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의 유리태자(琉璃太子) 해이만
하멜이 배워간 네델란드 프랑드르 베토벤 가문이 독일로 이주하였고 청교도는 미국으로 갔다 그 독일계 해이만이 그 음악의 발상지 , 한국에와서 5천년 우리 새(환웅)소리 만나게 된다
벙어리농악의 반쪼각 멜러디는 딕시랜드. 전송가 성조가 미국군가 그 이유!!
미국 장로교 최초 전라도 창설교회 전주 완산교회서 전래 찬송가를 복원하여 성탄절 발표
하멜이 배워간 네델란드 프랑드르 베토벤 가문이 독일로 이주하였고 청교도는 미국으로 갔다 그 독일계 해이만 미군이 그 음악의 발상지 , 한국에와서 5천년 우리 새(환웅)소리 만나게 된다
미국 찬송가. 민요. 군가. 특히 딕시랜드 1777년 독립군가 는 정읍사농악의 설장구와 같은리듬이다
부러진 유리태자의 칼조각과 동명왕 고주몽의 칼조각이 똑같이 맞아서 아들로 판명된 유리태자 역사이야기 처럼
한국에서 이주한 인디언과 하멜이 독일 베토벤에 전한 원형한국 농악의 소리를 미국에서 보존 딕시랜드가 점차 느려저서 전송가(할랠루야) 성조가로 같은소리를 듣고 자란 미국인 해이만이 한국의 농악의 멜로디 능게(農歌)를 느리게 부르면 미국 애국가 성조가로 느끼고 고향의 소리로 들렸다
여기서 고구려 고주몽이 한국농악소리이고 왕자 유리태자 소리가 미국의 찬송가 군가등 민요로서 부러진 칼의 굴곡면을 정확하게 맞아붙는다
한국 국악의 원형인 농악 박자탬포에는한국민요는 없고 미국의 민요 찬송가가 적격으로 들어 맞는다
한국의 농악은 5000년 토탬종교 새(蘇塗솟대)를 신당으로 새소리를 삼국의 사투리로 지금 전라도 비들기, 경기도 꾀꼬리, 신라 닭.말 .까치소리 그 대로가 능게가락이였다
그런데 한국의 새소리 민요는 불교에서 영상회상, 유교에서 수제천으로 10배-20배 정도 더 느리게 왕족 귀족위상화 노래로 쥐 크기가 코키리 만하게 변질되여 전혀 알수가 없다
스위스 유학생 김정은이 북한 독제 황제 위상을 만들려고 초대형 비만으로 만들듯이 노비 창기 등 동학군이 요구한 양반복장과 노래행위를 일제의 도움으로 요염한 한류음악이 세계에서 가장긴소리로 변해서 농악에는 전혀 사용못한다
그런데 미국의 찬송가 민요 군가등은 정확하게 한국의 농악의 탬포와 가무에 동명왕과 유리태자의 칼조각 맞듯이 정확하다
유리태자의 설화내용글
고주몽 추모왕이 부여(扶餘)에 있을 때 예씨(禮氏) 부인을 얻어 낳은 아들이 유리인데, 그를 낳기 전에 추모가 부여에서 도망하였으므로 예씨는 혼자서 유리를 키웠다.
어느 날 아비 없는 자식이라는 욕을 먹은 유리는 아버지에 관하여 어머니에게 물었다. 어머니 예씨는 남쪽 땅에 나라를 세우고 그 곳의 왕이 된 추모의 이야기를 한 뒤 일곱모가 난 돌 위의 소나무 아래 표적을 찾아서 얻으면 아들이라는 것이 증명된다고 하였다.
