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신호용어
▪철도신호
1. 개념 : 운전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하여 열차의 진행ㆍ정지, 속도와 진로 등의 운전조건을 지시하는 장치로 선로 흐름을 감시하며 올바른 진로와 운전 조건을 설정하여 열차가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신호, 전호(sign), 표지(sign marker)로 분류된다.
2. 신호 : 형상, 색, 음 등에 의해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 일정구간을 운전할 때의 조건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신호를 현시하는 기구를 신호기이다.
3. 전호 : 형상, 색, 음 등으로 관계자 상호간에 의지를 전하는 것이다.
4. 표지 : 형상, 색 등에 의해 사물의 위치, 방향, 조건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철도신호기
열차의 운행 조건 및 방법을 기관사 및 차량의 제어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직접 차내에 설치된 차장장치에 현시시키는 차상신호, 그리고 이를 통해 직접 열차를 통제하는 열차제어가 도입된다.
▪철도신호기의 구조상 분류
1. 완목 신호기(Semaphore Signal) : 기계식 신호기로 완목의 위치, 형태, 색깔에 의해 열차의 운전 조건을 지시하는 신호기
2. 색등식 신호기(Color Light Signal) : 색에 따라 신호를 현시하는 방식으로 주간 및 야간 모두 신호등의 색상 및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르다.
3. 등열식 신호기(Position Light Signal) : 두 개 이상의 백색등을 사용하여 가로, 경사, 세로로 점등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유도신호기, 중계신호기에 사용된다.
▪철도신호기의 조작상 분류
1. 수동 신호기(Manual Signal) : 신호취급자에 의하여 신호 레버(Lever)를 조작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
2. 자동신호기(Automatic Signal) : 궤도 회로를 이용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궤도 점유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서 신호취급자가 조작할 수 없는 신호기
3. 반자동신호기(Semi-Automatic Signal) : 궤도 회로를 이용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궤도 점유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호를 현시하면서 신호취급자가 조작할 수 있는 신호기
▪철도신호기의 기능별 분류
1. 상치 신호기(Fixed Signal) : 일정 방호구역을 가지고 있는 신호기로 신호확인이 쉽도록 지상 또는 지하의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기이다
2. 장내 신호기(Home Signal) : 정거장 안쪽으로 진입 여부를 지시하며 정거장 안쪽으로 진입하는 선로에는 선로전환기 등이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입환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함부로 구내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정거장 역구내에 진입해도 되는지를 지시하는 신호기를 ‘장내 신호기’라고 한다. 대향 방향으로는 100m 이상 거리 확보, 배향 방향으로는 60m 이상 거리 확보
3. 출발 신호기 : 정거장에서 출발할 때 진출 여부를 지시하며, 정거장에서 출발하는 열차에게 출발 여부를 지시하는 주신호기. 방호 구간에 지장이 없는가를 확인한 뒤 취급해야 한다. 출발선의 시점에 설치하는 신호기이다.
4. 폐색 신호기(Block Signal) : 폐색 구간에 열차가 진입해도 좋은지 아닌지를 지시하며, 자동폐색구간에서 열차가 폐색구간에 진입하면 궤도회로에 의해 폐색신호기는 자동으로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열차가 폐색구간을 진출하면 그 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한다.
5. 엄호 신호기(Protecting Signal) : 정거장 외에 있어서 방호를 요하는 평면교차분기 또는 기타 특수시설(삼각선) 같은 급곡선 구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하여 그 신호기 내방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6. 유도 신호기 :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장내 신호기에 현시하여서는 안 되지만, 예외적으로 그 신호기의 방호 구역 내에 열차를 진입시켜야 할 때 이러한 경우에 수신호로 유도하는 것과 동일한 지시를 부여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신호기이다.
