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는 정해진 숫자만큼 0을 붙인다.
로그는 0 이 몇개 있는 세면 된다.
여기 적은 내용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한번 쭉 훝어봐 주십시요.
지수 ; 10을 2번 곱하면 100 이 된다.
대수 ; 100 은 10을 두번 곱한 수이다.
10^2 | 100 |
| Log(100) | 2 |
10^1 | 10 |
| Log(10) | 1 |
10^0 | 1 |
| Log(1) | 0 |
10^-1 | 0.1 |
| Log(0.1) | -1 |
10^-2 | 0.01 |
| Log(0.01) | -2 |
로그 계산 하는 방법; 기술자들은 공학용 계산기를 자주 사용하므로 익숙한 일이지만
다른 일을 하시는 분은 조금은 생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휴대폰에서 계산기를 켜고 , 공학용 계산기를 선택합니다.
log(숫자) = 을 누르면 답이 나옵니다.
직접 해보시면 , 보다 확실하게 자신의 능력으로 만들 수 있으니 , 직접 해보세요.
계산기를 이용하면 큰 숫자들의 곱셈 나눗셈 답이 나오듯이 , 고등학교 때 머리를 아프게 했던 지수 ~ 로그 ~ 루트(√ ̄) 등의 공학 계산들도 바로 계산 됩니다.
지수의 묘미
인테넷에 조사한 자료입니다. 필자 역시 모든 내용을 상세하게 알지는 못합니다.
궁금하면 인터넷에서 조사해 보면 알 수 있으니까요. 한번 쭉 훝어봐 주시기 바람니다.
100을 지수로 표현하면 10의 제곱이다. 이걸 102 로 표현한다.
100 : 1m. 사람 크기.
101 : 10m. 공룡이나 고래 수준.
102 : 백m. 요즘 건물이 이 정도.
103 : km. 강을 건너는 다리 정도.
104 : 10km. 여객기들이 날아다니는 높이. 이 고도에 노출되면 춥기도 춥지만 저산소증으로 죽는다.
105 : 백km. 치타가 달리는 순간 속도, 시속 100km , 치타가 한시간 동안 달리지는 못한다. 고도로 보면 여기서는 우주가 슬슬 시작된다.
106 : 천km. 사실상 지구의 대기가 끝나고 우주 공간이 된다.
107 : 만km. 정지위성 궤도가 대략 3만km 쯤 된다.
108 : 십만km. 지구에서 달까지는 38만km. 빛은 1초에 30만km를 날아간다.
빛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엑스선~자외선~가시광선~적외선~전파 등으로 달리 부른다.
109 : 백만km. 가끔 이 거리를 달린 자동차들이 있다.
1010 : 천만km. 금성이 지구와 제일 가까울 때 4140만km 정도.
1011 : 일억km.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는 대략 1억5천만km.
1012 : 십억km. 토성이 지구와 제일 가까울 때 12억 7740만 km.
1013 : 백억km. 명왕성은 태양에서 60억km 정도 떨어져 있다.
1014 : 천억km. 혜성의 고향으로 알려진 태양계의 끝자락 오르트 구름의 영역
1015 : 1조km. 멀다.
1016 : 1광년의 거리가 9.46x10^15. 이후를 1광년으로 표현합니다.
1017 : 10광년. 태양에서 제일 가까운 이웃 별이 4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1018 : 백광년. 백광년 떨어진 별빛은 백년전에 출발하였다.
1019 : 천광년. 북극성의 거리는 약 800광년.
1020 : 만광년...
1021 : 십만광년. 우리 은하의 크기가 지름 십만광년 정도. 이 안에 천억개의 별이 있다.
1022 : 백만광년. 우리에게 제일 가까운 다른 나선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200만 광년 거리.
1023 : 천만광년. 은하단 규모. 은하를 약 천개 포함.
1024 : 일억광년. 초은하단 규모.
1025 : 십억광년. 퀘이사가 발견되는 거리.
1026 : 백억광년. 우주의 크기는 약 150억광년 정도. 우리 같은 은하계가 천억개 정도 들어 있다. 인류가 인식할 수 있는 한계.
10100 : 10 의 100 승 ; 10을 100번 곱한 수 ; 0 이 100 개 ; 이를 구굴이라하는데 , 자연을 통틀어 가장 큰 수로 규정하고 있다. 이 이상의 숫자는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가장 큰 수를 구글이라고 정했다.