유리는 산곡(山谷)을 헤매며 표적을 찾았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어느 날 아침 자기 집 주춧돌 사이에서 소리가 나는 듯하므로 나가보니 바로 그 주춧돌이 일곱모이고 그 소나무기둥 밑을 찾아보니 부러진 칼의 일부를 얻었다. 이러한 징표를 가지고 옥지(屋智)·구추(句鄒)·도조(都祖) 등 세 사람과 졸본(卒本)에 가서 부왕을 만나 부러진 칼을 바치자 추모가 자기의 부러진 한쪽 칼을 꺼내어 맞추어 보고 기뻐하며 유리를 태자로 삼고 후일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한다
해이만 선생 본명은 Allan. c. Heymann으로서 독일계 미국인이다.
미국 출신 국악 연구자 해의만(83·Alan Hey man·사진)씨 위생병으로 6·25전쟁에 참전한 그는 태평소에 반해 한국 전통음악에 관심을 갖게 됐다. 1960년 한국에 와 태평소·피리·장구 등 악기와 국악 이론을 배웠다. 2010년 '정축진찬의궤' 등 희귀 자료 60여점을 국립국악원에 기증했고, '한국 음악과 무용' 등의 저서를 남겼다. 1995년 귀화했고, 2011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어느 나라든지 관현악 기악은 그 나라 민요의 반주리듬이다
그런데 한국은 농악에 사용할 민요가 하나도 없다
농부가(農歌) 이름 하나도 전혀 알수 없는 ‘능게’ 라고 '생선꽃게'로 생각하게 한 학계 수준이였다
벙어리농악의 반쪼각 멜러디는 딕시랜드. 전송가 성조가 미국군가 그 이유를 알아본다!!
조선 정조시대
한국농악은 멜로디 없는 벙어리 농악 뿐이다
한국농악 멜러디는 미국인 해이만이 미국성조가로 유일하게 국악학교에서 가르친소리를 리듬과 다르게 대위법으로
전국농악이 모두 모방 연주하고 있다
그래도 무방한 이유가 미국 개척 네델란드와 인디언이 한국노래로 민요가 이루어젔기때문이다
1777년 부터 오선악보 미국독립군가. 남북전쟁가 . 성조가 그리고 미국 기독교 찬송가 모두 우리 새소리 멜로디 모방이기에 당연하다
미개지역 리듬음악으로 사물놀이를 만든 이유는 빠른 한국민요가 일본의 음악찬탈 정책에 태평소 부는 재인을 천대 1945 8. 15해방후에 친일 정치인이 부추겨 태평소 피리부는 천인과 같이 농악하는 것은 곧 같은 상놈이라고 선전하여 타악만으로 농악을 하여 왔다
그래서 창기 악공 천인이 귀족이부르는 아악 시조 형태로 다투어부르게된다
천주교와 기독교가 다른점은 찬송가가 다르다
천주교 성가는 서양음악 화음 대위법 돌림 노래이다
그런데 영국에서 축출된 청교도는 네델란드 하멜의 황무지 플랑도르에서 미국으로가서 최초의 미국정착민이다
베토벤은 조상대대로 네델란드 플랑도르에서 귀족 지휘자로 조부베토벤이 독일로 이주하여 모짜르트 브람스 등 터키행진곡
항가리무곡등 모두 정읍농악의 리름으로 대위법 변곡이 미국과 다르다
아메리카는 한국과같이 새소리 탬포 그대로 4박자로 편곡하였다
일본이 이를알고 멜러디는 일본 가요 일본군가로 제정하려고 조선의취타를 타악만으로 벙어리농악 노예용 농악으로 종교신이 아닌
"농자천하지대본야" 깃발아래서만 하게 하였다
그리고 멜러디음악 시조 판소리 영산회상등을 더욱길게 부르면 복되고 귀족 정악 이라고 하여 더욱 길어저서
음악의 흥을 삭제하여 버렸다
5천년 새소리 정읍사 노래는 일제시데 10배로 더길게 부르는수제천을 국악으로 가르친다
단군-삼국시대 새소리를 모방하여 한국의노래가 만들어젓다
그 때의 새소리와 지금의 새소리는 같다
그리고 조선 연산군때 노래를 잘하면 천민 노예를 면천(해방)시키고 벼슬시켜주엇다
그런데 연산군시대 음악가를 중종반정으로 모두 추방시켰고 이를 중국 일본 사신들이 환호하엿다
이때에 도망친 음악인들이 터키 유럽 아메리키로 도망처 나갔다
그 이유는 한국고유의 새소리 아리랑 같은 새소리순서 음계 악절로 노래하고 있다
백제가요 정읍곡 4악절을 리듬으로 연주하는 정읍농악 설장구와 미국의 1777년 독립군가로 영국을 축출시킨 노래가 가장 비슷한소리 자료이다
