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좋은사람들교회 원문보기 글쓴이: 호도알
교회성장과 교회행정
목 차
Ⅰ. 서 론 ...............................................................................................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3
Ⅱ. 한국교회와 교회성장 원리 .................................................................. 5
A. 한국교회 성장에 관한 고찰 ........................................................... 5
1. 한국 교회 성장사 ............................................................................. 5
2. 한국의 교회 성장 원인 ................................................................ 9
3. 한국 교회 성장에 대한 평가 ..................................................... 21
B. 교회 성장 원리와 근거 ................................................................. 22
1. 교회성장 학자들의 성장 원리 ................................................. 22
2. 평가 및 비판 ................................................................................ 26
Ⅲ. 교회성장의 관점에서본 교회행정 ................................................. 29
A. 교회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관계 ........................................ 29
1. 행정 (Administration)의 정의 .................................................. 29
2. 시. 피터 와그너의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연관성 .......... 30
3. 도날드 맥가브란의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과의 관계 .......... 31
4. 조지 헌터의 교회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관계 ................. 32
B. 일반행정과 교회행정의 차이점 ...................................................... 33
C. 교회 행정의 필요성 ........................................................................... 34
Ⅳ. 교회의 본질과 교회 행정 ...................................................................... 37
A. 교회의 본질과 사명 ............................................................................ 37
1. 하나님이 선택한 공동체 .................................................................... 38
2. 그리스도의 몸 ....................................................................................... 38
3. 구속적 사랑의 친교 공동체 ............................................................... 40
B. 교회 행정의 정의 .................................................................................... 41
C. 성서적 입장에서 본 교회와 행정 ........................................................ 43
Ⅴ. 교회성장을 위한행정 원리 ......................................................................... 45
A. 현대 교회행정의 두 가지 방법 ............................................................ 45
1. 프로그램 중심의 방법 ........................................................................... 45
2. 원리 중심의 방법 .................................................................................... 46
B. 교회 행정의 특수성과 양극원리 ............................................................. 47
1. 교회 행정의 특수성 .................................................................................. 47
2. 교회 행정의 양극원리 .............................................................................. 49
C. 교회 행정의 목표와 방향 ........................................................................... 55
1. 기독교 신앙 이해와 영적인 성장 ............................................................ 56
2.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함 .................................................................. 58
3. 교회의 성숙을 위함 ..................................................................................... 61
D. 교회 행정의 기본원리 .................................................................................. 66
1. 영적 기초 확립의 원리 ............................................................................... 67
2. 구속적 인간관계의 원리 ............................................................................. 71
3. 소 집단 개발의 원리 ................................................................................... 74
4. 평신도의 훈련의 원리 ................................................................................ 77
5. 종합계획의 원리 ............................................................................................. 81
6. 자원 활용의 원리 ........................................................................................... 84
Ⅵ. 결 론 ........................................................................................................... 87
참 고 문 헌 .................................................................................................................... 92
Ⅰ. 서 론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
교회가 세워지고 성장하는 것은 주님의 뜻이요, 주님이 기뻐하시는 일이며 절대적인 관심사 이기도 하다.이 교회는 주께서 친히 ...내가 내 교회를 세우리니... ) 마 16:18. 라고 말씀하신 대로주께서 세우신다.
근래에 와서 이 교회의 성장에 대한 관심과 연구 열이 높아지고 있고 세계 교회들이 특별히 한국 교회의 성장에 대하여 대단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McGavran)의 영향에 의해 교회 성장이 학문적으로 정립된 이후 성장 의욕과 더불어 성장이론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 교회는 현재와 앞으로를 위하여 교회 행정학의 정립이 급선무이다.왜냐하면 교회성장에 있어서 교회 행정이 뒷받침 되어있지 아니하면 건전한 교회성장을 기대할 수가 없으며, 마침내 기형적인 교회가 되어 교회 성장이 중단 내지는 침체되어 가고있는 교회들이 있다는 현실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특별히 오늘날과 같이 전문화되고 다원주의(多元主義化) 된 시대에서는 교회내에서도 교회행정에 대한새로운 인식을 가져야만 한다.왜냐하면 교회가 성장하고 동시에 성숙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섭리인 동시에 기독교의 지상과제이다.그런데 이것을 뒷받침 하는 것이 교회 행정학이기 때문이다.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McGvran)은 교회 성장에 관하여 말하기를교회 성장은 하나님께서 원하신다. 하나님의 뜻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교회성장에 관심이 없으면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것이다.
복음이 널리 전파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Donald McGavran,교회 성장의 10단계 , 오용택 역(서울:신망애 출판사,1987), pp.16-17. 라고 한 것은 교회 성장에 활력소가 된다고 본다.그는교회 성장을 위해서는교회는 성경적 원리를 존중할 때 성장한다. 라고 하였으며또한교회는 복음 전도에 우선권을 부여할 때 성장한다. )lbid., pp.35, 68.라고 천명 하였다.1
이것은 교회 성장의 뜻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힘있는 동기를 부여해 준다고 보아진다.그러나 맥가브란은 교회가 건전하게 지속적인 성장을 하는데 있어서 교회 행정에 대해 말하지 않은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아울러 계속해서 건전한 교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사회 행정의 원리와는 구별된 교회의 본질과 목적 그리고 목표에 근거한 교회 행정활동 수단의 성서적인 원리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교회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한다.그러나 건전하게 성장해야만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교회행정이 필요하다.여기서 교회행정이 좋은 행정이 되어 바르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제적이고 기술적, 방법론적인 행정의 활동 이전에 먼저 성서적 교회의 본질에 근거한 교회 행정원리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그래서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교회 행정의 올바른 이해와 함께 교회 성장의 방향을 정해야 한다는 것을 연구하고자 한다.
B. 연구 방법 및 범위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범위는 한국교회에 한정을 하면서,교회성장과 행정에 관한 국내의 간행서적과 함께, 앨빈 린그렌(Alvin J. Lindgren)의 책을 중심한 문헌 고찰의 방법으로 연구하려는 바, 그 전개방법은 다음과 같다. Ⅰ장은 서론을,Ⅱ장에서는 한국교회와 교회성장원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국교회의 성장사와 한국 교회의 성장 원인 그리고 학자들의 교회성장에 대한 주요원리와 그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오늘날 확산되어가고 있는 건전한 교회성장의 요청(긴박성)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Ⅲ장에서는 교회성장의 관점에서 본 교회행정에 대한 새로운 재 인식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일반행정과 교회행정의 차이점 및 교회 행정의 필요성을 고찰하려고 한다.Ⅳ장에서는 교회 행정의 정의에 근거하여 성서적인 관점에서 본 교회와 행정의 연관성을 찾아보고,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밝히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건전한 교회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 원리를 언급하기 전에, 먼저 프로그램 중심의 행정과 원리 중심의 행정의 차이점을 지적하면서,교회행정의 특수성과 이에 따르는 원리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그리고교회 목적 달성의 건전한 교회성장을 위한 교회행정의 목표와 방향, 더 나아가서 본 논문의 최대 관심사인 교회본질에 근거한 교회행정의 원리들을 고찰할 것이다. Ⅵ장 결론에서는 전체적인 논술을 요약하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
를 밝히면서 제언으로 마치려 한다.
Ⅱ. 한국교회와 교회성장 원리
서론에서 밝힌바와 같이 현대 교회의 관심사인 보다 건전하고 계속적인 교회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교회행정이 필연적으로 뒷받침 되는 사실을 다루면서 교회 성장과 교회 행정의 상호 밀접한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이 논문을 쓰기로 하였다.그러기 위하여 우선 한국 교회의 성장을 살펴 보기로 하겠다.
A. 한국교회 성장에 관한 고찰
1. 한국 교회 성장사
한국 교회는 선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경이적 성장을 하였음은 그 어느 누구나가 인정하는 사실이다. 불과 100년 전만하더라도 은둔의 나라(Hermit Nation)로 통하던 한국이 이제는기쁨의 나라 로 바뀐 것이다.한국 교회는 아시아 제일은 물론 이천년 대에는 세계적 교회로 성장 하리라고 추측한다. 이것은 분명히 하나님의 섭리와 축복임에 틀림없다.일반 언론이나 미주와 유럽, 그리고 동남아 국가 언론에서도 한국 교회의 성장에 놀라움을 나타내고 또한 호감을 가지고 귀를 기우리고 있다.)이종윤, 전호진, 나일선 공저,교회 성장론(서울:엠마오 도서출판,1986), pp.260-261.
문공부의 통계에 의하면, 개신교와 천주교의 약 1천만의 신자는 소수 그룹이 아니라 20만명을 자랑하는 세계 제일의 교회가 한국에 있으며 제일 큰 감리교회와 장로교회가 한국 수도 서울에 있다.교회 33만개 중에 2천명 이상의 교회가 100개 이상이나 된다.) lbid.,p.261.
1934년 미국의 감리교회 목사 와쓴(A.W. Wasson)Church Growth in korea 와 Ray E. Shearer 의Wildfire: Church Growth in Korea은, 한국 교회 성장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그러나 이러한 양적 성장에 대해 성장이냐 비대냐 하는 논쟁이 일어나며 한국 교회 성장은 이대로가 좋은가 하는 반문과 회의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 교회의 성장 현황에서 1991년 12월 발행, 기독교 대연감에 나타난 통계에 의하면) 한영제 발행인, 기독교 대연감 (서울:기독교문사,1991),pp. 215-216.
개신교도만 총 인구의 21.4 % 를 차지하며 천주교 신자를 포함하면 전체 인구의 27.2 % 를 차지한다.이 숫자는 일본의 1 %, 인도의 3 % 에 비하면 엄청난 숫자이다. 18세기 말 로마 천주교가 들어온 때부터 지금까지의 한국 기독교 성장은 괄목할만 하다.(도표 1, 2 참조)이것은 물론 미국의 700명당 1교회에 비하면 적지만 아직도 선교지로 통하는 한국에 이 정도의 교회는 놀랄만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교회 성장은 숫적 성장만이 아니라 한 몸으로서의 지체의식이 중요하다.이것을 남미의 신학자 코스타스 (Costas) 는유기적 성장) 이종윤, 전호진, 나일선,교회 성장론 , op.cit.,p.265.
Ⅲ. 교회성장의 관점에서 본 교회행정
지금까지 교회 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원리를 다루는데 있어서 Ⅱ장에서 한국교회 성장사와 요인 그리고 학자들이 제창한 교회 성장 원리와 성장 방법을 비교 평가함으로 교회성장에 새로운 사명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제 Ⅲ장 부터는 교회 행정원리를 다루기 전에 교회 성장학과 교회 행정학의 연관성을 그리고 일반행정과 교회 행정의 개념을 고찰하면서 교회 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의 새로운 인식을 주지시키고자 한다.
A. 교회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관계
1.행정 (Administration)의 정의
교회 행정에 대한 논의는 행정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로서 시작되지 않으면 안된다. 행정한다 (administer)는 말은 라틴어 administrare"에서 온 말로서,어원을 보면 라틴어의 Ad + Ministrare이다.그 의미는봉사한다 (to serve)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이 라틴어의 어원은 현대 교회 행정의 결함을 시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김득용, op.cit., p.25.
왜냐하면봉사한다 는 동사를 생각하게 되면무엇을 위한 봉사이냐 ? 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행정한다는 것 자체로서는 의미가 없다.행정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위해서 행동해야 할 목적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행정은 단순한 활동이 아니라목적달성을 위한 활동 이다.그 목적은 일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좌우된다.즉 행정이란그것이 봉사하는 분야의 목표와 목적을 발견하고 분명히 밝혀서 조리있고 종합적인 방법으로 그 실현을 위해서 추진해 나가는 일이다.) Lindgren, op.cit.,pp.19-20.
이러한 정의는 현대 교회가 행정 미숙으로 야기되고 있는 모든 부조리한 것과 교회 성장에 암적인 요소 등을 해소시키고 깨끗이 시정하는데에 고무적인 말이다.그런데 교회성장 학자 조지 헌터가 앞서 말한바와 같이불신자의 요구에 봉사할 때, 그리고 종종 새로운 봉사방법을 개발할 때 교회는 성장한다 라고 한 말은봉사한다 의 뜻을 담은 행정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George G. Hunter, op.cit., p.51.
여기에서 교회 행정과 성장과의 연결성을 찾게되며, 성장하는 교회는 행정을 도외시 할 것이 아니라 교회 행정의 확립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된다.
2. 시. 피터 와그너의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연관성
와그너가 앞서 말한바와 같이목회자와 교인이 함께 일을 할 때 교회는 성장한다 고 주장한 것은 교회 행정학자 아더 아담스(Arther Adams)가 행정의 정의를 내린것과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즉 그가행정이란 어떤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인들을 통하여 그리고 그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다. ) 김득용, op.cit.,p.27. 라고 말한것은 교회성장의 기폭제가 된다.여기에서 교회 성장은 교회행정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이 뒷받침 되고 확립될 때 교회 성장은 완벽하게 이루어진다고 보아진다.
3. 도날드 맥가브란의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과의 관계
맥가브란이 앞서 말한바와 같이 그의 교회 성장 원리는성서를 존중하고 복음전파를 최우선으로 할때 교회와 지역사회를 봉사하며, 스스로의 가족계획을 세워 실천하고 그리스도의 제자화를 위하여 훈련시키고 교회가 전적으로 교회 성장에 관한 체제를 구비해서 가일층 분발하면 교회가 성장한다. 고 강조하고 있다.또한 그는 잃은 양을 찾고, 발견하고, 양을 돌보고, 충성을 다하는 곳에 교회성장이 일어난다고 주장하면서, 교회성장은 곧인간의 활동 이라고주장한다.) 장중열,교회성장과 선교학(서울:성광문화사,1986), p.246.
그러나 그의 이러한 교회 성장원리에는 교회행정 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빠져있음을 발견케 된다.즉 교회에서 건전한 행정적 뒷받침이 없으면 교회 성장에는 반드시문제가 발생함을 보지 못한 것이다.) 김만출,건전한 교회행정의 견지에서 본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필리핀 유니온신학대학원,1988),PP.57-69.이런 의미에서 교회 행정과 건전한 교회 성장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재인식하게 된다.오늘날 일반적으로 알려진교회 행정 은 목사로 하여금 수없이 많은 행정적인 책임을 이행하게끔 만들고 있으며, 이런 행정적인 갖가지 책임은 목회자가 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성장과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4. 조지 헌터의 교회 성장 원리와 교회 행정의 관계
헌터에 의하면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사도적 신념을 회복하고 이를 계승할 때, 모든 계획이 복음에 기초를 두며, 교회 각 기관이 활성화되고 새로운 봉사활동을 전개하며, 문화적 토착성과 이상적인 가교 형성을 할 때 교회가 성장한다는 그의 성장 원리를 요약할 수 있다.헌터 역시 성서적이며 토착화 신학 및 사도적 신념 회복등의 성장 원리를 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나, 교회 행정 확립을 전제하지 않았기에 역시 교회 성장에 하나의 헛점을 발견할 수 있다.) lbid.
이상과 같이 교회 성장 학자들의 성장 원리를 분석해 볼 때, 교회 성장 원리만으로는 시대가 요청하는 바람직한 교회 성장을 꾀할 수 없고, 건전하고 성숙한 교회 성장을 위해서는 교회 행정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재인식하게 된다.
B. 일반행정과 교회행정의 차이점
다른 분야에서는 일반학문과 신학 또는 교회의 학문이 엄연히 구분이 되어서 별 문제가 없으나 정치학이나 행정학, 그리고 경영학 등에서는 실제로 그 특성이 명확히 구분되는 데도 불구하고, 교회나 신학교에서는 학적(學的)으로 체계를 세워 논급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반행정학의 사고방식이 교회로 들어와 교회의 본질을 오염 또는 변질까지 시키고 있는 현실이다.) 손병호,교회 행정학 원론(서울:도서출판 그리인,1990), p.22. 즉, 민주주의면 다인 줄 아는 사고방식이 교회에까지 깊이 침투를 하여 교인들이 원하는 대로 다수의결로 모든것을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더우기 교회가 민주적이어야 한다며 교인들이 마치 교회의 주인이어야 하는 줄 안다.) lbid., pp.22-23.
