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없는 '문화거리' 조성 '착착'
1970년 먹자골목 출발 패션거리 탈바꿈 유명
대구 동성로 버금 인파 차량 늘어 뺑소니 악명
"차 없는 거리를 다니면서 쇼핑문화를 만끽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구미역 앞 중앙로~금오산네거리를 연결하는 문화로(속칭 2번도로)가 '자동차와 전쟁의 거리'에서 '걷고 싶은 문화의 거리'로 바뀐다. 구미시는 지난달 27일 원평동사무소에서 문화로 인근 주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구미시 중심 시가지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중간보고회를 가진 데 이어 <주>도시경영연구원에 의뢰한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차없는 문화로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문화로 역사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 하는 문화로는 1990년대까지 유명 브랜드 의류·화장품·액세서리·먹거리 코너 700여개가 성업하면서 대구 동성로에 버금 갈 정도로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인접 골목길에는 먹고 싶은 음식과 필요한 물건은 언제든지 먹고 살 수 있는 햄버거, 레스토랑, 호프집, 노래방, 잡화점, 유명 의류점 등이 성황을 이뤄 젊은이들로 넘쳤다.
문화로는 70년에 구미역을 연결하는 중앙로(1번도로)와 인접한 지리적 여건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술집과 음식점이 집중된 먹자 골목으로 출발했다. 95년 구미시와 선산군의 통합으로 인구가 늘고 자가용 보급 증가로 한집 건너 한집이던 주점은 도로 사정이 비교적 좋은 원평1동으로 옮기는 대신 그 자리에는 의류·액세서리·패스트푸드 가게가 입점했다.
문화로가 패션거리로 바뀌자 상가번영회는 97년 대구 동성로 축제와 비슷한 대규모 축제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때부터 도로 명칭도 문화로로 바꿨으며, 지금도 저녁 시간대와 주말에는 쇼핑객과 통행 차량으로 붐비고 있으나 예전에 비해 많이 줄었다. 구미시가 문화로를 '차 없는 거리'로 바꾸는 것을 논의한 것은 90년 무렵으로, 당시에는 호황을 누리던 상인들의 비협조로 실패했다. 2004년 6월에는 공무원, 상인, 시의원, 전문교수 등 30여명이 문제 해결에 나섰으나 매출 감소를 우려한 일부 상인의 반발로 역시 무산됐다.
◇차량이 점령한 문화로
연장 560m에 폭 8m인 문화로는 주변 상가의 오토바이, 자전거, 불법 광고물이 도로
|
|
차량과 쇼핑객이 뒤엉켜 항상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구미시 원평동 문화로 전경.
| | | 가장자리를 점령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로에서 일방통행으로 진입하는 차량 때문에 행인들은 곡예하듯 지나가야 한다.
구미시내에서 사람들의 왕래가 가장 많은 곳이지만 보행자 편의를 위해 설치한 시설물이나 별도의 공간도 없다. 한때 최고의 명물로 손꼽히던 문화로가 쉴틈 없이 밀려드는 차량과 보행자, 잡상인, 덕지덕지 붙은 입간판, 노상적치물, 쓰레기로 변한 광고지가 뒤엉켜 복잡하고 지저분한 거리로 바뀐 것이다. 6개 블록으로 나눠진 도로 교차점 5개소는 뺑소니 사고 다발지역으로 구미경찰서의 골치를 가장 썩히는 곳이다. 문화로와 골목길을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는 자신도 모르게 사람을 스치고 지나가 뺑소니 신고만 한달에 수십건이다
◇차 없는 문화로 조성
남유진 구미시장이 지난해 7월 취임하면서 관심을 가진 '차 없는 문화로 거리 조성'은 서서히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상권 활성화 방안을 연구 중인 용역회사가 상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7%가 차량운행 통제를 희망했고, 문화로 정비 사업에도 78%가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보행자 안전 전략과 상권활성화를 위한 차 없는 거리, 교통소통 방안, 특색있는 거리 조성 등으로 정해 조례와 법규 정비에 나설 방침이다. '바꿔야 살 수 있다'는 의식을 가진 많은 상인이 협조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구미시는 민·관이 참여하는 가칭 '문화로 차 없는 거리 조성 추진위원회' 결성을 통해 차량통제, 기반시설 지중화, 도로와 시설물 등의 정비사업을 내년 말까지 마칠 계획이다.
문화로가 '차 없는 거리'로 지정되면 동아리공연, 콘서트, 음식축제, 조형물 설치, 문화공간 조성 등으로 먹거리와 볼거리가 풍성한 명물거리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차 없는 거리 조성'으로 당장 피해를 입게 될 여관, 유료주차장 상인들의 반대도 만만치 않다.
김재상 문화로 상가연합회장은 "상인들의 생존권 확보 차원에서 '차없는 거리'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충분한 협의를 거쳐 시행하면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