그런데 1777년에 전주대사습대회에 사용한 소리로 보여진다
정조대왕시대 1777년에 전주대사습대회가 시행되고 이때 미국식민지가 독립운동이 시작된다
병자호란에 잡혀간 노예 후손들을 미주에 팔았고 하멜일행이 효종왕 경호병사로 정읍곡을 3년간 배우고 이노래로 각설이 구걸행각으로 10년간 연명한 하멜일행 15명이 미주에도 정착하였기에 정읍농악과 똑같은 3악장을 그대로 모방하여 딕시랜드 .할렐루야(전송가) . 성조가로 사용하고 있다
정읍5악장 |
1정읍만기 |
2 정읍중기 |
3정읍급기前 |
3정읍급기後 |
4처용만기 |
5처용급기 |
한국민요 |
탑불가 농부가 |
농부가 |
풍년가 |
태평가 |
강강술래 |
신고산
타령 |
정읍농악 |
오채질굿 |
좌길굿 |
우질굿 |
풍류굿 |
양산도굿 |
삼채굿 |
오빠생각 |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
뻐꾹 뻐꾹새~
산에서 울때 |
우리오빠~
오신다더니 |
|
|
|
칠보중학교
교가 |
이름도 의젓~
칠보옛구슬 |
우렁찬종소리~
대한의 셋별 |
차림도세롭~
칠보중학교 |
|
|
|
정읍 농고
교가 |
노령에 큰산~
기름도지다 |
거륵한 흑의~
몸에 두르고 |
이나라새일꾼
자라나는곳 |
정읍농림고~
사랑의동산 |
|
|
목포의 눈물 |
사공에 뱃노래~ |
부두의새악시~ |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 |
|
|
|
미국국가
딕시랜드 |
wish I was in-
to Dixie Land |
In ixie Land-
to ixie Land |
I wish I was in-
south in Dixie |
away, away down south in Dixie |
(1777년미국독립군) |
|
진짜사나이 |
사나이로
태어나서~ |
너와나 나라지키는 영광에~ |
전투와 전투속에 맺어~ |
산봉우리에 해 뜨고~ |
|
|
징글벨 |
힌눈사이로~ |
종이울려서~ |
종소리울려라~ |
종소리울려라~ |
|
|
한국애국가 |
동해물과백두~
우리나라만세 |
무궁화삼천리~
길이보전하세 |
|
|
|
|
영국국가 |
God save our~ |
GodsavetheQuee |
Send her~
theQueen. |
|
|
|
뉴질랜드
비바람연가 |
비바람이치던~ 저바다 건너서
|
저 하늘에 반~
아름다워라 |
그대만을~영원히기다리리 |
|
|
|
|
일제의 조선예술 일본화 작전
* 이등박문 (1841년~1909년) 일본 식민지 예술정책
조선가요 일본가요화 하고 판소리. 시조를 조선민요로 구분 식민지 교육을 한다
조선은 전투용 군악기로서 쇠못 북을 사용하는 판소리와 귀신쫒는 소리 나례의 고함치는 민요소리를 조선음악으로 여기게 유도하고 한일합방시켰다
궁성도웅등 일본음악인이 조선에 와서 채보 단음계등 고운음악은 일본음악으로 제정을 추진한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출신 이등박문은 영국. 프랑스. 독일이 문화재 강탈함을 보았고 임진난 일본군장 소서행장과 가등청정이 악공 납치를 이어서 계승하려는 뜻을 1935년, 이등박문 의 수양딸로 또는 내연녀로 소문난 배정자는 조카딸 배구자와 무희 최승희의 가무를 일본 아름다운소리 전통예술로 구성을 완성했다
도.레.미.파.솔.라.시.도 서양 7음계를 중국음계 궁.상.각.치.우 5음계로 바꾸면서 동물소리 자연의 조선노래를 일본은 아름다운소리 미.파.라.시.도 단음5음으로 편곡하여 구성한다
서양악기 7음계를 5음으로만 작곡하는 동양 유교법율로 어처구니 없는 노래가 미.파.라.시.도 단음계 가요는 일본가요이고, 장음계 도.레.미.쏠.라 5음계는 조선가요라고 일본이 변질시켜 가르첬다
농현(弄絃)은 한국만의 가야금. 거문고등 줄을 누르는 센소리 내는 연주법이다. 그 한국고유 농현소리 '미파'와 '시도'의 반음을 일본고유소리라고 가르첬다.