그러므로 교회행정을 논하기 전에 일반행정과 교회행정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교회가 말하는 행정은섬김(to serve) 이요,봉사(to serve) 이다. 교회는 교회뿐 아니라 국가나 사회에서까지 억압이나 지배나 군림이 아니라 섬김과 봉사이기를 바라는 것이 교회행정학의 본질이며 교회행정의 근본 목적이며 사명이다.) 손병호, op.cit.,p.24.
그러나, 국가행정이나 일반행정의 목적과 사명에는 교회행정의 목적과 사명과는 판이한 것이 있다.즉, 일반행정의 목적과 사명에는 인간사회의능력을증진하자는데있다.)F.W.Riggs(ed),FrontiersofDevelopment Administraion(Duke University,1971),p.6.
그러나 교회행정의 목적과 사명은 하나님에게 영광이며 이를 위한 도구의 일이다.) 롬 6:13; 롬11:36; 고전10:31.고대 국가에서는 거의가 군주나 국왕 또는 황제를 위한 국가였고, 근대사회에서는 하나같이 국민을 위한 국가였다. 그러나 교회는 하나님이 먼저다. 그러므로 교회행정학에서는 신(神)과 교회를 연구 대상으로 하나 신론과 교회론이 아니라, 신과 교회가 말하는 교회의 행정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손병호, op.cit.,pp.24-25.
C. 교회 행정의 필요성
현대교회는 그 규모가 아무리 작은 교회라 할찌라도 다양한 조직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특히 교회는 성도들과 함께 목표를 수립하고, 조직체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조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행정력을 필요로 한다. 교회 행정의 필연성은 에이취, 비, 트랙커(H.B. Trecker)의 교회
행정의 정의속에도 잘 나타나 있다.그는행정은 회중과 함께 목표를 수립하며 조직체들의 유기적 관계를 수립하며 달성한 바를 재 검토하는 것이다. ) 홍의표,현대 교회 행정학(서울:보문 출판사,1982), pp.13-14. 라고 정의 하였다.교회 구조는 성서에 근거해서 시작되었고 그 구조는 단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수 세기를 거쳐 오는 동안에 교회가 당면한 그 시대와 그 문화상황에 따라 조직과 운영의 방법이 변했으며 종교개혁과 함께 교회의 구조가 다양하게 되었다. 현대 사회의 복잡한 조직 생활 구조와 같이 교회의 구조도 점차적으로 복잡해 졌으며 목회자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많은 기교가 필요하게 되고 그 시무방법도 치밀하고 조직적이어야 되게 되었다.) lbid., p.15.
특별히 근대 자본주의의 고도화는 현대사회의 이질화, 전문화, 그리고 다원화를 촉진하였고, 이러한 다원화된 사회안에 존재하는 교회는 이에 적응하는행정적인 체제를 갗추지 않으면안된다.) 강대화,한국 교회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석사학위논문,침신 대학,1988), pp.5-6.
그러나 정성구) 정성구,실천신학 개론(서울:총신대학 출판부,1980) ,p.37.는 신학과는 무관한 학문에서 개발한 프락시스(Praxis)의 방법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것은 큰 문제라고 하면서 사회학, 심리학 등 행동과학의 프락시스를 교회의 그것으로 오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더구나 복음주의자적 교회와 목회자들이 이를 신학적 성경적 평가없이 교회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한다.그는 결국 교회의 프락시스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서 평가받아야 하며 성경적 관점하에서 보아야 한다고 하여 교회의 무비판적인 행정 만능주의 경향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물론 교회행정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 대한 예배, 선교와 봉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다.단지 교회는 그것이 하나의 공동 생활체라는 점에서 조직과 다스림이 필요하게 되며 하나님의 계획안에서 교회만이 가지는 근본적인 달성을 위한 행동의 규정, 계획과 명령과 통제의 수단을 합리화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알빈 린그렌은 (Alvin J.Lindgren)은교회 행정의 유일한 목적은 교회의 사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이러한 교회의 목적을 실현 하는 것 이라고 한다.) 천병욱,교회 행정의 원리와 실제(부천:서울신대 출판부,1982), p.20.
즉 교회 행정의 유일한 목적이 거듭난 백성들이 모여 이루고 있는 교회의 목적을 성취하는 것이기에 교회행정에는 신학적 차원이 늘 수반되어야 한다.다시 말해서 교회행정은 기독교 신앙과 교인의 신앙이 그 기반을 이루고 있기에, 신학적 연구는 교회 행정의 철학, 즉 목표와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김득용, op.cit.,p.20. 고 할 수 있다. 바우어(R.K.Bauer)) R.K.Baure, 기독교 교육행정의 원리와 실제 ,신청기 역 (서울:성광문화사,1983), pp.11-13. 도 교회 행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고 하면서 말하기를,지상의 교회는 구속받은 자들의 모임이며, 이는 또한 하나님이 전 세계에 복음전파를 위해서 사용하시는 도구라고 한다.
오늘날의 교회 행정의 과제는 임무의 변화 또는 가중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목회자는 이 사무를 제한된 시간에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여기에 교회 행정학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그러므로 결정 기능에만 치우치고 집행기능이 무시된 교회의 기능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개속되어야 하는바, 여기에서 교회 행정에 대한 확립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홍의표, op.cit., p.16. 으로 표현하는데 이 유기적 성장이 없을때 교회의 사회적 영향은 감소되며 궁극적으로 전도의 문을 막게 된다. 한국 교회는 해방 이후뿐만 아니라 선교 초기에도 지속적 성장을 하여 세계 교회의 이목의 대상이 되었다.
선교 이래 한국 기독교의 성장
<도표 1>
+--------+-------------+-------------+-----------+---------------+
| 년 도
| 천주교
| 개신교
| 전체 %
| 인구
|
+--------+-------------+-------------+-----------+---------------+
| 1801|10,000|| ||
+--------+-------------+-------------+-----------+---------------+
| 1833|12,035|| ||
+--------+-------------+-------------+-----------+---------------+
| 1857|15,206|| ||
+--------+-------------+-------------+-----------+---------------+
| 1866|23,000|| ||
+--------+-------------+-------------+-----------+---------------+
| 1890|17,577| 265| ||
+--------+-------------+-------------+-----------+---------------+
| 1900|42,441|18,081|| |
+--------+-------------+-------------+-----------+---------------+
| 1910|73,517| 167,352| 1.6| 13,000,000|
+--------+-------------+-------------+-----------+---------------+
| 1920|90,000| 215,032|1.72| 17,264,000|
+--------+-------------+-------------+-----------+---------------+
| 1930
| 109,000
| 306,071
|1.93
| 20,438,000
|
+--------+-------------+-------------+-----------+---------------+
| 1940
| 150,000
| 372,000
|2.13
| 23,547,000
|
+--------+-------------+-------------+-----------+---------------+
| 1950
| 257,668
| 600,000
|4.1
| 20,200,000
|
+--------+-------------+-------------+-----------+---------------+
| 1960
| 365,768
| 1,257,428
|6.4
| 25,000,000
|
+--------+-------------+-------------+-----------+---------------+
| 1970
| 839,711
| 2,197,336
|9.7
| 31,000,000
|
+--------+-------------+-------------+-----------+---------------+
| 1980
| 1,321,293
| 7,180,627
| 22.6
| 37,440,000
|
+--------+-------------+-------------+-----------+---------------+
| 1990
| 3,012,328
|11,490,837
| 27.2
| 43,100,000
|
+--------+-------------+-------------+-----------+---------------+
한국 기독교 교단별 종합교세 현황
<도표 2>
+------------------+------------+--------------+----------------+
| 교파(교단)
| 교회 수
|교직자 수
|교 인수
|
+------------------+------------+--------------+----------------+
|장 로 교 (57)
| 24,286
| 47,828
| 7,536,682
|
+------------------+------------+--------------+----------------+
|감 리 교 ( 4)
|4,249
|6,121
| 1,295,433
|
+------------------+------------+--------------+----------------+
|성 결 교 ( 2)
|2,326
|3,667
| 929,603
|
+------------------+------------+--------------+----------------+
|침 례 교 ( 6)
|1,902
| 2,782
| 777,972
|
+------------------+------------+--------------+----------------+
|오순절교 ( 8)
|1,930
|2,675
| 1,253,143
|
+------------------+------------+--------------+----------------+
|구 세 군 ( 1)
|211
|481
|99,937
|
+------------------+------------+--------------+----------------+
|그리스도의 교회
|380
|653
| 119,265
|
+------------------+------------+--------------+----------------+
|복 음교 회
| 28
| 45
| 8.940
|
+------------------+------------+--------------+----------------+
|루 터 교
| 22
| 30
| 6,647
|
+------------------+------------+--------------+----------------+
|나 사 렛교
|188
|220
|46,397
|
+------------------+------------+--------------+----------------+
|성 공 회
| 78
|112
|45,997
|
+------------------+------------+--------------+----------------+
|예 수교 회
|9
| 13
| 431
|
+------------------+------------+--------------+----------------+
|중화 기독교
|7
| 12
| 390
|
+------------------+------------+--------------+----------------+
|천 주 교
|2.967
|7,606
| 3,012,328
|
+------------------+------------+--------------+----------------+
|합계
| 38,576
| 72,244
|14,503,165
|
+------------------+------------+--------------+----------------+
(기독교 대연감 1991년 12월에 발행한 통계임. 단 천주교는 교구 사무실에 의 한 통계임).
한국 교회의 이러한 급속한 성장으로 기독교는 한국 사회에서 가장 크고 무서운 저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체가 되었다.그러나 교회의 질에 대해 최후의 심판을 내리실 분은 하나님이시다.다만 우리는 나타난 현상을 가지고 평가와 진단을 할 수 있을 뿐이다.
2. 한국의 교회 성장 원인
이제까지 교회 성장사를 살펴 보았는데 교회 성장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그러면 초창기 부터 한국 교회의 성장요인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a. 종교적 요인
인간은 종교적 동물이기 때문에 영적 욕망이 있다. 구약에도 선지자들은 이방인이 여호와의 구원을 사모하여 예루살렘으로 달려올 것을 예언하였다. 칼빈은 인간에게 종교의 씨가 있음을 지적하였는데 이러한 종교 의식으로 인간은 구원을 열망하는 본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lbid., pp.272-273.
그리고 바빙크(Bavinck, J.H.)가 지적한 것같이실락원(Paradise Lost)을 회복하려는 인간의 본능은 구원에 대한 본능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lbid., p.273. 우리 민족은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오히려 하나님을 다른 우상으로 대치하여 많은 미신을 섬겨왔다.그러면 우리 민족은 구원에 대한 열망이 없는 무종교적인 백성인가 ? 프랑스 신부 달레(Dallet)는한국 사람은 무신론자요. 현실 위주의 사람들이요. 동시에미신적 이라고 하였다.)달레,조선 교회사 , 정기수역(서울:탐구당,1975), p.242. 독일 선교사 칼 구츨라프(Gutzlaff, Karl)도한국 사람은 매우 비종교적인 성품을 가진것 같다. 더구나 생사(生死)에 대해서 위로를 줄 구속의 교회에 접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전호진, 나일선, op.cit., p.247.
특히 한국에 있는 유교는 사회적으로 질서와 개념을, 불교는 현실보다 내세관을 정립시켜 주며, 도교는 현실의 삶에 나름대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무속종교가 성행하고 있었다.이런 샤마니즘은 여러면에서 기독교에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팔머(Spencer Palmer) 교수는 지적한다.)lbid., p.275.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불교, 유교, 회교, 인도교 등의 종교가 발달한 지역에서 교회가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으나 물활론(Animism)이 성한 사회에서 교회가 성장한다는 것은 이미 선교학의 상식이 되어 있다.이 점에서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불교, 유교, 도교의 어느 특정한 종교가 우리 사회를 완전히 지배하지 못하고 복합적으로 공존한 채 무속종교가 민중을 실제적으로 지배했기 때문에 복음이 전해지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기독교를 무속종교 성향의 기독교로 만들 위험이 있었다.)lbid.
이와같이 한국에 있어서는 샤마니즘이 한국의 종교적 바탕을 이루면서 외래 종교들을 받아들였으며,그와의 혼합을 통해 변형하면서 역사속에 흘러왔다.한국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 자체가 샤마니즘의 소산이라는 점에서는 샤마니즘이 얼마나 한국의 정신적 바탕이 되어 있는가를 단적으로 알 수 있다.이것은 항상 민중의 생활을 지배해 왔으며 타 종교와의 혼합속에 한국 문화의 운명을 좌우해 왔던 것이다.)유동식,한국종교와 기독교(서울:대한 기독교서회,1987),pp.13-16.
결국 이러한 종교적인 요인에 부정적인 면도 있지만, 소망적이고 구속적인 기독교로 돌아오는 신앙운동이 불일듯 한국민족의 복음화 성업에 동조하게 되므로기독교는 발전을 거듭했고 1천만의 기독교인이 탄생됐다.
b. 토착화 원리
한국 교회 성장사를 논할 때 한국 기독교의 토착화의 신학적 방안(Scheme)을 들지 않을 수 없다.1960년대 토착화 논쟁 때 토착화를 이단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시에 토착화는 단군신화와 기독교의 결합이라는 잘못된 인상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부 반응이 없지 않았다. 즉 토착화가 복음이 어떻게 전통문화의 옷을 입으며 전통 문화와 조화되느냐 하는 문제임을 바로 인식 시키지 못한 채 한국적 논쟁에 빠졌기 때문에 평신도들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박봉배,기독 윤리와 한국문화 (서울:성광문화사,1983), p.247.
토착화의 신학적 방법론은 기독교가 타 종교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학킹(William E. Hocking)은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태도를 세가지로 구별하고 있다. 즉 극단적 대치주의(radical displacement), 종합주의(Synthesis), 그리고 재개념주의(reconception)가 바로 그것이다.)lbid.
매니캄(Rajah B. Manikam)도 셋으로 대별하여, 첫째는 다른 종교를 적극적으로 정죄하려는 태도,둘째는 동정적인 태도로 다른 종교를 이해하고 협동하려는 태도 그리고 셋째로 다른 종교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복음의 독특성을 선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이 두 사람의 분류가 똑 같은 것은 아니다. 대개 종합하여 보면 결국은 다음 세가지로 정돈될 수 있다.)lbid., p.248.
즉①배타주의(Exclusivism)②상대주의(Relativism) ③변혁주의(Transfor- mationism)로 구분된다. 바르트 계열의 신학자들은 ①에 속한다고 볼 수 있고, 자유계통의 신학자들은 ②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배타주의의 문제점은 이것이 타종교와의 관문을 영 닫아 버리거나 또는 대화를 하여도 극히 일방적인 것으로 결국은 양자중 하나를 택하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만다.반면에 상대주의의 문제점은 지나친 관용적 태도에 있다고 하겠다. 타종교에 대해 관용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는 본받을만 하나 자칫 잘못하면 대화의 과정속에서 불분명한 공통성이라는 미명하에 자기 주체성이 사라지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기 쉽다.이런 두 극단적인 견해를 건전하게 종합하려는 노력이 변
혁주의라고 할 수 있다.
변혁주의를 말하게 될 때에 우리는 두 가지 면을 고려에 넣어야 한다.토착문화가 가지고 있는 완성을 향한 가능성(poteniality)의 문제와 그리고 복음이 가지는 독특한 영향력이 어떠한 형식으로 재래적인 문화와 상호작용을 하느냐 하는 문제이다.)lbid., p.251. 이 문제에 있어서는 사회변화에 관련된 부분에 한정하고자 한다. 기독교 다음으로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유교는 뚜렷한 역사의식이라든지 적극적인 정치참여, 현실치중의 유교 윤리는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그러나 왜 그러한 유교가 유교사회에 있어서 급격한 사회 변화를 뒷받침하는 이념적 배경이 못되었나 하는 것이 문제점이 되겠다. 그 이유는 유교의 역경(易經)에 나타난 소극적인 사회변화의 개념에서 찾아볼 수 있다.)lbid.
유교의 철학자들은 대체로 인간 역사를 원형적으로 해석하여 상호 대치적인 우주적 세력의 진화의 원리에서 역사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또한 유교는 차세적인 종교이며 대체로 초월 사상이 결핍되어 있지만 그와 동시에 요즈음 미래학에서 말하는 수평적 초월 사상도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극단적인 미래에 대한 이념은 찾기 힘들다. 이런 것들이 유교 사회에서의 급격한 사회변화를 방해해 온 것이다.)lbid., p.253.