7. 입환신호기(Shunting Signal) : 입환 차량에 대하여 신호기 안쪽으로의 진입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8. 종속 신호기(Subsidiary Signal)는 주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의 확인거리를 보충하기 위해 그 외방에 설치하는 신호기
9. 중계신호기(Repeating Signal) : 주 신호기의 현시 상태를 예고하여 주고 확인거리 부족에 따른 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설치한 신호기
10. 원방신호기(Distance Signal) : 장내신호기의 현시의 상태를 예고하여 주는 신호기
11. 통과신호기(Passing Signal) : 기계식 장내신호기의 하단에 설치하여 정거장의 통과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12. 입환중계신호기(Shunt Repeating Signal) : 입환신호기에 종속되며 그 외방에서 주체신호기의 신호현시를 확인하기 곤란할 경우 설치하는 신호기
13. 임시 신호기(Temporary Signal) : 선로의 고장이나 작업 등으로 인하여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을 경우에 임시로 설치하는 신호기
▪철도신호기의 운영상 분류
1. 절대신호기(Absolute Signal) : 신호기의 현시조건을 절대적으로 존중하여야 하는 신호기로 장내, 출발, 엄호, 유도, 입환 신호기
2. 허용신호기(Permissive Signal) : 정지신호가 현시 되었을 경우에도 일단 정지한 후 서행으로 주의 운전할 수 있는 신호기
▪철도신호기의 현시별 분류
1. 2위식 신호기(Two-Position System) : 현시 방법을 정지 및 진행, 혹은 주의 및 진행으로 점등하는 방식의 신호기
2. 3위식 신호기(Three Position System) : 현시 방법을 정지(적색), 주의(등황색), 진행(녹색) 3색으로 점등시키는 신호기
▪임시 신호기(Temporary Signal)
1. 개념 : 선로의 고장이나 작업 등으로 인하여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을 경우에 임시로 설치하는 신호기
2. 종류 : 서행예고신호기, 서행신호기, 서행해제신호기
▪표지의 종류
1. 출발반응표지 : 역장으로부터 출발신호기의 시야가 곤란한 정차장의 경우 열차를 출발시킬 때 출발신호기의 신호현시를 표시하는 표지
2. 입환표지 : 차량의 입환을 수행할 때 선로의 개통과 관계 전철기의 쇄정을 표시하는 표지
3. 돌방입환표지 : 돌방 작업을 실시하는 선로의 시작 단에 설치되는 표지
4. 입환차량표지 : 구내운전 및 입환을 하는 기관차, 전차, 디젤동차에 게시되는 표지
5. 상치신호기 식별표지 : 동종의 상치신호기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신호오인을 방지하기 위한 표지
6. 자동식별표지 : 자동폐색구간의 폐색신호기 아래에 설치하여 폐색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하더라도 일단 정지 후 15Km/h 이하의 속도로 구간을 운행하여도 좋다는 표시
7. 서행허용표시 : 1000분의 10 이상의 급한 상구배등 정지현시에 열차가 정지할 경우 출발이 힘든 지역, 그밖에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점에 위치한 자동폐색신호기에 설치하는 것
▪특수신호
1. 개념 : 건널목 지장, 낙석 등으로 긴급히 열차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짙은 안개 등으로 신호현시를 시인할 수 없을 때 등에 사용된다.
2. 발뢰신호(detonating signal) : 레일에 설치하며 차륜이 밟아 뇌관이 폭발
3. 발염신호(fusee signal) : 신호염관의 적색화염
4. 발광신호(light signal) : 특수신호 발광기에 의한 적색등의 움직임
▪선로전환기
열차의 진로를 변경하는 장치이다. 열차가 어느 선로를 경유할 지, 어떤 선로에 도착하고 출발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선로전환기를 동작시켜서 진로를 구성해야 하며, 이러한 진로구성이 이루어져야만이 신호기 등을 통해 열차에 운행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선로전환기구조별 분류
1. 보통 선로전환기 : 텅레일이 2개가 있으며, 좌ㆍ우 2개의 분기에 사용하는 선로전환기이다.
