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상주(尙州)는 경상북도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상산(商山)이라고도 한다. 삼한시대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나 185년(신라 벌휴왕 2, 고구려 고국천왕 7) 사벌국(沙伐國: 혹은 沙佛國)이라는 소국으로 유지해 오다가 신라 첨해왕 때 정벌되어 524년(신라 법흥왕 11)에 상주(上州)로 고쳐 군주(君主)를 두었다. 진흥왕이 상락군(上洛郡)으로 고치고 신문왕 때 사벌주(沙伐州)로 개칭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상주(尙州)로 개칭하였으며 776년(혜공왕 12)에 다시 사벌주로 환원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상주라 이름하였다가 곧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바뀌었고 성종 때 귀덕군(歸德郡)이라 하여 영남도(嶺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8년(현종 9) 전국에 8곳의 목(牧)을 설치할 때 상주목이 되었다. 1012년(현종 3) 다시 상주안무사(尙州安撫使)로 고쳐서 8목의 하나로 정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상주목으로 개편되었다.
1408년(태종 8)에 경상감영이 상주로 옮겨왔다가, 1596년(선조 29)에 관찰사영은 경상도의 중앙에 위치한 대구로 옮겨갔다. 상락(上洛)·상산(商山)·타아(陀阿)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상주목이 상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함창군이 편입되었고, 1931년에 상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에는 상주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1995년 상주군이 상주시에 통합되었다.
성씨의 역사
황씨(黃氏)의 도시조(都始祖) 황락(黃洛)은 중국 절강(浙江) 사람으로 후한의 유신(儒臣)이다. 28년(신라 유리왕 5)에 한(漢)나라 장군으로 교지국(交趾國, 베트남)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중 풍랑을 만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 월송정에 해당하는 안아진(安我鎭)에 표류하여 그곳에 정착, 세거한 것이 시초라 할 수 있다.
상주황씨(尙州黃氏)의 시조는 도시조인 황락의 후손으로 고려 때에 벼슬이 상주국(上柱國)에 이른 황석주(黃石柱)를 일세조로 하고 있다.
《상주황씨세보(尙州黃氏族譜)》에 의하면 상주를 본관으로 삼게 된 것은 황석주의 4대손 황을구(黃乙耉)가 상주에 정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한편은 6세손인 황효원(黃孝源)이 공조판서(工曹判書)와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올랐고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상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분적종 및 분파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황을구의 손자인 황효원(黃孝原)의 아들 셋에 의해 대종파(大宗派), 차종파(次宗派), 용인파(龍仁派)로 분파되었고, 10~14대에 이르러 대종파에서 선산계(善山系), 진위계(振威系), 양주계(楊州系), 대호군계(大護軍系)로, 차종파에서 제천계(堤川系), 양촌계(陽村系), 원주계(原州系), 제학공계(提學公系), 부여계(扶餘系), 매곡계(梅谷系), 통사랑공계(通仕郞公系), 장신공계(將臣公系), 홍산계(鴻山系), 도헌공계(都憲公系)로 나뉘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