리챠드 니버(Richard Niebuher)는,문화의 변혁자인 그리스도를 강조하면서 요한복음, 어거스틴(St. Augustine), 칼빈(Jean Calvin), 요한 웨슬레(John Wesley) 등이 이 유형을 대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장하린 발행인,기독교 명저 60선(서울:종로서적 출판사,1986),p.266.
그런데 초창기 선교사들이 기독교 이해와 청교도적인 것과 타개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개신교 지도자들이 그것과는 상반되는 적극적인 정치참여와 사회변혁을 기도했던 것은 재미있는 사실이다.아마 그것은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첫째는 그들이 기독교의 혁명적이고 행동주의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둘째는 유교의 정치 사회적인 전통을 따라 기독교도 하나의 종교로 보다는 그런 사회적 프로그램으로 받아들이려 했다고 할 수 있다.)박봉배, op.cit.,p.255.
나는 그것이 둘 다 작용했다고 본다.즉 정치, 사회 참여를 주로하는 유교의 적극적인 면과 이에 못지않은 기독교의 사회적 관심이 종합되어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토착화가 진행되었고, 이런 행동주의적인 태도는 나라가 개방되고 새롭고 급격한 사회변천이 절실히 요청되던 당시에 민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게되었다. 팔머(Spencer Palmer)의 말대로 이러한 문화적 요청에 기독교가 자체를 동일시 했다는 것이 개신교 선교를 성공 시키게 한 중요한 원인의 하나일지도 모른다.)lbid.
그런 기독교의 사회 참여는 3.1 운동에서 절정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기독교가 3.1 운동의 주동적 세력이 되었던 것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이다.그러나 신학적 근거가 없는 사회 참여는 쉽게 허무러지게 된다.즉3.1 운동이 지난 후 기독교는 어제가 무색하리 만큼 현실 도피의 극반대 방향으로 나가게 되었다. 교회로 하여금 타개주의적 신앙으로 줄달음치게 했다. 유교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의 요소는 사라지고 퇴폐적이고 숙명적인 면이 그리고 불교와 샤마니즘의 현실도피적인 요소가 합하여 타개적인 기독교를 만들었다고 하겠다. 이리하여 3.1 운동이후 1945년 이전까지의 오랜 시기를 통하여 한국의 기독교는 초기와는 엄청나게 다른 반 사회적이요, 보수적이요, 배타적이요, 타개적인 기독교로 변하고 말았다.)lbid., p.257.
그러한 기독교 체질이 일단 습성화되자 고칠수 없는 병통이 되어서 8.15 와 같은 기독교 사회 참여의 황금시대가 도래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권하에 기독교인들의 정치참여가 최대한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올바른 사회 참여를 하지 못했다.즉 1945년 사이에 교회는 유교의 퇴폐적인 그리고 불교와 샤마니즘의 타개적인 요소와 기독교의 부정적인 견해가 합하여 그릇된 방향으로 토착화를 밀고 나간 것이다.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가 사회 윤리적인 면에서 토착화를 말한다면 토착화란 주체성을 가진 윤리적 자아가 기독교의 사회 참여의 신학에 조명되어 교회가 처해있는 역사적 상황(Context)안에서 사회의 윤리적 요청에 응하려는 동기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해 나가는 자기완성의 과정이라 하겠다.)lbid., p.258.
여기서 필자는 기독교의 토착화란 토착문화의 긍정적인 요소가 복음의 빛 아래서 기독교의 적극적인 요소와 상호작용 하여 새로운 복음적 주체성으로 발전하여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c. 영적 부흥 운동
한국교회 성장의 원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부흥운동을 빼놓을 수 없다.한국교회는 세차례의 부흥운동이 있었다. 첫째는 1903-1910년 까지의 감리교 선교사 하디(Rev, HARdie)가 원산에서 교인들과 같이 회개의 기도를 함으로 시작된 것이요, 둘째는 1930년대 말에 이용도 목사가 시작한 부흥운동이요, 셋째는 1960년 한국 교회에서의 성령운동이다.)이종윤, 전호진, 나일선, op.cit., p.275.
이상과 같은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거니와 한국교회의 신앙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오늘날의 새벽기도, 말씀에 대한 전념, 정열적인 봉사 등은 부흥운동의 결과이다.
오순절 성령운동이 전도운동 이었고 이 전도운동으로 교회가 성장하였다고 하면 한국판 부흥운동이 참 성령운동이라면 교회 성장은 불가피한 결과일 것이다.선교 역사에서 부흥운동은 항상 전도운동을 가져왔으며 이로 인하여 교회는 성장하였다.)lbid., p.277.
d. 선교 전략 요인
한국 선교 초기에 있어서 자립, 자치, 자력 전파의 네비우스 전략이 한국 교회 성장을 가져오게 했으며,한국에서 처럼 네비우스 전략이 채용되고 확대된 것은 세계 어느 나라 선교지에도 없다. 그러면 대자립 원리가 교회성장을 가져 오는가?맥가브란 교수는 자립 선교원리가 교회성장의 원인이 되는 일곱가지 이유를 제시한다.)lbid., p.282.
첫째, 자립원리는 교회 설립을 선교원리로 보기 때문이며,
둘째, 불신자들이 무보수의 평신도의 지도자들을 자기들의 친척들이나 가까운 이웃으로 생각한다. 평신도 지도자들도 불신자들과 같이 세속작업을 가진자들로서 불신자들과 일체가 된다.
세째, 개교회의 지도자들은 실천하면서 배운다.
넷째, 교역자에게 선교사가 월급을 주지 않으므로 자립심을 키운다.
다섯째, 평신도 자원이 전도에 참여할 때, 전도운동이 전지역으로 확산된다.
여섯째, 건물과 목사 생활비는 교인들이 책임진다.
일곱째, 치리권이 개교회에 주어진다.이렇게 비약하므로 외인의 간섭을 배제한다.그러면 70년대에 와서 한국교회 성장의 전략요인을 든다면 구역제도일 것이다. 순복음 교회가 구역단위를 중심으로 성장한 대표적 예이다. 살아서 성장하는 모든 물체는 세포조직과 세포분열을 통하여 성장 발전해야 한다는 이론을 도입한 순복음 교회는 다섯 가정을 한 구역으로 하여 다섯 구역의 한 조장을, 그리고 70구역을 한 교구로 한다.) 조용기, 교회성장의 여러 요인들 , 교회 성장 , 제1집(서울:순복음 교육 연구소편,1981), pp.30-31.
e. 신앙적 요인
한국교회가 성장하기 까지는 한국교회의 뜨거운 신앙의 정열을 결코 과소평가 할 수 없다. 한국교회가 안고있는 여러가지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성전에 기도의 불이 꺼져서는 안되는데 기도의 정열, 전도의 정열, 모임에 참석하는 정열, 아낌없이 바치는 헌금의 정열은 교회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이 점에서 교회성장은 하나님과 인간의 공동적 역사라해도 과언이 아니다.즉 하나님의 말씀을 가감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복음적 신앙과 평신도들의 적극적 참여는 교회의 놀라운 성장을 초래하였다.
한국 교회는 신앙에 열심있는 평신도들을 많이 확보함으로 교회가 성장하였다.초대교회 성장이 평신도에 의한 자발적 운동인것 같이 오늘날 한국 교회는 이 원리를 잘 적용하고 있다.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성장하는 교회들은 평신도 전도자들을 훈련하여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거니와 과거의 심령 부흥회를 전도와 선교집회로 전환하는 것도 현재의 두드러진 경향중의 하나이다.)이종윤, 전호진, 나일선, op.cit., p.283. 몇년 전부터 유행한 개교회의 총동원 전도행사와, 현재도 계획 추진되고 있는 각종 대형집회는 복음없는 전시효과에 불과하다는 비난도 있지만 한국교회와 평신도들에게 전도열을 고취시킨 것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f. 사회적 요인
지금까지 교회성장의 영적 요인과 전략적 요소를 생각하였다.이번에는 교회성장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에 대해 살펴 보겠다. 하나님의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영적 실체이지만 이 세상에 속하여 존재하는 유형적 교회는 사회속의 한 단체이므로 사회와 문화의 영향이 불가피하다. 즉 교회성장에 있어서 사람들의 수용성도 중요하지만 사회환경 역시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그리고 한국교회의 괄목한만한 성장 이면에는 이러한 사회환경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와쓴(A. Wasson)의 저서Church Growth in korea는 교회 성장의 원인을 지나치게 사회환경에 독점으로 영적실제를 사회학에 종속시킨 오류를 범하였다. 그러나 사회상황과 교회성장은 함수관계가 있음이 명백하다.)lbid., p.288.
또한 현재 한국교회 성장에불안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작용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특히 남북이 대치되고 있는 우리의 상황에서 정치, 경제마저 안정되지 못하며 언제 불이 일어날지 모르는 위기 의식이 내재해 있어 종교에서 위안을 찾으려 한다.그리고 교회가 성장하는 곳에는 또한 타종교와 각종 신흥종교 역시 번영하고 있다.통일교의 성장은 불안정한 사회, 정치적 조건과 6.25 이후 공산주의의 위험 때문이라고 한 그레이브의 지적은 교회에도 해당된다.19세기말 국가 위기는 기독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한국인들은 여러가지 재난에서 심리적 구원의 수단으로 기독교를 택했다고 팔머 교수는 지적한다.) lbid., p.289.
즉 인간의 역경은 하나님의 섭리의 때라는 서양 속담과 같이 위기의식으로 교회부흥의 역사가 일어났다.
더나아가서 과거나 현재나 아울러 현재 한국 교회 성장의 중요한 사회적 요인은 도시화이다.급속한 도시화의 현상으로 농어촌 교회는 날로 약해져가는 반면에 도시 교회는 날로 성장하고 있다. 맥가브란 교수는기독교는 다윗의 도시에서 탄생하였고 시저의 대도시에서 성숙했다 고 했는데 도시가 농촌보다 교회가 성장함은 세계적 경향이거니와 고금을 막론하고 기독교는 도시를 정복하는 종교이다.바울은 안디옥, 에베소, 고린도, 알렉산드리아, 로마 등 대도시 중심의 선교 전략을 사용하였다.) lbid.
도시화 현상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도시인들이 농어촌보다 복음에 더 수용적이라는 것이다.그러면 왜 대도시에서 교회가 성장하는가 ? 문화 인류학자들에 의하면,변화는 도시의 상류층에서 시작하여 하류층에서 다음 농촌으로 확산한다고 한다.또한 농촌은 불교, 유교, 무속교 등과 밀착되어 있어 전도가 어려우며 자연과 혈연이 강한 사회이므로 대중운동(people Mov- ement)의 전략을 사용하지 않을때 교회성장은 어렵다.) lbid., p.290.
그러나 서울의 경우 급격한 사회변화와 도시화로 교회가 성장하였으나 과다 경쟁으로 고민하게 되었다.한 예로 도시 개척교회의 무계획적인 과다 경쟁적 개척은 많은 신학교에서 대량으로 교역자들을 배출할 뿐 아니라, 각 교단이 개척교회를 하면 안수를 빨리 받게 하는 정책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3. 한국 교회 성장에 대한 평가
지금까지 한국 교회 성장사와 교회성장 원인들을 여러 관점에서 개론적으로 살펴 보았다.결국 이러한 각종 성장의 원인들을 통해서 오늘의 한국 교회가 이만큼 거대한 성장을 이룩한 것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 교회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성장 이라는 말 자체도, 이제는 철저히 다시 검토되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왜냐하면 한국 교회가성장 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마다 그것은 언제나 교회의 양적인 부흥을 뜻하고 있기 때문이다.그 결과 한국의 교회는 양에 치중하는 교회가 되어버렸고, 교회 건물이 얼마나 크고, 거기 모이는 신도의 수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서 교회가 성장했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겠금 되어 버린 것이다.
물론 교회의 숫자적인 증대와 교인수의 증가가 교회의 성장이 아니라고 부정하는것은 아니다.그러나 만일 앞으로도 한국의 교회가 양적 성장에만 치중한다면, 한국의 교회는 잎만 무성하고 열매가 없는 무화가 나무 의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한국의 교회는 지금까지 양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들이다. 그러나 살아있다는 이름은 있으나 실상은 죽어있는교회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오직 성서의 말씀에 나타난 교회의 본질과 목적에 입각하여 교회 본연의 사명을 감당하는 교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도 부흥하는 교회가 있다면, 그 교회야말로 건전하게 성장해가는 성숙된 교회요, 진실로 축복받은 교회가 아니겠는가 ?
교회성장과 하나님 나라의 성장에서, 어떤 교회성장은 하나님 나라의 성장이 되지만 어떤 것은 그렇지 않다.그러므로 교회성장은 자기 종파의 확대나 인간적인 기관의 유지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일반적으로 성장의 통계 뒤에는 성장의 종류와 질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크로우니(Clowney)가 교회성장은 성령의 능력으로 하나님 나라가 성장하는 새로운삶 이라고 확언하는 것은 이러한 의미에서이다.)C.P.Wagner,성서적 교회성장 , 서정운 역(서울:대한기독교출판 사,1984),pp.30-31.
이러한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 확장사업의 전적인 도구로 부름받은 한국의 교회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건전하게 성장해야만 하는 책임이 있다.
B. 교회 성장 원리와 근거
1. 교회성장 학자들의 성장 원리
나는 여기서 도날드 맥가브란(Donald McGavran)과 조지 헌터(George G. Hunter), 씨 피터 와그너(C.Peter Wagner) 세 성장 학자들의 성장원리를 요약하고 비교해서 논하고자 한다.
교회성장 전문가 세 학자들의 원리와 사상과 주장은 다음과 같다.
a. 맥가브란의교회 성장의 열가지 원리요약) Donald McGavran,교회성자의 열단계오태용역 (서울:생명의 말씀사,1987), pp.31, 34, 47, 65, 76, 90, 111, 122, 139.
그는교회 성장은 하나님의 뜻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성장하기를 원하신다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교회 성장의 이유를 열가지로 말하였다.
1)교회 성장 원리을 발견할 때 성장한다.
2)성경적 원리를 존중할 때 성장한다.
3)하나님의 변할 수 없는 목적에 따를 때 성장한다.
4)복음 전도의 우선권을 부여할 때 성장한다.
5)그리스도의 몸을 옳게 분별할 때 성장한다.
6)지역사회를 분별 할 때 성장한다.
7)새로운 집단을 찾아 제자훈련 시킬 때 성장한다.
8)스스로 가족계획을 세워 번식할 때 성장한다.
9)교회가 성장체제를 갗출 때 성장한다.
10)성장을 위한 모험을 할 때 성장한다고 주장하였다.
b. 와그너의 일곱가지 교회 성장 원리) C. Peter, Wagner,교회 성장을 위한 지도력김선도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5), pp.15, 17, 22, 38, 39, 40, 42.
그는 교회 성장을 위하여 강력한 지도력을 호소했으며, 역동적인 교회 성장을 위한 목회자와 평신도의 협력 여부가 교회 성장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주장하면서 아래와 같이 성장의 일곱가지 원리를 밝히고 있다.
1)촉매작용의 역활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목회자와 전 교회의 성장을 위해 활용하도록 촉매작용을 하는데 이용되는 목회자의 영적 지도력.
2)기동성 있는 평신도의 역활
성장을 위한 모든 영적인 은사를 발견하여 발전시키고 사용하고 있는 평신도.
3)성장을 위한 규모를 구비한 교회
교인들의 요구와 기대에 맞는 모든것을 제공할 만큼 규모가 커다란 교회.
4)역동적인 적절한 균형의 유지
축제로서의 예배와 대예배, 소규모 모임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
5)하나의 동질 구성의 교인
동일 동질 집단의 단위로 이루어진 교인의 활용여부.
6)복음주의적 성장 연구
제자를 만드는 것을 입증하는 복음주의적인 방법들에 대한 연구.
7)성서적 순서에 의해 정비된 우선성
우선순위의 종합적인 의미는 목회자와 교인이 함께 일하는 방법인 것이다.
c. 죠지 헌터의 교회성장의 원리) George G. Hnnter,교회성장과 목회전략오한태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7), pp.4-20.