2. 탈선 선로전환기 : 열차 또는 차량이 과주로 인하여 대형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열차나 차량을 탈선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선로전환기
3. 가동 크로싱부 선로전환기 : 분기기에 있는 크로싱부의 노스레일이 첨단부의 텅레일과 동일한 시간 내에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사용하는 선로전환기
4. 삼지선로전환기 : 텅레일이 4개가 있으며 좌, 중, 우 3개의 분기기에 사용된다.
5. 전기선로전환기 : 전동기를 이용하여 선로전환기를 전환하는 설비
▪선로전환기의 전환수에 따른 분류
1. 단동 선로전환기 : 1개의 취급버튼에 의해 1대의 선로전환기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
2. 쌍동 선로전환기 : 1개의 취급버튼에 의해 2대의 선로전환기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
3. 삼동 선로전환기 : 1개의 취급버튼에 의해 3대의 선로전환기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
▪선로전환기의 사용력에 따른 분류
1. 수동 선로전환기 : 사람의 힘에 의해 전환되는 선로전환기
2. 스프링 선로전환기 : 열차가 진행시 차축에 의해 정위, 반위 쪽으로 동작되는 선로전환기
3. 동력 선로전환기 : 전기 및 압축공기의 힘에 의해 전환되는 선로전환기
▪크로싱(crossing)
1. 가동 크로싱 : 일부의 레일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크로싱으로 날개 레일이 움직이는 것과 노즈(nose)부가 움직이는 것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차량이 주행할 때 주행 레일에 결선부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가동 둔단 크로싱 : 깎아 다듬지 않은 전단면 그대로의 단척 레일을 사용한 크로싱. 한쪽 끝은 크로싱의 교차점에서 제자리 회전만 하고 다른 쪽 끝은 좌우로 움직여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통하게 하여 열차가 연속된 레일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상선로전환장치
배향 운전의 경우에는 차량의 차륜에 의해 레일 스위치를 밟으면 자동 전환되고, 대향으로 운전할 때는 진행 중인 열차 위에서 수송원 또는 열차 승무원이 조작 리버를 취급하여 분기기를 전환하는 선로전환장치
▪캔트(cant)
열차가 곡선로를 주행하면 원심력의 작용으로 바깥쪽 레일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고 안쪽 레일의 하중이 감소해서 차량이 불안정하게 되어 전복의 위험성이 생기고 또한 승차 기분을 손상시키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 레일을 안쪽 레일보다 높게 부설해서 원심력과 중력의 밸런스를 취해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내외 레일면의 고저차를 말한다.
▪슬랙(slack)
곡선부에 있어서 궤간을 표준보다 넓혀서 고정축거를 가진 차량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이 확대된 폭의 양을 말한다.
▪건조방법
1. 일광건조 : 태양빛으로 말리는 것
2. 전기건조 :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말리는 방법
3. 증기건조 : 목재를 건조실에 넣고 증기를 보내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서 건조하는 방법
▪계전기
1. 자기유지 계전기 : 정위로 되어 있을 때에 여자 전류를 끊더라도 그때까지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반위로 여자 전류를 흘리면 반위 접점이 On으로 되어 그 후 여자 전류를 끊더라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계전기
2. 완동계전기 : 코일에 전입이 가해져도 즉시 동작하지 않고 어떤 시간을 경과하고부터 동작하는 계전기
3. 완방계전기 : 여자 전류가 차단된 후 접점이 낙하할 때까지 일정한 시간 지연을 갖는 계전기
4. 무극선조 계전기 : 영구 자석의 N극과 S극이 철편을 같은 힘으로 흡인하는 것과 같이 자속의 극성에 관계없이 동작하는 계전기
▪클러치(clutch)
1. 전자클러치 : 전기를 통하면 전기 자기의 힘으로 다른 회전체를 같이 물고 도는 장치
2. 마찰클러치 : 플라이휠과 클러치판과의 마찰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 혹은 차단하는 클러치
▪궤도회로
1. 개념 : 선로의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분으로 사용하여 선로 위를 달리는 열차를 검지하는 회로와 레일을 전송로로 삼아 지상에서 열차 위로 정보를 전달하는 회로를 말한다.
