위한 소나타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심포니는 4악장으로 되어 있으며, 간혹 3악장과 5악장으로 된 경우도 있다. 심포니는 별도의 이름을 갖기도 하며(예:베토벤의 파스토랄 심포니 등) 때로는 성악파트를 포함하기도 한다(예:베토벤의 합창 심포니). 그러나 그것은 예외적인 현상이다.
Tafelmusik(Ger.) 타펠무직. 연회 음악. 연회장에서 연주되는 음악.
tango 탱고. 아프리카 노예들을 통해 전해진 아르헨티나의 춤.
제1차세계대전 중에 무도장에서 많이 추었다.
tarantella 타란텔라. 6/8박자로 이루어진 이탈리아의 빠른 춤곡.
장조와 단조가 번갈아 나타난다.
tarentelle(Fr.) 타렁텔르. 위의 타란텔라를 뜻하는 프랑스어.
tedesco(It.) 테데스코. '독일의' 예:alla tedesca 독일식으로, 독일풍으로.
Te Deum(Lat.) 테 데움. 로만 카톨릭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찬미가.
Teil(Ger.) 타일. part 혹은 section을 의미하는 독일어.
tema(It.) 테마.
tempo(It.) 템포. 빠르기.
ten. 테너(tenor)의 약어.
tenero(It.) 테네로. 부드럽게.
tenor 테너. 알토(alto)를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가장 높은 소리를 내는 남성의 목소리. 알토는 가성을 사용한다.
tessitura(It.) 테시투라. texture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성악가가 자연스럽게 낼 수 있는 음의 영역.
texture 텍스쳐. 작곡 혹은 오케스트레이션에서 감지되는 음의 상대적인 밀도.예:"브람스의 오케스트레이션은 텍스쳐가 비제의 그것보다 두껍다." 바로 위에 설명한, 이탈리아어 tessitura와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
theme 테마. 곡에서 중요한 요소를 구성하는 음들의 그룹. 한 작품에서 보통, 테마는 반복되거나 발전 된다.
tie 타이, 붙임줄
timbre(Fr.) 탱브르. 톤 칼라(tone color)
toccata(It.) 토카타. 보통 한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기악곡으로, 연주자의 터치를 보여주는 빠른 템포로 되어 있다 (이탈리아어로 toccare는 '터치'를 뜻함).
그러나 하프시코드를 위한 바하의 토카타는 여러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ton(Fr.) 통.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프랑스어 용어. note, tone, key 등을 의미한다.
Ton(Ger.) 톤. 위의 to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독일어 용어.
tonality 토날리티. key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 인데, 특히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껴지는 효과에 관심을 둔다. 여러 개의 키를 동시에 사용할 때 폴리토날리티(polytonality), 키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아토날리티(atonality)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tone 톤.
(1)음악으로 만들어지는 소리의 질. 예:"그는 유쾌한 톤으로 연주한다"
(2)순수한 음으로 구성되는 음악적 소리. 바이올린 소리는 여러 개의 다양한 톤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두개의 반음으로 구성된 음의 간격.
tone color 톤 칼러. 동일한 음을 제1의 악기로 연주한 것과 제2의 악기로 연주한 것을 서로 다른 것으로 느끼게 하는 것은 톤 칼러가 다르기 때문이다.
touche(Fr.) 뚜슈. 현악기의 지판(指板).
toujours(Fr.) 뚜쥬르. 언제나, 항상.
tragedie lyrique(Fr.) 트라줴디 리리크. 프랑스에서 륄리(Lully)와 라모(Rameau) 시대(17-18세기)에 사용하던 용어로, '심각한 오페라(serious opera)'를 뜻한다.
transcribe
(1)오리지날과는 다른 연주 매체를 위해 곡을 편곡하는 것. transcribe는 단순한 편곡(arrange)보다 더 자유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2)상이한 기보법으로 다시 기보하는 것. 예:"중세 기보법으로 기록된 악보를 현대 기보법으로 transcribe 하다."
transpose 트랜스포즈. 오리지날과는 다른 피치로 연주하도록 다시 쓰는 것.
이때 오리지날과 다른 음을 연주하는 악기를 transposing instrument라고 한다.
성악곡들은 성악가의 편리에 따라 더 높거나 더 낮은 키로 이조(移調 transpose) 된다.
treble 트레블. 높은 소리의 한 유형. 보통, 어린이들의 목소리에 적용된다. 아주 높은 어린이의 목소리.
tremolo(It.) 트레몰로. "떨린다"는 뜻. 성악에서는 하나의 음의 급속한 반복이다. 현악기의 연주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활을 상하로 빨리 움직여서 내는 하나의 음의 급속한 반복, 또는 두 가지 음의 급속한 교대이다.
trio(It.) 트리오. 세 사람이 연주하거나 세 개의 악기로 연주하는 것을 트리오라고 한다. 또는 그러한 곡을 트리오라고 한다.
troppo(It.) 트로포. 지나치게, 너무 많이. 예: allegro non troppo '지나치지 않은 알레그로'
troubadour(Fr.) 트루바두르. 11-13세기에 프랑스 남쪽(엄밀히 말하면 르와르강 이남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시인이자 작곡가이며 성악가였던 연주자들. 이들은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곳 저곳으로 방랑하였다.이탈리아어는 trovatore이다.
trouvere(Fr.) 트루베르. 위에 설명한 troubadour와 동일한 용어인데, 단지 이들의 활동 지역이 프랑스 북쪽(정확하게 말하면 르와르강 이북 지방)이었다.이탈리아어는 trovatore이다.
tune 튠.