1) 복음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뿌리깊은 신화를 알고 여기에서 그리스도인을 해방시키는 일은 교회 성장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a)마술적인 접근으로 사람에게 이르게 하는 것(원시적인 마술 신앙 방법).
b)신빙성에 피난처를 구하는 경우.
c)현대성이다. 이는 유행하는 것에 사로잡히는 것을 의미한다.
d)교회성장의 전략가인 요한 웨슬레의 저술을 읽고 교회성장의 중요성 인식.
2) 사도적 신념의 회복 : 교회가 성장하고 하나님의 잃어버린 자녀들을 되찾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3) 맥가브란이 50년간 교회 성장에 공헌한 것을 극찬하고 연구업적을 수록.
a)교회가 위임받은 것은 주님의 지상명령을 사도행전을 통하여 인식하고
b)복음을 전하고 제자를 만드는 일을 할 때 교회가 성장한다고 보았다.
4) 교회 성장의 6 대 전략
a)하나님의 선재은총으로 말미암아 주님을 영접하는 수용적인
사람을 식별하는 전도방법을 알게 될 때 성장한다.
b)신자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전도, 즉 가교를 제공할 때 성장한다.
c)각 기관 조직체가 활성화 할 때 성장한다.
d)불신자 요구의 봉사, 새로운 봉사 방법 개발.
e)문화적으로 토착적인 전도방법 개발.
f)미래에 대한 계획이 복음적인 디딤돌이 될 때 성장한다.
2. 평가 및 비판
지금까지 필자는 교회 성장에 교회 행정의 역활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느냐를 다루기 위해 먼저 교회성장 학자들의 성장 원리의 핵심을 살펴 보았다. 세 사람의 학자는 유사한 점도 있고 각각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먼저헌터는 와그너와 맥가브란의 원리에 비해서 짧으면서도 독특하게 하나님의 선재은총을 강조하였으며 전도를 더욱 강조한 것을 알 수 있다.즉 예수님의 복음적 명령을 부각시켰음을 발견케 된다. 다음으로 맥가브란의 성장원리를 살펴보면 성서적 성장원리를 존중할 것을 역설하면서, 대신(對神)관계를 고조한 것을 알게 된다.이에와그너는 종교의식(예배)과 그리스도인의 도덕적 윤리적인 면을 강조하였다.그 예로 주는 일이라든가 사회봉사와 정의를 말한 것, 종교의 태도, 구별된 삶, 증거 교제, 성서 지식 등을 말한 것으로 알 수 있다.
필자는 교회성장 원리에 있어서 위의 세 학자들의 성장원리를 전적으로 받아들인다.그러나 그들의 교회성장 원리에 빠져있는 것을 발견한다.그것은 현재와 미래에도 필연적으로 있어야 할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판단된다.그것은 곧 교회행정의 뒷받침과 정립인 것이다.교회는 성장해야 한다.교회가 성장하고 보면 자연히 조직이 필요하고 기능이 따르고 믿는 사람들이 교회로 많이 몰려온다.즉 신앙의 공동체가 이루어진다.교회를 운영 관리하는데는 필연적으로 교회 행정적 문제인 인사관리와 재정관리와 건물 토지관리를 하지 않고는 계속적인 교회성장은 보장받지 못하게 된다.
행정학자 화이트(L.D. White)는 행정을업무의 업적에 따라 공정하게 정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실시하는 모든 작용을 말한다 ) 김득용,현대 행정학 신강(서울:총신대 출판부,1985), p.25. 고 했다.또한 프라이프너(J. M. Priffner)는행정이란 공동정책을 시행하기 위한공동적 노력의 조정 이라고했다.) 이상조외 2인공저,신 행정학 요론(서울:교학사,1981). p.13.
또한 트랙커(H. B. Trecker)는행정은 회중과 함께 목표를 수집하며 조직체들의 유기적 관계를 수립하며 달성한 바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 하였다.) 홍의표,현대 교회 행정학(서울:보문 출판사,1982), p.13.
위와같은 행정의 정의를 종합하면 행정이란 정책 수립, 조직, 분담, 진행, 지휘, 감독, 동원, 훈련, 집행, 검토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그러므로 교회행정이란 하나님의 자녀된 신앙의 공동체로서 교회가 원하는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수단을 총동원 체계화 시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결국 교회를 건전하게 성장시키려면 우선 필연적으로 교회행정의 확립이 전제되어야 한다.
Ⅳ. 교회의 본질과 교회 행정
A. 교회의 본질과 사명
교회는 내적, 외적 양상(樣相)을 가지고 있다.그 내적 양상은 교회의 본질을 말하며, 외적 양상이란 교회의 기능적 측면을 말하는 것으로, 교회 직무의 봉사적 기능 즉 만인 제사장직을 배경으로 하는 교회의 은사와 직분을 말한다.) 남신호, 교회직분의 바른 이해를 위한 소고 (석사논문,총신대학,1990),p.4.
교회란 무엇인가 ?교회라는 용어가 성서안에서 다양한 맥락속에 여러가지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만, 모든 다양성속에서 반복되고 있는 하나의 주제는 교회란에클레시아 라는 개념이다.신약성서 안에서 교회(Ekklesia)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적용하신 분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성서백과 대사전 제 1권 (서울:성서교재 간행사,1980),p.646.
교회라고 하는 개념이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나 목적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인간의 마음으로서 그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그렇다고 하나님께서 뜻하신 교회가 어떤 것이며 참 교회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내야 하는 우리의 책임이 적어지는 것은 아니다.) Lindgren, op.cit.,p.35.
그러나 본 연구가 교회 행정을 다루는 것이기에 먼저 선결되어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일 것이다.따라서, 교회(에클레시아)의 개념속에서 교회의 본질과 사명의 이해와 관계된 가장 중요한 성서적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제로 요약해서 생각하고자 한다.
1. 하나님이 선택한 공동체
이 말은 교회 안에서의 절대적 주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 즉 교회의 기초를 하나님의 선택에 두고 있는 공동체를 말한다.여기에서 하나님의 선택된 공동체란 말은 다음의 3가지 의미를 갖는다.하나는 교회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 그리고 교회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부름받았다는 것,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백성인 인간들의 공동체라는 것이다.특별히 이 공동체 개념은 교회 행정을 위해서 중요한 점을 암시하고 있으며, 교회 행정의 목표와 방법을 위해서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2. 그리스도의 몸
교회가 하나님의 전이며 그리스도의 몸이 된다는 사실은 교회가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즉,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와 그리스도는 서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그리스도의 몸 이라는 명칭은 교회와 그리스도의 생명적 연합을 비유로 표시한 것으로 사귐(KOINONIA)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의미한다.) 남신호, op.cit.,pp.5-7.이 개념은 다음의 4가지 의미를 함축한다.) Lindgren, op.cit.,pp.41-50.
a.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다.이것은 구약성서의 교회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개념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 말은 곧 그리스도를 통해서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결정될 뿐만 아니라, 교회 행정이 인정하고 성취하여 노력해야 할 소임(givenness)이 주어졌다는 뜻이다.
b.교회의 공동체적 일치성(corporate unity)이다.이 의미는 그리스도의 몸안에 다양성이 있음은 물론, 오히려 그 안에서 유기적 일치를 갖는다는 것을 강조한다.즉 교회는 공동적인 실체(corporate entity)라는 것이다.
c.교회는 그리스도의 사역의 연장이다.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할 때, 그것은 또한 살아계신 그리스도의 영이 그것을 통해서 계속 일하시는(도구나 대행 기관) 몸을 의미하고 있다.앨런 리처드슨(R.Richardson)은 그것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그러므로 교회는 그리스도의 손과 발이요 그의 입이요 목소리다. 그리스도께서는 복음을 선포하고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하기 위해서 인간이 되셔서 사람의 몸을 가져야 하셨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부활하신 모습으로 이 세상에서의 자기의 복음과 사업을 위한 도구로서 한 몸을 필요로 하고 계신다.
d.교회는 산 유기체이다.교회는 굳어빠진 조직체가 아니라는 개념이다. 즉 살아계신 그리스도의 영이 계속 일하시는 몸으로서의 교회, 산 유기체로서의 교회를 말하는데 그 교회는 자체안에서의 변화를 통해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유기체라는 것을 뜻한다.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자체 안에 갱생의 힘이 주어진 살아있는 유기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3. 구속적 사랑의 친교 공동체
오늘날 교회 자체 확장에만 경주하여 교회 본연의 사명을 멀리하는 경향에 치중하는 듯한 교회가 많다. 그 결과 나타나는 부정적인 많은 요인들 가운데서, 교회안에서 신자들중에 소외 계층이 생긴다는 현실)한국교회 100년 종합조사 연구 보고서(서울:한국기독교사회문제 연구원, 1981), p.94.은 교회 본질상 묵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기독교는 본래 사상이나 교리가 아니며 예배 형태나 교권적인 기관도 아니다. 기독교가 근본적으로 문제삼는 것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관계,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관계 그리고 인간 상호간의 관계를 포함하는 관계성이다.곧 인격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Lindgren, op.cit., p.52.
니이버(Richard Niebuher)는교회의 목적에 대한 정의가 사람들 가운데 하나님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면 그밖에 아무것도 있을 수 없다. ) H. R.Niebuher, The Purpose of the Church and Its Ministry (N.Y:Haper & Row,1956), P.31.라고 결론지어 말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랑하는 친교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경건치 못한 죄인의 무리가 어떻게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형성할 수 있느냐의 문제는 마치 어떻게 한 죄인이 동시에 하나님의 자녀로서 용납받을 수 있느냐의 문제와 같다. ) James E. Newbigin, The Household of God(N.Y:Friendship P.,1954),P.23.
때문에, 교회가 교회 되려면 구속적인 사랑의 공동체(증인)가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교회 행정이, 교회의 사명과 목적의 실현을 향해서 모든 것을 집중적으로 밀고 나가야 한다는 전제 밑에 고찰하였다.이 목적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교회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그래서 지금까지하나님이 선택한 공동체, 그리스도의 몸, 그리고 구속적 사랑의 공동체(증인)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 개념들을 성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이런 결론이야 말로 교회로 하여금 그 본질을 성취하고 그 선교적 사명을 완수함으로 성숙되게 할 수 있는 방편으로서의 교회 행정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B. 교회 행정의 정의
교회행정이란 말은교회 와행정 의 복합어이다.그러므로 교회행정학은 결국 교회와 행정을 함께 연구하지 않으면 안된다.서구 기독교 국가처럼 교회의 역사가 길고 교회에 대한 학적 고찰이 보편화 된 교회라면 구태어 교회론을 논하지 않고 행정에 대해서만 언급하면 간단하다.그러나 우리 현실에서 보면 오히려 행정 쪽보다 교회론 쪽에 더 관심을 같고 있는 현상이다.) 손병호, op.cit.,p.32.
아더 아담스(Athur Adams)는행정이란 어떤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인들을 통하여 그리고 그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다. ) 김득용, op.cit.,p.27. 라고 하였다. 이 정의는 목회자와 평신도가 함께 일하는 것 즉 협동한다는 것을 강조함으로 현대교회로서는 타당한 것으로 보아진다.
린그렌(Alvin J.Lindgren)은, 교회 행정이란 신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서도 조직하고 계획하는 방법과 교회의 활동을 인도하고 촉진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으로, 말씀을 더 효과적으로 증거하며 그리스도의 임재를 축하하고 양떼들을 돌보며 세상에 더 많은 봉사를 하도록 한다. 즉 교회 행정은 교회 전체를 동원해서 교회의 본질과 선교적인 사명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고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선포해야 하는 선교적 사명을 완수하는데 있어서 주어진 모든 물적, 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으로 교회를 이끌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Lindgren, op.cit.,p.276. 고 하였다.이런 린그렌의 정의는 교회관과 선교관념을 굳세게 하기 위한것과 인원과 물자를 사용함에 이해력 증진을 위하여 더 한층 고무적인 것으로 보아진다. 결국 교회 행정(Church Administration)이란 교회의 제 분야를 조직하고 관리 운영하는 제반 활동을 말한다.즉 교회의 전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회 지도자들이 교회를 인도하는데 관련된 활동을 말한다.
C. 성서적 입장에서 본 교회와 행정
교회의 본질 이해에다가 교회 행정의 기초를 두는 것은 분명히 성서적 근거가 있다.) lbid., p.23.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경우를 언급하면서 그 교회의 잡다한 행정적인 문제에 대해서 일일이 대처할 만한 프로그램을 처방함으로 해답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모든 행정적인 결정은 기독교 신앙의 전체적인 이해라는 판도 안에서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그리하여 그는개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대로 전체 교회의 특성에 알맞게 운영되어야 한다. ) lbid. 고 말하였다.
이와같이, 결국 교회내의 모든 행정적인 문제의 해결은 기독교 신앙과 교회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필요로 함을 깨닫게 된다. 그리스도교 초기 교회 역사에 있어서 바울은 이것을 강조하였다.교회 행정에 따르는 복음이 무엇이며, 교회가 무엇인가 하는 관점에 연결지음으로써만 바로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lbid., pp.24-25.
오늘도 교회 행정을 책임 맡은 사람들은 이 신약성서적인 모범을 본받지 않으면 안된다.근본적인 문제는그리스도교 복음의 본질이 무엇이며 교회의 목적이 무엇이냐 ? 하는 것이다.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주어진 다음에야 구체적인 문제와 그 해결책에 관한 현명한 단안을 내릴 수 있다.) lbid., p.25.즉성서적인 전례는, 교회 행정은 반드시 교회본질에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Ⅴ. 교회 성장을 위한 교회 행정 원리
A. 현대 교회행정의 두 가지 방법
1. 프로그램 중심의 방법
교회 생활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완전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이다.지금까지 출판된 대부분의 저서들은 이런 입장에서 쓰여진 것들이다.가령 재정, 전도, 교육, 인사 등등의 요청된 분야에 대한 완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그 프로그램에는 상세한 설명이 따르게 마련이며, 시간표는 물론 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편지 문안까지도 제시되어 있다.) Lindgren, op.cit.,p.16.
이런 틀에 박힌 프로그램을 실제적 상황에서 추진하는 행정 방법은 교회의 본질의 관점에서 볼때, 장점보다도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lbid.,pp.16-17.
첫째, 이런 프로그램은 개 교회의 상황과 인물의 차이에서 오는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프로그램을 어느 교회에서든지 꼭 같은 출발점에서 시작할 수 없다.
둘째, 이미 짜여진 프로그램은 사람들이 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개개인의 신상에 일어나는 일들을 고려할 수 없다.경우에 따라서 이런 요소는 아주 중요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프로그램 진행과정의 사소한 일 때문에 교회가 전체적 부분적으로 분열된 실례가 종종 있다.)
셋째, 고정된 프로그램은 행사의 진단과 시정에 있어서 개체 교회의 독창력을 잃게 한다.어느 교회든지 당면문제의 진단과 그 해결을 위한 복잡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 교인들이 직접 가담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고 필요하다.
넷째, 아무리 훌륭한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모든 교회의 문제들을 위한 해답이 하나뿐이라고 하는 것은 큰 오류에 빠지기 쉽다.사실상 태도와 지도자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서 한정적인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 교회 행정을 이렇게 고정된 프로그램 중심으로 할 때생기는 이러한 결점들 때문에, 본 장에서는 다른 방향에서 교회 행정을 시도할 것을 제안하려 한다.
2. 원리 중심의 방법
이 방법은 어느 상황이나 문제에도 적응하고 적용할 수 있는 일련의 행정 원리를 알아서 실천하는 방법이다.즉 어떤 행정 활동 이전에 먼저 기본적인 행정 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방법이다.만일 이런 원리들이 근본적으로 건전한 것이라면 여러 다른 상황과 변천하는 환경에 대한 불변의 지침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lbid.,p.17.
교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회 행정은 프로그램 중심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에 우선적인 강조점을 둘 때, 초점이 사람보다도 그 프로그램의 추진에 얽매이게 되어 종종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리는 결과가 된다.예수님의 안식일에 대한 율법을 경고한 말씀을 바꾸어 말하자면,프로그램이 인간을 위해 있는 것이지 인간이 프로그램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그러므로 행정하는 사람은 장단기의 목표를 안목에 두고 유연성있는 원리를 가지고 주어진 상황과 그 일의 독특성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lbid., pp.17-18.