2. 궤도회로장치 : 레일에 전기회로로 구성하여 차량의 차축에 의하여 레일 전리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함에 따라 열차의 유무를 검지하는 장치
3. 직류궤도회로(DC track circuit) : 직류 전원을 이용한 궤도 회로로 전원 장치는 정전에 대비하여 부동식 충전 방식을 사용하며, 궤도 계전기는 직류 궤도 계전기를 사용한다.
4. 교류궤도회로(AC track circuit) : 교류 전원의 무정전 확보가 가능한 지역인 비전철 구간이나 직류 전철 구간에서 많이 사용한다.
5. 정류 궤도회로(Commutation Track Circuit) : 교류를 정류한 맥류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특별한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6. 코드 궤도회로(Code Track Circuit) : 궤도에 흐르는 신호정류를 소정 횟수의 코드(부호)수로 단속하고 이 코드 전류가 코드계전기를 동작시킨 다음 복조기를 통하여 정규의 코드수일 때에만 코드반응계전기를 동작시키는 궤도회로이다.
7. AF 궤도회로(AF Track Circuit) : 이 궤도회로 장치는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를 사용하여 열차가 200[km]이상 고속으로 주행할 때 전방열차와의 운행간격 및 제동거리를 차상으로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다.
8. 한류장치 : 궤도 회로에 접속하여 전류를 조절하는 궤도 리액터, 궤도 저항자 등
▪고압임펄스궤도회로
임펄스를 사용한 궤도회로로 고전압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는 전압 안정기, 송신기, 수신기, 임피던스 본드(송신 또는 수신단), 궤도계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회 로
1. 정류회로 :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는 회로
2. 발진회로 : 외부에서 입력 신호가 없어도 출력 신호가 나오는 회로
3. 공진회로 : 서로 다른 에너지 사이의 가역적 변환에 의해서 일어나는 자유 진동의 주파수와 외력의 주파수가 매우 가까울 때 발생하는 공진현상을 전기적으로 일으키는 회로
4. 정합회로 : 두 회로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때 한 회로의 출력단에서 입력 측을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와 다른 회로의 입력단 임피던스의 공액값을 같게 하여 전력 손실을 가장 적게 전송하려고 삽입하는 회로
▪폐 색
1. 개념 :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선로의 일정 그 구간에는 1개 열차밖에 운행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으로 둘 이상의 열차를 운전시키지 아니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하며 철도에서 안전 확보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이다.
2. 이동폐색 : 자동신호구간의 열차시격의 기본으로서 뒤에 오는 열차가 진행의 신호현시를 보면서 운전할 수 있도록 앞뒤 열차의 간격은 2이상의 폐색구간을 사이에 둔다. 현재의 신호 방식에서는 앞뒤의 열차의 운전 상황과 관계없이 신호가 표시된다.
3. 고정폐색 : 물리적으로 고정한 폐색이며 열차의 간격을 제어하는 방식
4. 연동폐색 : 역간을 1폐색으로 하고 폐색구간의 양 끝에 폐색 취급버튼을 설치하여 이를 신호기와 연동시켜 신호 현시와 폐색의 이중 취급을 단일화한 방식
5. 자동폐색 : 폐색구간 내 궤도회로 상의 열차 유무를 검지하여 폐색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
6. 차내신호폐색 :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폐색구간 내의 열차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운전실 제어대의 상태, 속도 표시기에 현시하는 방식
7. 대용폐색 : 상용 폐색 방식을 사고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사용되는 폐색 방식
8. 통신식 : 관제사와 기관사 간의 무전이 불가할 때 사용
9. 지도통신식 : 관제사와 기관사 간의 무전이 불가할 때 사용
▪선로용량
열차설정에서 열차를 하루에 몇 대 주행시킬 수 있는가를 말하며, 선구의 열차 설정능력을 나타내는 수치척도
▪감속기어장치
전동기는 회전수가 많으므로 3개의 기어(gear)를 사용하여 강한 회전력을 감속하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1단은 베벨 기어이고 2, 3단은 평 기어이며 3단은 전환 기어라고 한다.