(1)멜로디, 특히 단순한 작곡의 높은 파트
(2)정확한 톤. 또는 정확한 톤으로 맞추는 것. 예:"피아노를 튜닝하다".
tutto(It.) 뚜또. 모든 것(all)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tzigane(Fr.) 찌간느. 집시(gypsy)를 뜻하는 프랑스말.
독일어는 Zigeuner(치고이너)이다.
un, una, uno(It.) 운, 우나, 우노. '하나'
un, une(Fr.) 하나
und(Ger.) 운트. 그리고
unison 유니즌. 제창(齊唱). 화음을 넣지 않고 여러 사람이 동일하게 노래하는 것.
Urtext(Ger,) 우어텍스트. 추가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작곡가가 본래 작곡한 그대로를 보여주는 판(에디션).
va. 비올라(viola)의 축약어.
valse(Fr.) 발스. 왈츠. 삼박자의 춤곡.
vaudeville(Fr.) 보드빌르. 오페라 용어인데, 여러명의 등장인물들이 차례로 번갈아 부르는 노래. 이때 일반적으로 동일한 후렴이 뒤따른다.
veloce(It.) 벨로체. 빠르게. 실제로 속도를 증가한다기보다, 다른 것에 방해 받지 않고 신속하게 하라는 지시어.
vent(Fr.) 벙. 바람. instrument a vent은 관악기를 뜻함.
verismo(It.) 베리스모. 현실주의(realism). 특히 1900년경의 오페라(예를 들면 마스카니, 푸치니)에 적용되는 용어이다. 이들이 작곡한 오페라는 극중에서 대개 더러운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플롯은 극단적인 경우가 많다.
vibrato(It.) 비브라토. "떤다"는 뜻으로 음 높이의 아주 적은 동요를 말한다. 한 음의 급속한 반복인 트레몰로와 구별되며, 성악 또는 많은 악기 연주에서 행해지는 기교이다. 성악에서 비브라토의 지나친 사용은 오히려 금지되어야 할 결점이다.
vif(Fr.) 비프. 생동감 있게.
villancico 빌란시코.
(1)16세기에 유행했던 스페인의 시 또는 성악곡의 한 형태. 대개 사랑의 노래였다. (2)17세기에 스페인에서, 오케스트라와 연주하는 칸타타를 뜻함.
villanella, villanelle(It., Fr.) 빌라넬라, 빌라넬르. 전원풍의 노래.
특히 16세기 이탈리아에서는 마드리갈보다 덜 복잡한 성악곡을 의미함.
virelai(Fr.) 비를레. 중세 프랑스 성악곡의 한 유형.
virtuoso(It.) 비르투오조. 대단한 기교를 가진 연주자.
vivace(It.) 비바체. 힘차게, 활기있게.
vocalise(Fr.) 보칼리즈. 가사가 없는 솔로 성악곡.
훈련을 위한 것도 있지만, 콘서트 연주를 위한 보칼리즈도 있다.
대표적인 곡으로,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즈"가 있다.
voce(It.) 보체. 목소리
voix(Fr.) 봐. 목소리
volta(It.) 볼타. "---번"
Vorspiel(Ger.) 포어슈필. 전주곡(prelude).
vox(Lat.) 복스. 목소리
VS 브이에스. '성악 악보(vocal score)'의 축약어.
W.(Ger.) 베르케(Werke)의 축약어. 작품이라는 뜻.
작품을 뜻하는 라틴어 Opus와 동일한 의미.
Opus는 보통, Op.로 표시한다. Opus의 복수형은 Opera이다.
waltz 왈츠. 삼박자의 춤곡
yodel 요들. 독일어로는 Jodel이라 한다. 남성 노래 스타일의 일종.
번갈아가며 자연스러운 목소리와 가성을 낸다.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의 알프스산 지역에서 많이 들을 수 있다.
Zigeuner(Ger.) 치고이너. 집시를 뜻하는 독일어
elegie(Fr.) 엘레지. 슬픈 노래, 특히 죽은 이를 애도하는 노래. 영어는 elegy이다.
Emperor's Hymn 황제 찬가. 하이든이 1797년에 작곡한 애국적인 찬가.
오스트리아의 국가가 되었고, 나중에 독일의 국가(Deutschland uber Alles)로 채택됨.
encore(Fr.) 앙코르. 프랑스 말이지만 영어화 되어 '다시 연주하라' 혹은 연주 순서가 다 끝났을 때에 '좀더 연주하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그러한 뜻으로 프랑스에서는 encore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bis를 사용한다.
entr'acte(Fr.) 엉트르악트. 연극, 오페라, 콘서트 등의 중간 쉬는 시간.
영어로는 intermission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