B. 교회 행정의 특수성과 양극원리
1. 교회 행정의 특수성
초대교회에는 훌륭한 행정의 원리들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이러한 초대교회는 인류 역사상 가장 장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기관이며 가장 거대한 조직체인 교회의 전 역사에 기본이 된다.) 조동진, 교회 행정학 (서울:크리스챤 헤럴드,1977), P.19.
이와같은 초대교회의 조직목표는 하나님 나라의 일이었다.그러나 예수의 제자들에게는 이스라엘의 나라회복(행 1:3),즉 국가의 독립이 중요한 목표였다.이에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그의 제자들을 훈련시켜 사도행전1장 8절의 말씀처럼 내 증인이 되리라라는 것을 초대교회의 목표가 되게 하셨다. 일반적으로 교회 행정에서의 조직은 일반행정의 이론적인 체계와는 상이하다.이는 일반 행정의 조직행정이 군대에서 발달한 계선조직이나 막료조직 처럼 획일적인 것이지만,교회 행정은 다른 여러가지 종교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특히 종교 지도자의 성격에 따라 형성되어 왔기 때문이다.) C. West Churchman, The Systems Approach (New York:Dell Dellta Books,1969), p.28. 뒤르깽(Emile Durkheim)은 현대사회의 급속한 행정화, 전문화, 분업화 경향을 경고하여 말하기를 ) 김운태, 조석준,행정 조직론(서울대 출판부,1982), pp.199-200.
사실상 개인은 자기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 활동이 어느 방향으로 나가고 있으며 또 전체 목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의식하지 못한채 개속해서 일상적인 업무만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아무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단조롭고 획일적인 일만을 되풀이 하는 살아있는 조직의 일개 세포로 화하고 있으며 이 세포는 살아있는 인접세포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고 반응하는 활동 밖에는 할 줄 모른다.이러한 분업은 인간완성을 파멸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경제기능 나아가서 사회원천 까지도 고갈시킬 것이다."라고 하였다.그렇지만 현대교회의 분업화와 전문화의 요구수준은 위에서 말하는 거대규모의 것이 아니다.교회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정도이며,교회가 갖는 특수성과 특유의 결집성으로 위의 현대조직 사회의 역기능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교회 행정의 특수성(독자성)이란, 교회의 독특성인 교회의 본질로 부터 비롯된다고 말할 수 있으며이것은 일반행정과 다른점으로 표현되기도 한다.이러한 교회 행정의 성격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교회 행정의 원리를 알아보는 일은 의미있는 일이다.
2. 교회 행정의 양극원리
교회 행정의 건전한 방법은,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다음과 같이 크게2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즉 조직체와 하나님과의 관계의 차원인 하나님 중심의 원리와,조직체 내의 인간관계 차원인 인간 지향적 원리이다.이러한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a. 하나님 중심적 원리
교회는 그 본질에 있어서 하나님의 것이라는 분명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다.행정행위의 처음부터 이 사실을 인정하고 들어가야 하며,교인 전체의 투표나 교단의 성명서로서 그것을 뜯어 고칠수 가 없다.교회가 하나님 중심의 교회가 아니라면,중세기의 제도 중심적인 교회가 되든지, 아니면 오늘날과 같이 프로그램 중심적이거나 목사 중심적인 잘못된 교회가 되고 말 것이다.이와같이 하나님 중심적인 것을 등안시 할 때교회가 빠질수 있는 함정은 수없이 많다.그러면 하나님을 중심에 두고 교회 행정을 한다는 것은 교회 생활에 무엇을 뜻하는가 ?) Lindgren, op.cit.,p.61.
1) 교회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실제적으로 이 말은 교회의 성공적 활동을 판단하고 측정하는 기준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인간들을 하나님께 접근시키고 그들을 영적으로 건강하게 하는 것이 하나님 중심의 행정에서 더욱 중요하다.) 교회 문제 연구소,오늘의 한국 교회 무엇이 문제인가(서울:엠마오 출판사,1986), p.295.
2) 하나님 중심적인 행정을 하는데는 성서연구가 절대 필요하다.행정을 하는 사람의 주요 관심사의 하나는 모든 교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갖도록 도와주는 일이다.그것을 성취하는 방법은 교회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나 목사가 주도하는 성경연구, 성경 분반토의, 강단의 설교, 교회교육, 기도와 친교, 심방과 목회, 그리고 평신도의 증거와 봉사를 위한 기회 부여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이러한 것은 교회로 하여금 방향감각을 갖게 할 것이다.) Lindgren, op.cit., p.62.
3) 하나님과의 산 인격적인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적 이해만 갖고는 안된다.하나님에게 자신을 맡기는 결단과 그리스도를 구주로 받아들이는 인간적 결단이 수반되지 않으면 안된다.교회 행정이 하나님 중심적이 되기 위해서는 이 점이 중요하다.그러므로 교회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런 신앙적 결단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예를들면 공적 예배와 사적 예배, 작은 집단의 활동, 계속적인 목회와 상담, 선교 사업과 봉사의 기회 부여 등이다.) lbid., p.62.
4) 선교와 전도는 교회의 목적을 성취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교회의 본질을 검토하면서 하나님께서 교회를 부르신 것은 만인을 위한 자기의 사랑 때문이었음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성육신(incarnation)의 이유와 의미를 만민을 위한 하나님의 사랑에서, 그리고 그들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열망에서 찾게 된다.다시 사신 그리스도께서온 세상 안으로자기 제자들을 보내셨다.성경은 이 점을 분명히 해 주고 있다.즉, 교회는 세상에서 빠져나온 수도원에 갇힌 성도들이 되라고 부르신 것이 아니라 나아가서 세상을 섬길 사람들의 친교 공동체로서 부름받은 것이다.그러므로 교회 행정을 하는 사람은 교회라는 기관을 섬기는 것이 자기의 임무라고 생각해서는 안되고 오히려 지역사회와 세상을 섬기도록 교회를 훈련하고 지도하는 일을 해야 한다. 이 목표의 실현은 위에서 논의한 세 가지 목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다.) lbid.,p.63. 이런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구체적인 방편과 원리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다시 언급할 것이다.
b. 인간 지향적 원리
교회는 먼저 하나님의 것임을 말했지만 그것은 동시에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교회는 하나님이 세우신 목적중의 인간들 속에서, 그리고 인간을 통해서 세우셨음을 알게된다.교회생활의 모든 활동은 인간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장헌익,한국교회의 행정적 치리방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 문, 교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p.18. 하나님께서 인간이 되신것은 자기 사랑의 본질과 깊이를 인간으로 하여금 의미있게 알게 하기 위해서 였다.그것이 비록 십자가의 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음을 알고서도 그렇게 하신 것이다.이제 인간이 교회의 주요 관심사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그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관심의 대상이기 때문만이 아니고 바로 이 인간이 하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편이기 때문이다.) lbid., p.65.
그렇다고 인간 지향적이라는 말이 인간 중심적이라는 말과 혼동해서는 안된다.인간 중심적인 행정은 사람들의 욕구와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터무니 없는 생각을 행정의 규범으로 생각하기 쉽다.) 장헌익, op.cit.,p.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교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는 엄연한 사실을 피할수 없다. 결국 인간지향적 교회 행정이란 교회 행정이 합리적으로 조직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즉 교회 행정이 민주적이려면 전체 교인이 참여하여 그들의 가능성과 자질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하며, 그들의 역활 분담을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전체 교회가 유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lbid.
여기에 교회 생활의 모든 분야에 적용해야 할 척도가 있다.교회는 그 모든 활동의 목적이사람들에게 무슨 변화가 일어나느냐 에 주요 관심을 두어야 한다.이 판단의 표준은 예배, 설교, 교육 프로그램, 교회안의 소 집단 활동 등, 심방과 목회, 그리고 교회 생활 안에서의 모든 다른 경험 등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Lindgren, op.cit., pp.65-66.
그렇다면 이 인간 지향적인 교회 행정의 의미는 교회 생활의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
1) 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은 분명한 이유를 안목에 두고 진행되어야 한다. 즉 프로그램이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있지 사람이 프로그램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원칙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lbid.,p.66.
2) 인간 지향적인 방법은 복음을 전달하는 방편으로서의 인간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복음이 가장 잘 전달되는 것이 인간관계를 통해서이므로, 교회 생활에 있어서 평신도의 참여는 교회 행정을 위한 혁명적인 개념이 된다.) lbid.,pp.66-67.
3) 이 개념은 교회생활에 있어서 목회와 대인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 주고 있다.목사와 개인간의 인간 관계를 통해서 기독교 사랑과 신앙의 의미에 대한 해석이 전달되는 것이다.) lbid.,p.67. 여기서인간관계의 언어 ) Reuel Howse, Man's Need and God's Action (Greenwich:Seabury Press,1963), p.73. 가 기독교 복음의 의미에 대해서 큰 소리로 말해주고 있고 분명하게 의사를 전달해 주고 있다.즉 좋은 의미에서의 교회의 선교와 전도도 목회로 다져진 인간관계를 통해서 잘 되어질 수 있다.) Paul Rountree Clifford, The Pastoral Calling (Mauhasset, New York: Channel Press,1961), p.33.
4) 그룹 모임을 구속적인 기회로 생각해야 한다.이런 모임에서 서로 만나는 것이 인간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그들의 신앙도 돈독하게 해주고 있는가 ? 교회의 프로그램에서 얼굴들을 맞대고 대화를 하는 것이 교인들로 하여금 새롭게 살도록 자극해 주는 구속적인 경험이 되는가 ?그룹 활동이야 말로 이런 변화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John L. Casteel, Spiritual Renewal Throuth Personal Groups(New York: Assciation Press,1957), p.18.
지금까지 하나님 중심적이고 인간 지향적인 교회 행정의 양극 개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더나아가서교회의 실제 생활에 있어서 이 개념이 암시하는 바가 무엇인지 언급하였다.결국 교회 행정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이해할 때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즉 교회 행정의 근본이 하나님을 중심으로 하며 동시에 사람을 섬기기 위함이기에 그 행정이 합리적이며 민주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이 개념들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장에서 되풀이 될 것이다.
C. 교회 행정의 목표와 방향
성장하는 교회는 명확한 방향과 목표, 대상등을 가지고 있다.어떤 특정한 제안만을 가지고는 만족하지 않는다.그러므로 교회 행정가인 목회자는 분명한 철학을 정리해야 한다.목회 철학은 선교 목적과 교육 목적을 설정 함으로써 교회 행정의 뒷받침을 잘하게 된다.딘켈리(Deankelly)는 자신의 저서에서 보수적인 교회들이 성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 교회들이 교회의 존재 이유에 대하여 더 많은 시간과 노력,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Lloyd Peny,목회자와 교회행정 , 김영백 역 (서울:보이스사,1980),P.51.
교회 활성론의 창시자인 월리 박사(Robert C. Worley)는 그의 저서,마른 뼈로 숨쉬게 하라 (Dry Bones Breathe!)에서, 목표설정은 회중을 능동적인 회중으로 육성시키는 데 있어서 첫 단계이다) Robert C. Worley, Dry Bones Breathe! (Chicago: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1978),p.51.
라고 하였다.
다음은 목표의 설정 이유와 중요성을 요약하였다.) 방지형,교회운영론(서울: 성광문화사,1990),pp.60-61.
< 왜 목표를 설정 하는가 ? >
첫째, 목표는 사업의 방향과 목적을 제시한다.
둘째, 목표는 개인의 활동력을 통일시킨다.
셋째, 목표는 각자 신앙의 고백이다.
넷째, 목표는 꿈과 비젼을 실천에 옮기는 계단이다.
< 목표의 중요성과 유익은 무엇인가 ? >
첫째, 어떤 면에서 목표는 교회 문제를 미연에 예방하는 장치가 된다.
둘째, 비젼을 실현시키는 도구와 같다.
셋째, 교회의 최우선 사업과 다음 사업이 무엇인지 순위를 알게 하며, 에너지를 균형
있게 사용하도록 한다.
넷째, 재력과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게 한다.
그렇다면,교회 행정을 책임맡은 사람이 성취하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 ?그가 모든 노력의 결과로서 노리는 것이 무엇인가 ?즉 그의 목표는 무엇인가 ?그것은 그가 교회와 교회 행정에 대하여 어떤 이해를 하느냐에 달려있다.그렇다면 교회 행정의 목표와 방향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1. 기독교 신앙 이해와 영적인 성장
이 목표는 교회가그리스도의 몸 이라는 교회의 본질에 근거한 것이다.교인에게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해시키고 그 신앙의 대상인 그리스도에게 삶 전체를 맡기게 만드는 것이 교회 행정의 목적이며,바로 이 점이 교회 행정과 일반 행정이 다른 점이다.) Lindgren, op.cit.,p.85.
영적 성장이 없이는 확신도 회개도, 변하여 새 사람도, 성화도, 구원도 불가능하다. 오늘날 교회는 영적 성장이 중시되지 않고 있다. 성령이란 말은 있어도 성령이 없는 교회나 다름없다.영적 개발이 없는데 영적인 교회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 그리스도 자신인 복음의 성장을 위해 교회 행정이 필요하며, 공적으로 합법적으로 가시적으로 목사를 통하여 교정도 하고 세우기도 하고 확장도 하는 것이다.) 손병호, pp.98-99.
그런데, 영적 성장을 바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교인들과 교회 지도자들이 너무 많은 것 같다.교회적인 일이나, 교회에서 하는 의식이나 순서가 영적인줄 아는 사람이 많다.기도나 집회나 신유나 간증이나 방언이나 음악이나 축제 등이 영적인 것은 아니다.영적이란 결코 종교 풍습이 아니다. 영적은 내적이며, 영적은 복음이며, 영적은 예수 그리스도적임을 말한다.조용히 그리고 분명히 예수 그리스도로 말마암은 변화를 말하며, 비 예수 그리스도적인 데서, 비 복음적인 데서 떠나는 일이며 더우기 유교적인 데서, 불교적인 데서, 무속적인 데서 떠나 참 신이신 하나님과의 진리를 말한다.) lbid.,p.99.
교회가 행정을 한다는 이유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이런 것이 없이 서식이나 만들고 조직이나 하고 운영이나 하는 것을 행정으로 보지 않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행정 하면 일반 개념에서 떠나지 못하고 있다.) lbid.
이와같이 교회 행정의 목적과 방향은, 기독교 신앙의 내용인 복음을 알게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교회의 영적 성장을 말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내면적인 교회의 성장이 중요하다.물론 외적인 성장도 있어야 하나 그것은 곧 내적 성장의 여건이나 환경에 지나지 않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교회는 몇 가지 프로그램을 시행이나 하면서 좋은 분위기에서 교인들이 모이면 되는 것으로 착각하고 그것이 무슨 성장인 줄 안다.그러나 교회생활의 모든 경험과 행동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공헌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평가 되어야 한다.
2.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함
이것은 교회가하나님이 선택한 공동체 라는 교회의 본질에 근거한 것이다.교회 행정의 목적과 방향은 하나님을 사람보다 더 기쁘시게 해야 함에 있다.교회 행정 본질 자체가 그렇다.그렇지 않을 때 하나님의 교회는 설 자리가 없다. 교회 행정이라 하면 마치 프로그램 중심(program-centered)이 아니면 목사 중심(pastor-centred) 아니면 장로 중심(elder-centred) 또는 기관 중심(institu- tion-centred)의 행정인줄 안다.이는 중세교회와 다름없는 것이다.) Lindgren,op.cit.,p.62.
진정한 교회행정은 하나님 중심(God-centred)이지 않으면 안된다.근대 교회의 활성화나 행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강조되는 이유는 합리적인 조직 운영에도 있으나 그것은 지극히 부수적인 것이지 결코 주된 것이 될 수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인식은 여전히 그런데 있다.
교회 행정가인 목사는 교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인지를 가르쳐야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성서에 나타난 원리들을 알게하고 가르쳐 주고 설교해 주어야 한다.) 손병호, op.cit.,p.111.