▪연동장치
1. 개념 : 신호기, 선로전환기 등을 연동하는 논리 회로를 갖추고 fail-safe를 실현해 관제의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의 가능성을 차단한다. 역 구내의 열차 운행과 차량의 입환을 안전
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의 장치를 기계적, 전기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 장치이다.
2. 기계연동장치 : 역 구내의 신호 설비인 신호기, 선로전환기, 신호취급레버 등이 인력에 의해 수동식으로 동작되고 기기들 상호간 연쇄도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
3. 전기연동장치 : 신호기, 입환표지, 선로전환기 등의 레버 또는 진로선별 버튼을 집중시키고 상호간의 연쇄를 계전기집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장치
4. 진로정자식 : 각 진로마다 한 개씩의 레버를 설치하고 이것을 취급하여 그 진로를 설정하는 방식
5. 단독정자식 : 계전 연동기에서 진로상의 선로전환기를 전철 레버에 의해 개별 전환한 후 신호 레버의 조작으로 진로를 구성하는 방식
6. 진로선별식 : 열차 출발점과 도착점에 각각 1개의 버튼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출발점에서 필요한 도착점 버튼을 취급하면 진로선별회로에서 자동으로 필요한 회로를 선택하여 선로전환기가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되는 방식의 회로로 구성된 것
7. 전자연동장치 : 계전기방식이던 전기연동장치의 연동논리회로를 전자 논리 회로로 구성하고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도록 개량한 장치
▪쇄 정
1. 개념 : 신호기, 선로전환기 등을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잠금장치
2. 정위 쇄정 : A 또는 B의 신호취급 버튼(레버) 상호간에 한쪽이 반위로 한 경우 다른 한쪽의 취급 버튼(레버)은 반위로 할 수 없도록 정위로 쇄정하도록 하는 것
3. 반위 쇄정 : A 또는 B의 신호취급 버튼(레버) 상호간에 한쪽이 반위로 하고 다른 한쪽의 취급 버튼(레버)가 반위로 되어 있다면 서로 반위로 쇄정하도록 하는 것
4. 정반위 쇄정 : A와 B라는 버튼(레버)이 있을 때, A의 버튼(레버)을 반위로 한 경우 B의 버튼(레버)이 정위 또는 반위 어디에 있던간에 그 위치에서 쇄정되고 A의 버튼(레버)은 B의 버튼(레버)이 정위 또는 반위 어떠한 경우라도 쇄정되지 않는 경우
5. 조건부 쇄정 : A와 B라는 버튼(레버)이 있을 때, A의 버튼(레버)을 반위로 하였을 경우 B의 버튼(레버)은 다른 버튼(레버)의 어느 조건이 만족스럽게 되었을 때만이 쇄정되고 그 조건이 만족스럽지 못하면 쇄정되지 않는 경우
▪열차 검지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며 열차검지 기술이 있기에 폐색과 신호기, 연동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궤도 회로 전기회로를 통해 차량이 특정한 궤도 위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방식이다.
