茶는 '몸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마시는 것'이라고
석성우스님은 말했습니다.
茶의 향기는 몸과 마음에서 다같이 나야 합니다.
그리고
茶人은 茶人다워야 합니다.
茶人은 행동과 말이 일치해야 하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과
스스로 맑고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茶人은 늘 곁에 茶를 두는 생활을 해야 합니다.
마시는 茶뿐만 아니라 도구까지도 항상 가까이 하여
일상이 된 茶생활 속에서만이 茶는 살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茶友들과의 茶생활은 정숙해야 합니다.
오솔길처럼 호젓하고 자연스러움이
즐거움을 주는 환희의 길,
너무 가볍지도 그렇다고 너무 무거워 부담스럽지도 않아야 합니다.
그래야 오랜동안 편하게 같이 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너무 엄숙하여 유머가 없어 삭막하게 되면 그것도안됩니다.
茶人은 항상 茶가 그립습니다.
茶人이 서있는 자리엔 茶가 없어도
부드럽고도 은근한 茶香이 어려있는 분위기 이어야 합니다.
茶人은 사람입니다.
사람이기에 우리가 가는 길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 의무를 가졌지요.
참인간의 길을 가고 있는가 스스로 물어야 하지요.
사람의 길을 도(道)라 합니다.
茶가 곁에 있거나 없거나
茶가 매개가 된 사람의 길을 생각하는 것을 茶道라 합니다.
길을 아는 사람은 겉모습과 보아도 진실한 사람이고,
속내로 들어가면 더 닮고 싶어지는 사람입니다.
茶人은 평정을 얻은 사람입니다.
궂은 비가 온다고,
안개가 꼈다고,
빙판이 됐다고,
성낸 모습을 보이거나 섭섭하다고 호소하는 법 없이 그저 고요할 뿐입니다.
그렇다고 완벽한 사람만이 茶人이 아닙니다.
삶에 있어서 살아봐야 그 삶을 얘기하고,
그 사람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그 사람이 없을 때 조급하게 평을하지 말아야합니다.
혹
이런 이야기를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니 茶道를 행하는 茶의 모든 것을 사치라고 단정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나 절실히 인간의 진실한 모습을 찾고 싶어
茶를 마시는 사람들의 존재가 茶人들입니다.
존재해야 할 이유가 너무 평범하고 당당하여
모든 사람이 다 茶人이 되어도
좋을 것입니다.
석성우 스님은 <茶人 5계>를 정했습니다.
- 남의 말을 하지 말라
- 비교하지 말라
- 스스로 충실하라
- 겸손해라 (최고의 덕목)
- 남에게 베풀어라 (뒷모습으로 베풀라)
자기 반성을 기초로 한 진지한 茶 생활은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신과의 거리를 좁혀 자아실현을 돕습니다.
혼자서 고요히 茶를 끓여 마시다 보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생각이 맑아져서,
자신이라는 그릇이 보이게 되고 항상 남을 사랑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지니게 됩니다.
茶人은 또한 주변의 사람을 사랑하게 위해서는 매일 茶를 마시며 반성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