그러나, 우리는 그동안 기도회나 각종 집회에서 성서를 편식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하나님은 부분적이지 않으시다.하나님을 결코 감상적으로나 종교심 위주로만 대해서는 안된다.보다 지성적으로 그리고 전반적으로 세상 전체를 놓고 생각할 줄 아는 신앙을 가르쳐야 한다.한국교회는 하나님 신앙을 너무 감상적으로 하고 있다.아직도 생활화를 못하고 있다.) lbid.
한국교회는 사회성이 부족하다.개인 구원이냐, 사회 구원이냐의 흑백논리 차원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여전히 폐쇠적이다.신앙과 생활이 평준화가 되지 않았다.빈부의 차가 심하다.그러나, 그런 격차 중에서 그런것을 극복하는 일은 등한하고 기도원에는 자주 다닌다.작은 일부터 감당하려 하지 않는다.큰 일, 큰 것만 중시한다.세상을 따라서이다.전에는 교회가 세상을 이끌었으나 지금은 시대에 따라 다닌다.그저 커야 한다.하나님 조차 커야 한다. 큰 교회여야 한다.큰 지도자야야 한다.마치 일류 학교를 찾듯, 일류 직장을 찾듯 일류 교회를 찾는다.) lbid.,pp.111-112.
이 모든 원인은 교회가 정말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가르쳐 주지 않았고 편파적으로 알려 주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일은 교회의 사명을 온 교인들이 함께 수행 하는데 있다.) lbid.,pp.112-113.
즉 교회행정은
첫째, 교인들이 각자 다 선교사요 그들의 가정이나 직장이나 회사가 곧 임지(任地)라는 것을 알게 하는 일이며, 더 나아가서 실제로 그런 역활을 수행하게 하는 일이다. 교회 행정은하나님을 섬기고 사람들에게는 봉사(to Serve G-od and people) 이다. 그러나, 진실로 하나님을 섬기고(serving) 사람들에게 봉사(serving)하는 교회는 별로 없다.
둘째, 교회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고 교회의 행정이 이런 차원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 교회 내의 모든 기구나 부서들이 상호협력을 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개시하게 하는 일이다.
셋째,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즉 지리적, 정치적, 문화적, 지역적 환경에 대비한 효율적이며 기본적인 방법이다.동시에 강조되어야 할 것은 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사랑하신다는 것이다.
넷째, 모든 교인들이 목사처럼 목회를 하는 일이다.하나님은 평신도들이 목사가 목회하는 것을 관망이나 관전 그리고 채점을 하기 위해 두신 것이 아니다.교회행정은 그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R.Niebuhr, op.cit.,pp.82-83.
그러므로 교회 행정이 할 일은, 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이 교회와 지역사회
를 위해서 무엇인가 하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일을 해야 한다.
3. 교회의 성숙을 위함
교회를 파괴하는 일이 너무 많다.교회에 파괴나 손상을 오게 하는 일들이 교회를 교회답지 못하게 하고 있다.외부에서 때로는 자체안에서 그런 일이 많이 일어나며, 심지어 지도자급들이 그런 파괴적인 일을 연출하고 법적으로 합리화를 하는 행정을 하기도 한다.바로 이런일을 막는것이 교회행정이다.
첫째로, 교회는 인간의 지성과 합리성을 배격하면 안된다.) 손병호, op.cit.,pp.100-101.
영적 성장은 지성이나 합리성을 배제하라는 것이 아니다.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창조주로부터 부여 받았다.그것을 신앙과 결부시켜 버려야 되는 것으로 가르친다면 그들은 종의 종이 되고 만다.
교회는 단순한 종교심 충족을 하는 자생적(自生的) 종교단체가 아니다.사람들이 무엇인가를 믿어야겠는 데 대입(代入)되는 종교도 아니다.교회는 하나님으로부터 음성을 듣고, 계시를 받고, 사명을 받은 하나님의 구원의 도구다.이런 일을 위해서 교회는 보다 정선(精選)되지 않으면 안된다.난립(亂立) 그리고 오합지졸(烏合之卒)에 참으로 영적으로, 지적으로, 합리적으로 성장하지 않으면 안된다.만일 이런 일을 외면하거나 등한하는 교회행정가는 곧 교회를 파괴하는 일에 가담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이런 것을 제외한 하나님의 나라나 교회는 결국 미신적으로 무속적으로 동질화될 뿐이며 사설 집단이나 사이비로 끝날 뿐이다.
둘째로, 교회는 사람의 기본 인권을 무시하면 안 된다.) lbid.,pp.101-103.
사람은 다 독자적으로 도덕적이며 책임적인 존재들이다.사람 위에 사람이 있을 수 없다.하나님만이 사람과 양심의 주님이시다.하나님 앞에서 무엇이 옳고 그르며 무엇이 진리이고 비진리인 것을 가르쳐 주어야 하며, 어디까지나 진리와 정의 위에서 소신대로 살고 책임적인 존재가 되게 교회의 모든 행정력을 구사하여야 한다. 사실 교회는 인간의 인격 존중을 제일로 하는 곳이다.하나님을 아버지로 한 모든 자녀들은 피차 복종하는 자들인 것이다.하나님 사랑은 이웃 사랑이 되고 이웃 사랑은 인격과 인권의 존중을 뜻한다.이는 자기를 사랑하는 일로부터 부모를 공경하고 형제 우애하고 아내와 자식을 사랑하고 남편과 시댁 식구들까지, 나아가 동족과 인류까지 사랑하는 정신이다.이런 일 없는 교회 성장은 무의미하다.
셋째로, 하나님의 말씀의 생활화이다.) lbid.,pp.103-105.
가르치고 익혀서 행동하게 하는 일이다.날이 갈수록 사조나 사상 그리고 이념이 많은 시대 앞에 교회의 진리는 마치 가치가 없는 것처럼 생각하는 세대들도 없지 않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그런 것에 도전을 받는다고 하여 맥을 못추거나 기를 못부릴 정도의 진리가 아니다.그 진리는 무당들이나 하는 정도의 주문이나 굿이 아니다. 사상과 이념의 문제다.오늘날 교회가 도전을 받고도 답변도 못하고 있으며 전개도 하지 못하고 있다.오히려 편승하는 자가 있다. 교회가 없이 하나님의 진리를 수호할 수 있다고 보는가 ? 교회를 경시하고, 교회밖에서 오히려 교회를 비판하는 자들이 있다.누가 그런 자를 신학자라 할 수 있겠는가 ? 신학자는다른 복음 을 전하지 않아야 한다.목사들은자기 복음 을 말하지 말아야 한다.하나님의 말씀을자기 가 마음대로 들쑤셔서 뒤집는다.자기가 하나님 위에 있다.교회행정의 목적이 무엇일까 ?결코자기 복음 이나다른 복음 을 전하지 않는데 있다.교회행정은 교회를 교회답게 하는 일이다.즉 교회행정은 교회가 교회 구실을 하게 하는 데 있다.교회행정은 교회를 안일하게 별일 없게 하는 것이 아니다.바른 신앙이 고백되는 일, 선포되는 일, 예수를 증거하는 일, 이런 일을 놓고 내적 외적 성장을 하는 일, 그리고하나님 나라 를 이루는 일에는 지금 온 인류가 다하
여도 이룰 수 없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 교회의 영속적(永續的)인 과업이다.여기에 방해와 파괴거리가 되며, 불필요한 것은 결코 장려될 수 없고 기피될 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사랑하신다.그 까닭에 하나님은 아들을 성육신하게 하셨다.그리하여 그의 나라를 이루시려 하셨다.그러나, 쉽게 이뤄질 수 없음을 아시고 교회를 세우셨고, 그 교회에 그의 종들을 임명하셨다.그의 종들은 놀고 먹고 군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기 위해 세우셨다.그러므로 교회 행정가인 목회자는 그리스도처럼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기 위해 성육신하시고 십자가를 지게 하기 위해 교인들을 가르쳐야 한다.목회나 행정의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부활의 그리스도는 그의 사도들과 제자들을 온 세계로 보내셨다.성서는 교회가 세상에서 격
리된 수도원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향하여 나갈 자를, 세상에 봉사할 자를 부르시고 교육과 훈련과 교제를 하는 곳임을 가르쳐 주고 있다.) lbid.,pp.486-487.
즉, 말씀의 도성인신화(Incarnation)가 교회행정의 목적이라는 것이다.이는 교회행정가의 주된 사명이며, 교인들의 일이며, 교회 지도자의 일이며, 신학자의 사명인 것이다. 린그렌(Alvin Lindgren)교수는 교회의 본질에 근거하여서 교회행정의 목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 항목을 말하였다.) Lindgren, op.cit.,pp.84-85.
1)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다(엡 1:3-14)
2) 교인들의 신앙을 유지하고 세우는 것이다(고전 12:23-25)
3) 상호간의 봉사에 종사하는 것이다(엡 4:11-15)
4) 다른 사람을 전도하는 것이다(마 2:8,19,20)
5) 오늘날의 사건들을 하나님의 계시에 비추어 해석하는 것 등이다(롬15:4,엡 3:8-11) 위의 5가지 요소중에서 1) 은 하나님이 선택한 공동체로서, 2) 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그리고 3)4)5) 는 구속적 사랑의 친교 공동체로서의 앞에서 언급한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근거하여 교회행정의 목표를 세운 것이다.
지금까지 열거한 모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기본 원리의 이해와 적용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이 원리는 행정을 맡은 사람으로서 교인을 이끌고 갈 폭넓은 여러 방법과 관계가 되어 있다.교회 생활의 여러 국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이 하나 하나의 원리가 다른 것과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bid.,p.86.
이 원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음악 분야에서 한 좋은 예를 들어보자.좋은 음악가가 되기 위해선 음악과 관련된 제 원리를 다 체득해야 한다.그 원리란 악보를 읽는 것, 각 음부의 박자와 강조점을 알고 그것을 악기로 표현할 줄 아는 것, 좋은 선생 밑에서 지도를 받으며 규칙적이고 비판적으로 꾸준한 연습을 하는 것 등이다.이런 기본적인 것들은 어떤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있어야 할 것들이다. 물론 악기를 선택하고 어떤 형태의 음악을 연주하며, 무슨 곡을 골라서 할 것이냐는 각자의 자유이다.그러나 그런 것은 먼저 갖추어야 할 제반 원리를 터득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lbid. 마찬가지로 좋은 교회 행정가가 되
기 위해서는 교회와 행정에 관련된 다양한 이해와 함께 제 원리를 숙달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장에서 언급하겠다.
D. 교회 행정의 기본원리
건전한 교회의 성장을 위하여 좋은 행정가가 되는 것은 다른 사람의 프로그램에 대한 좋은 자료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그 프로그램이 유명한 걸작품이라 해도 마찬가지이다.다만 그 프로그램의 매일 매일의 발전과정에 대한 원리(原理)를 숙달함으로써만 교회 행정가로서 자기 상황에 꼭 맞게 적용할 수 있다.) lbid.
그러므로 교회의 본질에 근거한 건전한 교회의 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교회 행정의 목표를 실현 가능하게 할 교회 행정의 원리 또는 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무질서한 행정의 실제 활동보다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회 행정의 기본 원리를 여섯가지로 설명하고자 한다.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bid.,p.87.
첫째, 예배와 교육을 통한 영적 기초확립.
둘째, 구속적인 인간관계의 수립.
셋째, 교회 내의 창의적인 소집단 개발.
넷째, 선교를 위한 일반 신자의 훈련.
다섯째, 종합 계획을 통한 교회의 역량 증가.
여섯째, 주어진 자원의 완전 활용.
이 원리들이 교회의 건전한 성장을 목적으로 한 교회 행정의 체계를 이루는 것들이다.어떤 일이 됐는지 그 의도했던 결과를 초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원리가 필요하다.이 원리를 결코 잊어서도 안 되고 소홀히 해서도 안된다.이제부터 교회 행정에 기본적인 원리로 간주되는 여섯분야를 확인하고 그 하나하나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이 원리들은 교회 행정을 하는 사람이 교회를 유도해서그 교회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방편이 될 것이다.) lbid.,p.89.
1. 영적 기초 확립의 원리
a. 이 원리의 중요성
가장 기초가 되는 중심 원리로서, 사실상 모든 원리는 이 초석 위에 자리를 잡아야 한다.물론 예배와 교육이 없이도 교회는 그 장엄한 건물과 일요일과 그 밖의 다른 때의 집회소, 그리고 많은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 지역사회 센터로서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다.그러나 그것이 그리스도의 교회다운 교회라고는 말할 수 없다.교회의 방향감각, 교회활동의 기본 동기, 그리고 교회의 목표와 표준은 전체 교인에 의한 예배와 교육의 기초 위해서 정립이 되는 것이다.) lbid.,pp.89-90.
b. 교회 행정 책임자의 문제
교회행정이 하나님 중심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 지향적인 것이기 때문에 행정가의 인격적인 일관성은 모든 행정 원리의 성취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그러므로 행정책임을 맡은 목사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lbid.,pp.90-94.
첫째, 개인적인 예배의 경험이다.목사는 하나님에 관해서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자기와 산 관계성을 유지하는 그런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기도와 개인적으로 매일 드리는 예배가 자기 삶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그래야만 사람들의 경건생활을 지도할 때, 경험에 입각한 권위있는 말을 할 수가 있다.
둘째, 쉬지 않고 계속하는 공부다.교역자에게 아무리 많은 다른 요청들이 몰려온다고 할지라고, 그런 것이 자기의 정기적인 공부시간을 빼앗아가서는 안된다.만일 그 일정한 공부시간을 갖지 못하면 그는 효과적으로 설교하고, 가르치고, 상담하고, 심방하고 또 교역자로서의 책임을 다 감당할 수가 없다.자기 자신의 공부하는 습관이 아주 잘 훈련된 목사만이 심각하고 계속적인 요청이 있는 전체 교회를 기독교 신앙의 본질로 이끌어 갈 준비가 되고 그런 능력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 교회생활의 중심으로서의 예배
첫째, 공중 예배는 교회생활의 기본이다.그러므로 교회 행정가는 예배가 교회생활에서 중심적이요, 의미 깊은 것이 되도록 해야 할 청지기 역활을 해야한다. 기독교인은 그 자신을 위하여 무엇을 얻기 위하여 예배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하나님이 우리 삶의 창조주이시고, 우리는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것을 우리 스스로 깨닫고 또 지역사회에 증언하기 위하여 예배한다. ) John C. Irwin in Field Education Manual, ed. by Alvin J. Lindgren and Charles H. Ellzey(Evanston : Garrett Theological Seminary,1963),p.23.
그래서 생명있는 예배는 교회의 힘이 되는 근원이요 주요 원천이다.
둘째, 교역자는 공중 예배에 대한 책임이 있다. 공중 예배에서 예배를 보는 사람들은 교인들이다. 교역자가 그들을 위하여 예배할 수는 없다. 형식을 마련하고 자료를 선택해서 교인들이 그들의 예배로 드릴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목사의 기능이다. ) lbid.
그러므로 교역자는 예배를 공부한 학생이어야 한다.그는 예배의 성서적 근거와 교회사에서 예배의 발전에 대한 것을 알아야 한다.이 분야에 관한 독서는 모든 교역자의 공부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이 분야의 좋은 참고서를 소개하면 :
(1)Raymond Abba, Principles of Christian Worship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57).
(2)Oscar Hardman,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Nashville:
Cokesbury press,1937).
(3)Ilon T. Jones, Historical Approch to Evangelical
Worship(Nashville:Abingdon Press,1954).
셋째, 성례전은 알맞게 집행되어야 한다.교인들 모두가 성례전을 의미있는 예배의 경험이 되게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기울이는 것이 교역자의 책임이다.) Lindgren, op.cit.,pp.100-101.
넷째, 각 예배 의식의 지도력은 매우 중요하다.예배 의식 지도자의 옷과 몸짓은 그 자신에게 주목을 끌게 해서는 안된다.예배의 정신은 예배 인도자의 인격과 태도를 통해서 가장 잘 전달된다.) lbid.,pp.101-102.