1945년 해방후에도 일본및 외국 유학출신 음악가들은 자기 음악을 높이기 위해 동물새소리 자연모방을 전혀 할수없는 5음만의 반벙어리 음치소리로 만들었다
한국에서 이 5음법을 사용하면 친일파라고 매도해 5천년 농현소리 한류가요는 왜색가요로 몰아 없앤다.
한국, 중국, 일본 국악 음계는 5행 사상으로 7음에서 5음으로 19세기에 구성되었는데, 농현중심의 한국은 도-레-미-솔-라 음계로 주로 내림마 장조를사용하나 농현표현이 어려운데 비하여, 일본은 미-파-라-시-도.음계를 내림마장조로 사용하므로 농현표현이 가능하여 슬픈 한국적 음악표현이 5음계로 가능하다.
그래서 왜색가요라는 형식으로 작곡을 슬픈듯한 계면조(단조)는 한국계 가수가 주로 힛트 한다.
일본국악에는 줄을 눌러 힘주는 ‘농현’이 없다. 오음계 도.레.미.솔.라 한국 아악음계로는 가능하고.우는소리 통곡 같은 계면조 표현이 어렵다. 그래서 매력이 없어 국악이 외면당하고 있다. 오히려 일본음계가 슬픈노래 표현이 편리하다
제주도 벚꽃을 일본국화 ‘사꾸라’로 제정하고 조선 민요 농부가를 아름다운 단음계로 일본가요 ‘사꾸라 사꾸라’ 일본소리로 만들었다
그래서 한국민요는 도.레.미.쏠.라 5음 장음계 만 사용한다 라고 학교에서 가르친다
정조대왕 사후 전통음악이 사라지고 흥선대원군이 궁도. 농악. 판소리(웅변)의 대사습을 장려하였으나 1905년에 금지하고 전국순회 협율사 판소리의 내용에 변학도. 변강쇠 .놀부전. 조선양반들의 탐학.부패. 음란행위. 비방을 부각시키는 일본 통치 선전에 이용했다
모든행사가 양반의 허락으로 이루어지는 시대 양반을 조롱하거나 비하하는 행위는 엄벌을 당하는 법인데 일본당국의 후원으로 농악 탈춤등에서 조선비하 선전이 가무였다
조선과 일본 한국 정부가 탄압하여 민요없는 한국농악 이제부터 미국민요 흐름을 추적하여 1777년 정조대왕의 전주대사습 대회에서
무환악으로 군중이 가무군악한 그 탬포 우리소리를 복원하여야 한다
해이만 선생이 불교 태국, 이스람 인도, 유교 중국, 천주교 스페인, 사람 이였다면 한국에 정착하지 않았으리라 생각한다
유네스코 한국 농악 한국민요 멜러디로는 연주하지도 못하는 점 이제는 미국동포들이 미국에서 세계민요 한국의 전통을 살려야 한다
한국에 유교음악의 침입이 없었다면 미국의 민요가 같은 템포로 불렀다
권희덕 notany35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