인류가 인식할 수 있는 거리의 한계는 1026 로 0 이 26개 들어 간다. 이렇게 거대한 숫자도 로그를 취하면 26 이라는 작고 간단한 숫자로 인식된다. 즉 아무리 큰 수라 할지라도 로그를 취하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수가 된다.
시간에 대한 글도 함께 작성해 봅니다. 시간은 다양한 단위를 사용함으로 대략 10배 정도의 단위로 정리한다.
1. 1초. 눈 깜박할 사이.
2. 10초. 달리기 선수가 100 미터를 뛰는 시간.
3. 백초, 대략 1분에 비교한다. 간단하게 커피 한잔을 마시는 시간.
4. 10분. 식사하는 시간.
5. 백분, 대략 1시간에 비교한다. 학교의 수업 시간은 한 시간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6. 10 시간; 차이는 많이 나지만 하루에 비교한다.
7. 10일 . 1주일 보다 조금 긴 날짜.
.. 한달은 30일 이니 10일의 3배 100일의 1/3 정도의 기간.
8. 100일 ; 일년 중 한 계절 당 대략 100일 정도의 기간이 된다.
9. 1년 ; 봄, 여름, 가을 , 겨울 사계절이 순환하는 기간, 또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기간
10.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우리나라의 산에도 세월이 지나면서 나무가 우거지게 되었다.
아이들이 자라는 걸 보면 세월이 빨리 흘러감을 느낄 수 있다.
11. 백년; 대략 인간의 수명에 해당된다.
12. 천년; 고구려의 역사가 천년 정도 된다.
13. 만년; 신석기 시대는 대략 만년 전 정도에 시작되었다.
14. 십만년; 현생 인류는 약 20만년 전에 등장 했다.
15. 백만년; 원인(原人)은 약 250만 년 전에 등장했다.
16. 천만년; 원인(猿人)은 대략 800만 년 전에 지구상에 등장했다.
17. 1억년전에는 공룡들이 지구상에 살고 있었다.
18. 최초의 해면동물은 10억년전, 최초의 무척추동물은 5억년전, 최초의 육상식물은 4억년전에 등장하였다.
19. 지구는 45억 전 정도에 생성되었다.
20. 우주의 나이는 200억년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성경 창세기에서는 6일간 창조 하였다고 한다. 60을 6번 곱하면 466억이 된다.
거리 단위에 이어 시간 단위도 나열해 보았다. 이렇게 나열해 본 이유는 우주, 우주 생성, 생명체와 인간의 탄생 등을 공부하는 일이 그다지 어렵지 않음을 상기 시키기 위함이다. 거대한 숫자를 바로 인식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수 로그 개념을 활용하면 이해하지 못할 개념은 없다.
수학과 과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이들은 엄청난 거리 또는 시간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한다. 그렇지만 어려워 할 이유가 없다. 그저 동그라미가 몆개 더 들어가는 정도로 생각하면 그만입니다.
간단하고 , 재미있는 규칙들을 몇가지 소개합니다.
*. 3의 배수는 각 자릿수의 숫자를 합하면 3의 배수 이다.
123 에서 1+2+3=6 ; 따라서 123 은 3의 배수이다.
*. 9의 배수는 각 자릿수의 숫자를 합하면 9의 배수 이다.
구구단에서 9단을 보면 이렇게 되 있지요.
*. 1111 * 1111 = 1234321
√ ̄1234321 = 1111
*. 365는 다음과 같이 여러 식으로 분해 할 수 있다.
(1) 365=100+121+144=10^2+11^2+12^2 (365는 '차례로 이어진 세 자연수 10, 11, 12의 제곱의 합'이다.)
(2) 365=169+196=13^2+14^2
(3) 365=71+72+73+74+75
그리고 사람의 체온도 36.5 도 입니다.
첨성대는 362개의 돌을 쌓아 만들었는데 , 창문에 3개가 있다고 계산하면 , 365 가 된다.
*. 12345679*9=111111111
*. 142857 은 좀 재미있는 숫자인데 , 곱셈을 해보면 같은 숫자가 반복됩니다.
142857 X 1 = 142857
142857 X 2 = 285714
142857 X 3 = 428571
142857 X 4 = 571428
142857 X 5 = 714285
142857 X 6 = 857142
그리고 142857 X 7 = 999999
1/7 = 0.142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