마지막으로 예배에 대한 회중의 이해를 확대하여야 한다.사람들이 예배에서 정신적인 영양과 갱신을 발견할 때, 그들은 다시 올 것이고, 그들이 어디서 정신적인 음식을 발견하였는지를 이웃에게 말할 것이고, 때때로 이웃을 데리고 올 것이다.) D.T.Niles 가 전도를 정의하기를One beggar telling another beggar where to get food.라고 한 말을 풀어 쓴 것이다.
d. 전체 교인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목사와 교육부는 기독교 교육의 목표와 방법에 대해 공통된 이해를 추구해야 한다. 기독교 교육의 목적과 목표는 다음과 같다.) Lindgren, op.cit.,p.115.
1) 하나님에 대한 의식과 하나님과 그들의 개인적인 관계의 느낌을 함양함.
2) 예수를 구주와 주님으로 받아들이도록 인도함.
3) 그리스도교 생활 방법을 가르침.
4) 성경에 대한 이해와 함께 성서의 진리가 삶에 안내가 되도록 함.
5) 교단 이해와 함께 교회에 실제로 참여하도록 함.
6) 예배의 경험을 통하여 하나님과 교제할 기회를 마련함.
7) 기독교인의 사랑과 관심이 일상생활에서 표현 되게함.
8) 각자가 기독교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헌하도록 함.
9) 각자가 자기의 개성과 필요에 관심을 가지고 성숙한 수준에 이르도록 함.
지금까지의 내용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는 것은,수학의 정확한 사용이 과학의 기본인 것과 마찬가지로 예배와 교육을 통해서 교회의 영적인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 교회 행정가의 본분이다.만약에 이 기본적인 원칙과 원리가 무시당하면, 교회는 그의 사역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고, 더나아가서 절대로 건전한 교회 성장의 목적달성을 성취할 수도 없을 것이다.
2. 구속적 인간관계의 원리
a. 이 원리의 중요성
하나님 중심적이고, 인간 지향적인(person-oriented) 교회 행정은 구속적인 인간 관계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사람들은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일 뿐만이 아니고 오늘날 그를 통해서 살아 계신 그리스도를 알려주는 도구이다.즉 하나님의 보화(사랑)는 모든 관계에서 사랑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행동하려는 개인속에 존재한다.그렇기 때문에 교회 행정은 필수적으로 인간의 상호관계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lbid.,p.122.
프로그램과 조직만을 강조하는 오늘의 목회 상황에 대하여 에드워즈(Richard H. Edwards)는 그의 개척자적인 저서인간을 마음에 둔 교역 에서 분명히 지적하고 있다.) Richard H.Edwards, A Person-Minded Ministry(Nashville: Cokes bury Press, 1940).인간 중심적인 목회에 대한 대표적인 책이다.
인간을 목적으로 보아야 되고 방편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즉 인간은 모든 교회활동과 프로그램의 긍극적인 이유이다.그들은 절대로 프로그램을 집행하기 위한 도구나 성공적인 교역을 증명할 통계 숫자로 보여서는 안 된다.
b. 목회자의 원숙한 인격목사는 모든 인간관계에서, 의견 차이가 예리한 때일지라도 관계를 통하여 기독교인의 사랑을 제공하면서, 인간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증명해 보여줘야 한다. 그러므로 목사는 완숙한 사람이어야 하고 자기 이해의 정도가 상당히 높아야 한다.그는 자기의 약점과 장점을 인식하면서, 실제적으로 그 자신을 볼 수 있어야 한다.) Lindgren, op.cit., pp.122-123.
결국 성숙한 자는 타인과 자신을 모두 아는 자이다.교회 행정가는 모든 사람의 현재 조건에 공헌할 힘의 다원성과 복합성을 항상 의식해야 한다.교역자는 전문적인 심리학자나 정신의학자가 될 필요는 없으나, 그들은 성격을 형성하고 행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요인들에 대하여 약간의 이해력은 가져야 한다.좋은 의도만으로는 불충분하다.) lbid., pp.127-128.
c. 교회행정과 각기 다른 인간성의 문제
다음의 요인들을 알고 있는 목사는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며, 교인들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이룩할 그런 경험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lbid., pp.128-136.
1) 인간성, 태도 및 감정은 일생동안의 다양한 개인적 경험의 결과이다.
2) 인간은 그의 사회적 및 그룹 관계를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다.
3) 인간은 사랑과 이해에 대하여 기본적이고 피할 수 없는 요구를 가진다.
4) 사람은 그가 바라고 사는 목표와 가치를 떠나서는 이해 할 수 없다.
5)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그룹 관계 그리고 교육과 새로운 이념과 교회생활의 친교와 참여를 통해서 변화와 성장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제 교회행정가는 교인들간에 구속적인 인간관계를 강화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분명한 책임이 있음을 알 수 있다.교회는 그런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교인들이 함께 예배하고 공부할 뿐만 아니라, 또한 함께 일하고 친교를 가지며 서로 알고 보살펴 주게 되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3. 소 집단 개발의 원리
a. 이 원리의 중요성
어느날 저녁에 목사가 부인에게 말했다.여보.... 심방과 설교 준비를 제외하면, 내 시간 전부는 거의 다 회의 준비나 거기 참석하는 데 소비하고 마는군. ) Paul Douglass, The Group Workship Way in the Church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56), p.7.
오늘날 우리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아주 작은 교회에서도 열 두 개 이상의 그룹을 가지고 있다.) 제직회, 교육위원회, 재정 및 관리위원회, 선교위원회, 신입교인 및 전도위원회, 기독교 사회 관심위원회, 예배위원회, 재정위원회, 4-1개의 다른 특수 위원회, 5-15개의 교회학교 교실, 둘 이상의 성가대, 부인회, 둘 이상의 부인회 서클, 중학생회, 고등학생회, 청년회, 남신도회, 성서연구 및 친교그룹, 입교문답반.교회가 커질수록 이 다양한 그룹들이 더 많아질 것이다. 메이브스(P. Maves)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모든 교역자는 참으로 신학교 학장과 같다. 가르치고, 상담하고, 설교하고, 행정을 맡고, 또한 교회에서 필요한 친교의 전반적인 것을 모두 다 해낼 교역자는 없다. 그는 이 기능을 수행해 가는 데 도움이 될 교회 안의 그룹과 개인에게 의존해야 한다. ) Paul Maves in a lecture at a Methodist Pastor's School, 1957.
보스톤 대학의 벤네(Kenneth Benne) 교수는 네 가지 기본적인 과업을 성취하기 위하여 소집단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enneth Benne in a lecture at Garrett Theological Seminary, September, 1956.
1) 문제 해결
여기에 내포된 문제는 지도자와 그룹 양자가 다른편 상대방의 자료없이 할 수 있는 것 보다는 양자가 함께 할 때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2) 계획하는 것
프로그램을 수행해 가야 할 그룹이 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 효과적이었던 교회 프로그램이 많이 있다.
3) 인간의 변화
인격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형성되고, 깨어지기도 하고, 다시 고쳐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작은 대면 그룹은 그의 삶이 만들어지고 영향을 받는 기틀이 된다.
4) 개인적인 안정
오늘날 우리의 냉랭하고, 외롭고, 비인간적인 사회에서, 교회는 본래의 의미를 충분히 살린 따뜻한 기독교 친교의 장소가 됨으로써 진정한 요구에 맞게 봉사할 수 있다. 이상의 4가지 과업을 완수하려면 교회 행정가는 그룹 기능에 연루된 역학적인 요인들에 대해 알아 차리고, 지도자와 그룹 회원들에게 필요한 훈련을 보급해서 그들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b. 집단 역학의 정의
교회 그룹들이 창조적이고 효과적으로 일하려면, 행정가인 목사는 어떻게 그룹이 행동하고 왜 그래야만 하는지를 분명히 이해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그래야만 그는 자기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 최상의 가능한 방법으로 각 그룹을 도울 수 있다. 집단 역학 (group dynamics)은 대부분의 목사들에게는 자극적이고 귀찮게 구는 용어이다.그것은 흔히 오해된 어휘이다.그 용어를 경멸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그것은 개인주의보다 집단 사고 를 주장하는 집합적인 무지의 종합을 의미하는더듬거리는 (grope) 다이나믹스라고 언급한다.) Malcolm and Hulda Knowles, Introduction to Group Dynamics
(New York: Association Press,1959), p.11.
그것을 만병통치약 처럼 열광적으로 환영하는 사람들은 이를 알지 못하는 모든 사람들은 피상적이고 권위주의자라고 믿는다. 그룹의 행위는 그 지도자와 회원들에 따라서 다르다. 과업을 끝내는 것 에 너무 치중한 지도자를 가진 그룹은(돈을 거두는 것, 새 건축을 계획하는 것) 대개 그룹 내의 인간 관계를 극소화하고 그룹 회원의 필요와 의견에 무감각하고 권위주의가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반대로 인간관계와 그 진행에 너무 관심이 깊은 지도자를 가진 그룹은 과제를 무시하거나 작업 책임을 게을리하고 그들의 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는 방임주의와 같은 그룹이 된다.과업 성취와 그룹원들의 인간 관계와 그 심장에 똑같이 관심을 표명하는 지도자를 가진 그룹은민주적 그룹 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고 대개 과업과 인간적 성장을 양쪽 다 성취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참고: Kurt Lewin, Resolving Social Conflicts: Selected Paperson Group Dynamics (New York:Harper Row,1948). 권위주의, 자유방임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적 지도자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그들의
역활에 대해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c. 작은 그룹들이 교회생활에 주는 의미
분명히, 현대 교회가 영적 갱신을 해가고 있는 방법들의 하나는 작은 그룹운동이다. 그것이 유일한 길이 아니고 많은 방법 중의 하나의 방법이다.많은 교회가 그런 그룹이 교회생활에 의미할 수 있는 바를 증명할 것이다.즉 개종의 변화를 가져와 영적으로 다시 살아나며, 기독교적 이해에서 성장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그리고 때때로 목회 상담보다 더 심원한 자아통찰과 자아 이해에서 내적인 성장을 얻는다.더나아가서 교회를 위한 충성과 동료를 위한 봉사를 통해서 세상을 향한 기독교인의 책임을 받아들이고 시야를 넓히게 된다.) Lindgren, op.cit., pp.179-180.
그렇기 때문에, 현명한 행정가는 자기 행정지도 원칙의 하나로서 교회에 소집단의 창조적인 기능을 제공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평신도의 훈련의 원리
a. 이 원리의 중요성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역에 있어서 지도력과 봉사를 위한 평신도의 훈련과 무장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가 ? 교회일은 어느 교역자나 교회 직원만이 성취하려고 시도하기에는 너무나 광범위하다.니이버(H.Richard Niebuher) 교회 봉사를 위한 평신도의 훈련을 맡은 교역자의 역활에 초점을 둔,교역 형태의 새로운 발전 개념 을 인정한다. 즉,교회가 사역을 해야 되는 것이고, 교회의교역자 는 교회가 봉사하도록 교회를 지휘하는 교회의 일꾼이다. ) H.R.Niebuhr, The Purpose of the Church and Its Ministry, p.83. 라고 하므로써 교역자를 목회 지휘자로 표현하였다.
건전한 교회 행정은 평신도가 교회 일과 교회 생활에 그들의 재능을 활용하도록 자극받고 훈련되어야 하는 기본 원칙을 인식해야 한다.4반세기 전에, 비이반(Albert Beavan)은 교역자의 역량(strength)은 그가 할 수 있는 일 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그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하도록 할 수 있느냐에 따라서 측량될 수 있겠다. ) Albert Beaven, The Local Church (New York: The Abingdon Press, 1937), p.166. 라고 현명하게 말했다.
교역자들은 평신도들에게 기꺼이 책임을 양도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그들이 실패하는 일이 많다.그들은 평신도들로 하여금 타자치는 것, 복사하는 것, 광고에 주보 바꿔 넣는 것 같은 일만 하게 하고, 당회장에서부터 모금 운동, 편지쓰는 것까지 거의 전부를 자기들이 하려고 고집한다.그런 독주가의 기질을 가진 목사는 그의 교회의 증거를 그저 방해하는 것 뿐이다.그러는 대신에, 그는 총체적인 기독교 증언을 향해서 교회의 평신도의 능력을 개발하고, 훈련하고, 활용하는 것으로써 자기 과제를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 사명을 성취하는 데 진정으로 관심이 있다면 교회 행정은 그 가장 우선적인 관심사의 하나로서 평신도 지도력과 봉사를 위한 훈련을 포함해야 한다.
b. 평신도 사역의 차원(범위)
평신도 활동의 차원은 삼중적이다.
첫째, 교회안에서 상호간에 살펴주는 사역에 종사하는 것으로서, 교회의 친교 속에서 서로 섬겨야 한다.그리스도 안에 사는 사람들 사이에 그런 진정한 친교와 관심이 있지 않다면, 교회의 특수한 표징의 하나를 잃고 있는 것이다.그러므로 서로 필요한 것을 보살펴 주는 것은 평신도의 책임이고 회중속에서 이런 종류의 사역이 되도록 장려하는 것은 목사의 책임이다.) Lindgren, op.cit., pp.186-187.
둘째, 기독교 공동체로서 교회의 증거를 강화하는 것으로서, 평신도 봉사는 교회가 구속적인 기독교 공동체가 되도록 강화되어야 한다.교회를 키워가는 것은 목사의 의무적인 관심이고 평신도의 책임이다.교회라는 기관은 사회에서 완수해야 할 사역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그렇게 하려면 교회는 강하고 능률적인 기관이어야 한다.약한 교회는 절대로 세계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강력한 기능적 교회(건전한 의미에서)만이 진정으로 사회에서 구속적인 공동체가 될 수 있다.) lbid.,pp.188-189.
교회가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 만큼 강력해지려면, 평신도가 맡아야 할 굉장히 많은 책임량이 있다는 것을 교역자가 몸소 느끼기 전에는 그는 충분히 교회에서 평신도 봉사의 중요성에 대한 전망을 갖지 못하고 또 이를 충분히 이해하지도 못할 것이다.우리 시대의 좋은 징조의 하나는, 평신도가 전에는 교역자만의 영역으로 간주했던 많은 분야를 그들의 사역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lbid.,pp.189-190.
셋째, 직접적 및 개인적 생활을 통해서 세계에 기독교인의 영향을 미치게 하도록 그들을 내보내는 것이다. 교회는 교회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고 세상을 위하여 존재한다. 하나님이 세상을(교회가 아니고) 이처럼 사랑하사 그의 외아들을 주셨다. 앨튼(Ralph Alton) 주교가교회의 유효성은 교회가 기관으로 써 어떠한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사회에 끼치는 교회의 영향에 따라서 가늠된다 ) Bishop Ralph Alton, An address to the East Wisconsin
Conference of the Methodist Church, May,1961. 고 한 것은 옳은 말이
다. 기독교의 영향을 세속의 여러 차원으로 꿰뚫고 들어가게 하기 위한 단 하나의 진정한 희망은 모든 직업적이고 개인적인 결단에 있어서 사업가, 공무원, 교육가, 과학자 및 지역사회 그룹의 일원들로서 기독교인의 증언을 하려고 애쓰는 평신도들의 기독교적인 증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lbid.,pp.191-192.
평신도 사역의 이 차원은 트루블러트(Elton Trueblood)가 그의 책참 신앙인의 무리 (The Company of the Committed)) Trueblood, The Company of the Committed. 에서 상세히 전개한다.그는 만약에진정으로
교회가 일하는 것을 보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주일 예배를 방문하는 대신에 교인들의 일상 생활의 주변을 따라다니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암시한다.이것은 교회중심적인 세계관으로 살아온 많은 목사들에게는 혁명적인 개념이다. 평신도 증거의 이 차원은 새롭고 대담한 접근 방법을 불러 올 것이다.교회는 자체의 모습의 폭을 넓혀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목사는 여러 경우에서 그 자신의 개념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코스비(Gordon Cosby)는미래의 교회는 공통된 기율(모임과 보냄) 밑에서 살아야 할 것이다.그 기율은 모이는 것만이 아니고, 흩어지는 것을 심각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 Gordon Cosby, "Church Renewal", in The Christian Advocate, September 12, 1963, p.8. 라고 말을 한다.비록 이것이 현재 교회가 처해 있는 곳에서는 아주 먼 거리에 있다고 할지라도, 교회는 교회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생각할 때 이 차원을 무시할 수 없다.
5. 종합계획의 원리
a. 이 원리의 필요성과 가치
원활한 교회 행정이 되려면 종합적이고도 상호 협조적인 계획을 필요로 한다.교회는 각개 지체들의 단일한 사명을 지닌 보다 큰 전체의 일원일 때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교회는그리스도의 몸 이기 때문에 그 모든 지체들과 소속 그룹들은 함께 연합하여 공공의 목적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만약 교회가 하나님의 사랑을 세상에 알리는 그의 사명을 감당하려면 모든 활동에서 상호 협동성이 있어야 한다.그리고 이러한 협동성은 능숙한 종합계획이 없이 별도로 생겨날 수 없는 것이다.) Lindgren, op.cit.,p.225.
이러한 정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회 내에서 신중한 구상의 부재가 현저한 실정이다.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종합계획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bid., pp.226-230.
1) 교회의 모든 지체들이 자체들을 단일한 목적을 지닌 보다 큰 전체의 일부분으로 볼 때만이 하나의 통일된 목표(single gool)가 성취될 수 있다.
2) 비록 의도적인 것은 아닐지라도 개별적인 결단과 행동이 앞날의 계획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종종 있다.
3) 주도면밀한 계획이 결핍되면 교회 내의 그룹들은 서로 경쟁적이 되거나 피차의 사업이 중복될 수도 있다.
4) 상호 협동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으면 교회 내의 그룹들은 자기들이 곧 전부인 양 생각하고 교회와의 유대관계에서 오는 목적의식을 상실해 버리게 될 수도 있다.
5) 교회임무의 중대성이 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요구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이유를 통하여, 건전한 교회 행정은 그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교회의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호 협조적이고 통합적인 계획을 통해서 교회를 강화시키는 일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b. 교회의 장기계획 수립방안
이것은 행정적 과정에 있어서 다섯 단계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김득용, op.cit.,P.32.
첫째, 해야할 일의 인식으로써 장기적인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방법이다. 교인들간에 장기적 계획 수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분명하고 보편화되면 될수록 그 계획 수립은 그 만큼 더 완전해질 수 있고 실현 가능성이 그 만큼 더 확실시 된다.
둘째, 계획 수립의 단계로써, 개 교회에서 장기적 계획 수립에 관여해야 될 사람은 누구일까?이것이 계획 수립에 앞서 결정되어야 할 문제이다.
셋째,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기 위한 조직의 단계로써, 이것은 언제, 누가, 그 발전 계획을 수행하느냐를 결정짓는 것을 말한다.
넷째, 실천에 옮기는 일의 단계로써, 일상적인 교회생활을 통한 계획이 실제로 수행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섯째, 행정적 과정에서의 마지막 평가의 단계이다.그런데 다른 모든 단계들은 연대적 순서로 낙착되지만(필요성의 인식, 계획 수립, 조직, 실행)평가의 과정은 모든 단계에 포함되며 그 사업 자체를 초월하여 계속되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까지 앞에서 언급한 장기적 계획 설정의 경험이 왜 건전한 교회 행정에 중요하며 동시에 그러한 사업을 수행하는 지침을 제공하는가에 대한 기본적 이유를 제시 하였다.만약 교회가 그 조직체와 그룹들의 활동과 경험을 통해서 그 본질과 사명을 완수코자 한다면, 그 교회는 교회 행정의 기본적 원리로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수립에의 필요성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6. 자원 활용의 원리
a. 이 원리의 중요성
목적 달성을 위한 교회 행정은 교회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일관성과 포괄성이 있는 방법으로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완전히 활용할 것을 요청한다.이제는 지교회 밖에 있는 자원의 활용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하나의 교회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 사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통찰력과 지식을 구현 할 수는 없다.각 교회는 비숫한 문제점을 지닌 다른 교회들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 비록 교회 행정이 교회의 사명에서 유래된 독특성을 지니고 있긴 하지만, 다른 분야의 행정으로부터 어떤 공통적인 관심사를 같이 나눌 수 있다.이러한 외부의 기관들과 그 행정 운영 방식은 교회에 많은 자원을 제공해 준다.교회행정가들은 이러한 세속적인 자원을 무시해서도 안 되고 그것들이 교회의 사명에 유용한지 해로운지를 식별할 수도 있어야 된다.) Lindgren,op.cit.,p.255.
b. 소속교단 자원의 활용
대부분의 교단들은 자기들의 특수한 선교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모든 소속 교회들에게 중요한 자원을 제공해 준다.그러므로 모든 교역자들은 이러한 자원에 어두워서는 안 되며 자기 교인들의 특별한 욕구에 따라서 그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lbid.,p.256.
대부분의 교단들은 책자와 정기간행물과 팜플렛 등의 인쇄된 자료들과, 광범위한 시청각 교재와 교단 산하 교회들에게 여러가지 종류의 지도자 훈련 기회를 제공해 준다. 그러므로 통찰력 있는 행정가는 자기 교단의 프로그램 자원을 잘 알 것이고, 다른 교회들의 경험을 자기들의 경험으로 삼아 자기 상황의 욕구에 맞게 그 자원과 경험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c. 초교단적인 자원의 활용
어느 지역사회에 기독교의 복음이 효과적으로 전파되려면 거의 언제나 그 상황에 따른 초교파적인 안목을 가져야 한다.특히 우리의 현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미래의 교회들은 한층 더 이와 같은 초교파적 자원에 의지해야 할 것이다.
d. 지역사회 자원의 이용
그러한 기관에는 학교, 보건소, 사회복지관, 병원, 요양소, 가정복지 및 어린이 지도 기관들, 정신병원, 경찰서, 법원, 보호소, 의사협회, 시청, 각종 봉사클럽 등이 포함된다.
e. 기타 관계분야별 자원의 이용
이 분야에는 심리학, 사회학 그리고 예술 분야와 매스콤 분야 등이 있다. 지금까지 교회행정원리들을 살펴 보았다.그런데 이러한 원리들을 실제로 행정활동에 적용시키려면 우선 행정책임자의 위치가 분명해야 한다. 한국교회의 상황에서 볼 때, 교회행정의 책임자는 그 교회의 담임 목사임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행정의 책임자인 목회자가 이러한 원리들을 얼마만큼 바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 라는 문제가 계속적인 과제로 남아있는 것이다.
Ⅵ. 결 론
교회는 회개한 영혼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헌신하고 그로 말미암아 영원한 세계의 시민이 되고자 찾아온 무리들로서의 공동체이며, 하나의 특수한 사회단체이다. 이러한 특수단체는 행정과 체제, 그리고 조직체를 통해서 와해되지 아니하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신앙으로 구심점을 삼고, 하나의 유기체가 치밀한 조직과 구성을 통해서 성장되듯이 교회 역시 성장되어 가야 될 공동체인 것이다. 어떤 개인이나 단체든지 행정과 조직 그리고 제도를 무시한 단체는 어떤 훌륭한 결실을 가져오기는 불가능하다.) 김익원, 교회행정.제도의 사적고찰 (대전:미화출판사,1986),p.13.
어느 교회를 막론하고 현대 교회는 교회 행정을 도외시하면 정상적인 교회다운 교회로 성장할 수 없고, 교회 성장 원리를 무시하고는 교회 행정 만으로는 교회 성장은 있을 수 없으므로, 교회 행정학과 교회 성장학의 상관 관계가 원만하게 이룩되어 졌을때에 교회가 건전하게 성장하게 될것을 본 논문을 통해서 어느정도 명백하게 알게 된다.
오늘날 목회자와 대다수의 교회는 교회 성장을 위해서는 전력을 기우려 총동원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교회 행정은 무관심할 뿐더러 소홀 했음으로 이로 인하여 지속적이고 건전한 교회의 성장에 한계를 가져오게 되었고, 심지어 교회분열까지 자아내게 된 현실을 부인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시급한 문제중 하나는 교회행정가인 목회자가 교회 성장과 교회행정의 문제를 동시에 다루어 나가는 과제를 재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한국의 기독교가 인적인 증가와 물량적인 재력이 확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증가가 사회에 어떠한 기여를 하지 못한다면, 한국의 기독교도 서구사회의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사회가 교회를 외면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성서와 현대목회 (서울:유니온 학술자료원,1989), p.448.
그러므로 이제 교회와 행정이란 채널을 통해 서로 보완적인 역활을 해야하며, 이러한 능력과 기회를 조직하고 관리해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지혜와 선교적인 교회의 사명이 깊이 의식될 때,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적어도 아시아에서 그리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해야 될 역사가 대단히 큰 것이 우리 한국 교회앞에 놓여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의만 가지고는 안되고 또 목사의 설교만으로도 안되며 또 교회에 출석하는 예배만으로도 안되며, 교회의 본질에 입각한 능률적이고 효과있는 행정적인 원리 그리고 행정의 운영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논문은 건전한 교회 성장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회의 본질과 목적을 밝히 깨달아야 한다는 것과, 이제 한국교회가 성숙한 모습으로 교회 본연의 사명을 바르게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행정원리를 기초한 행정활동을 수행해야 함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제 그 내용에서 얻어진 결과와 함께 앞으로 더욱 더 효과적인 방향제시를 위하여 제언하면서 논문을 끝맺고자 한다.
첫째, 건전한 교회성장의 근거는 성서적 교회론의 분석에서 찾아야 한다. 교회의 진정한 성장의 근거와 기준은 무엇인가? 우리는 그것을 성서적 교회론에서 찾을 수 밖에 없다. 사실 한국교회는 보이는 성장에만 급급하느라고 자신의 본질이 무엇이며,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역사속에서 교회가 존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묻지 못했다. 그 사실은 개신교에서 교회론이 얼마나 초라한가를 보아서도 금방 알 수 있다.
교회의 근원에 대한 질문은 소박한 복고주의나 환원주의의 추상적인 요구가 아니다. 또 성경의 교회상을 오늘에 옮겨놓는 일은 불가능한 비역사적인 이상주의의 환상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역사속에서 변천하면서 자신의 근원에 관해 묻지 않는다면, 도대체 교회의 목적과 목표를 어디서 찾을 것이며, 부패해가는 교회갱신의 근거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
둘째, 건전하고 지속적인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교회행정원리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짧은 역사속에서도 급성장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선교 100주년을 지나면서 반성해 볼 때, 분명한 문제점은 교회의 건전한 행정적 뒷받침이 결여되어 있을 때는, 반드시 교회의 성숙에 큰 지장을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교회행정가의 위치에 서 있는 사람은 복음에 나타난 대로 교회의 목적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시작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교회는 급성장 하였고 대형화된 교회가 세계적으로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래도 교회는 계속해서 건전하게 성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 행정의 뒷받침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결과에 잘 나타나 있다. 한국 교회의 행정은 교회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동떨어질 것이 아니라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재 인식하게 되었다. 교회행정과 교회성장은 동시에 시간과 공간적으로 상호간 유기적인 유대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원화된 사회에서 객관적으로 볼 때 교회 성장을 본 교회는 교회행정이 잘 이루어진 교회이고 교회 행정이 올바로 된 교회는 건전한 교회 성장이 이루어진 교회인 것을 알게 되었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는 교회의 건전한 성장과 교회 성숙을 목적으로 한 교회행정이란 교회 전체를 동원해서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모든 사람에게 선포해야 하는 선교적인 사명을 완수하는 데 있어서 주어진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 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이 개념의 뜻을 파악하려고 시도해 왔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여기서 논의된 원리들은 실제적인 행정활동의 다양하고 부분적인 기술보다는, 그 이전에 먼저 확립되어야 할 행정의 이론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고찰하였기 때문에 아쉬움이 남아있다. 그러나 교회 행정 지도자들이 개인적 단체적 욕구에 따라, 실제적인 교회생활에서 이 원리들에 대한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자유롭게 적용하게 될 때, 이 정의는 실현화 될 것이다.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안에서 이 원리들 하나하나에 계속적인 관심을 가질 때, 그 교회는 현재의 위치에서 목표의 위치로 향해 옮겨 가도록 동력화 될 것이다. 이 논문이 향후 기독교 2세기에 직면한 한국 교회들의 건전한 성장 정책에 밑거름이 되었으면 더 바램이 없겠다.
참 고 문 헌
1. 한글단행본 (번역서 포함)
Baure,R.K. 기독교 교육행정의 원리와 실제 . 신청기 역. 서울:성광
문화사, 1983.
Hunter,J. 교회성장과 목회전략 . 오한태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7.
Lindgren,A.J. 교회 개발론 . 박근원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5.
Mcgavran,D. 교회 성장의 10단계 . 오용택 역. 서울:신망애 출판사,
1987.
Peny,Lloyd. 목회자와 교회행정 . 김영백 역. 서울:보이스사, 1980.
Wagner,C.Peter. 성서적 교회성장 . 서정운 역. 서울:대한기독교 출
판사, 1984.
-------. 교회성장을 위한 지도력 . 김선도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5.
김득용. 현대 행정학 신강 . 서울:총신대 출판부, 1985.
김운태,조석준 공저. 행정 조직론 . 서울:서울대 출판부, 1982.
김익원. 교회행정 제도의 사적 고찰 . 대전:미화 출판사, 1986.
교회문제연구소. 오늘의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 서울:엠마오출
판사, 1986.
박봉배. 기독윤리와 한국문화 . 서울:성광문화사, 1983.
방지영. 교회 운영론 . 서울:성광 문화사, 1990.
손병호. 교회 행정학 원론 . 서울:도서출판 그리인, 1990.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성서와 현대목회 . 서울:유니온학술자료
원, 1989.
이상조 외 2인 공저. 신 행정학 원론 . 서울:교학사, 1981.
이종윤,전호진,나일선 공저. 교회 성장론 . 서울:엠마오 도서출판,
1986.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7.
장중열. 교회성장과 선교학 . 서울:성광문화사, 1986.
정성구. 실천신학 개론 . 서울:총신대학 출판부, 1980.
조동진. 교회 행정학 . 서울:크리스챤 헤럴드, 1977.
천병욱. 교회행정의 원리와 실제 . 부천:서울신대 출판부, 1982.
한영제. 기독교 대연감 . 서울:기독 교문사, 1991.
홍의표. 현대 교회 행정학 . 서울:보문 출판사, 1982.
2. 논문 및 기타
조용기. 교회성장의 여러요인들 교회성장 제1집. 서울:순복음교육
연구소, 1981.
강대화. 한국교회 행정의 문제점과 그 방안.
석사학위 논문, 침신대학원, 1988.
김만출. 건전한 교회행정의 견지에서 본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필리핀 유니온신학대학원, 1988.
남신호. 교회직분의 바른 이해를 위한 소고
석사학위 논문, 총신대학원, 1990.
장헌익. 한국교회의 행정적 치리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 교육대학원, 1990.
성서백과 대사전 제1권. 서울:성서교재 간행사, 1980.
한국교회 100년 종합조사 연구 보고서 . 서울:한국기독교 사회문제연
구원,1981.
3. 영문 단행본
Albert,Beaven. The Local Church. New York:The Abingdon Press,
1937.
Churchman,C.West. The Systems Approach. New York:Dellta Books,
1969.
Clifford,Paul R. The Pastoral Calling. New York:Cannel Press,
1961.
Douglass,Paul. The Group Worship Way in the Church. New
York:Association, 1956.
Edwards,Richard H. A Person-Minded Ministry. Nashville:Cokes bury
Press, 1940.
Hardman,Oscar.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Nashville:Cokes bury
Press, 1937.
Howse,Reuel. Man's Need and God's Action. Greenwich:Seabury
Press, 1973.
James,L Newbigin. The Household of God. New York:Friendship
Press, 1954.
John,L. Casteel. Spiritual Renewal Throuth Personal Groups. New
York:Assciation Press, 1957.
Jones,Ilon T. Historical Approch to Evangelical Worship. Abingdon
Press, 1954.
Knowles and Malcolm. Introduction to Group Dynamics. New
York:Association Press, 1959.
Niebuhr,Richard. H. The Purpose of the Church and Its Ministry.
New York:Harper & Row, 1956.
Ralph,Alton Bishop. An address to the East Wisconsin Conference
of the Methodist Church, May, 1961.
Raymond,Abba. Principles of Christian Worship.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Richardson,Alan. An Introduction to the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New York: Harper & Row, 1959.
Riggs, F.W. Frontiers of Development Administration. Duke
University, 1971.
Worley,Robert C. Dry Bones Breathe!. Chicago:MoCormick
Theological Seminary,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