▪검지장치의 종류
1. 적설검지장치 : 폭설이 내릴 경우 열차 운전속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선로변의 적설량을 검지하는 장치
2. 끌림검지장치 : 기지나 기존선에서 고속 선으로의 진입개소 선로의 중앙 또는 교량 및 터널 입구 등에 약 60km 간격으로 설치된 검지장치
3. 강우검지장치 : 집중호우 발생 또는 연속되는 강우로 지반이 침하하거나 노반의 붕괴사고가 우려되는 경우 선로변의 강우량을 측정하여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 운전함으로서 열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검지 장치
4. 기상검지장치 : 선로변의 강우, 적설, 풍속을 측정하여 이상 기후 발생 또는 연속되는 강우로 지반이 침하하거나 노반의 붕괴사고가 우려되는 경우 사령에서 열차를 정지시키거나 서행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기상검지장치
5. 지장물 검지장치 : 자동차나 낙석 등이 선로로 침범함에 의해 발생 가능한 열차 운행상의 안전저해 또는 재해 등을 조기에 검지해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
6. 건널목 지장물 검지장치 :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지장 경고등을 발광하여 접근하는 열차에게 건널목에 지장물이 있음을 알리는 장치
▪차축 계수기
특정 구간에 차축의 통과숫자를 확인하여 진입과 진출, 차량의 잔존을 검지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전류의 종류
1. 낙하전류 : 동작되고 있는 계전기의 코일전류를 서서히 감소시켜서 N접점이 개방된 순간의 코일 전류
2. 여자전류 : 변압기, 전압 조정기 등에서의 여자를 하기 위한 전류
3. 기동전류 : 전동기가 시동할 때 초기 순간에 흐르는 전류
▪신호보안장치
1. 개념 : 열차운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장치
2. 종류 : 신호 장치, 궤도 회로, 연동 장치, 전철 장치, 폐색 장치, 건널목 보안 장치, ATC, ATS 등
▪고장률곡선
1. 개념 : 고장률 곡선은 욕조형태와 닮아있기 때문에 욕조곡선이라고도 하며 초기고장기, 우발고장기, 마모기의 3단계로 구분한다.
2. 고장률=1년간 장애건수/설비수×24시간×365일
▪열차자동감시장치(Automatic Train Supervision)
열차의 운행상황을 통제하기 위하여 신호시스템을 제어하고 ATR(Automatic Train Regulation) 기능을 가지며 신호 시스템을 감시할 수 있는 장치로 시스템 상태를 감시하며, 열차 운전 지시를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트래픽 흐름을 유지하며, 열차 지연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중앙 집중적인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자동제어장치(Automatic Train Control)
열차의 거동과 운행 조건을 파악해 열차의 가감속을 제어하고, 정차위치 조정과 출입문 동작을 기계적으로 시행하는 자동 제어 기술을 의미한다.
열차가 현재 점유하고 있는 궤도회로로
부터 속도 정보(ATC 신호)를 수신 받아 그 시점에서 그 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최대 지정속도를 알아내어 열차의 실제속도가 지정 속도보다 빠르면 허용 속도까지 자동적으로 제동이 걸리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열차집중제어장치(centralized traffic control)
관제라 불리는 운행관리 업무의 기반으로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철도에서 일정한 구간 내의 정확하고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신호기ㆍ전철기는 물론 열차운행위치의 확인 및 관계지시를 한 곳의 사령실에서 제어반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원격조작하는 장치
▪열차자동운전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
역간 열차의 출발, 가속, 주행, 감속 및 정위치 정차, 출입문 제어 등 열차자동방호장치의 제 조건 하에서 자동 운행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열차자동방호장치(Automatic Train Protection)
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로서 신호모진이나 과속과 같은 운전으로 열차가 위험한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열차 간격조정, 열차속도 결정과 관리, 자동운행, 비상정지 등을 제어하고 열차가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멈춰선 경우에 후속 열차의 추돌을 방지하는데 자동 열차운행을 감시하는 장치
▪각종 안전장치
철도의 각 설비 및 연선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검지하여 열차 운행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장치들로, 신호 장치와 연동되거나 여기에 부수되어 동작하는 것들이다.
▪정격의 종류
1. 연속정격 : 확립된 표준의 한도 내에서 주어진 시험 조건하에서 정해진 온도 상승 한도를 넘는 일 없이 연속하여 줄 수 있는 최대의 일정 부하
2. 공칭정격 : 규정의 시험 조건하에서 규정온도를 넘는 일 없이 운전할 수 있는 최대 부하
3. 단시간정격 : 기기를 냉각된 상태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여 지정된 일정한 단시간 지정조건 하에서 사용할 때, 그 기기에 대한 표준규격으로 정하여지는 온도상승 등의 제한을 넘지 않는 정격
▪터널경보장치(TACB)
터널 내의 보수자를 보호하기 위해 열차가 일정구역에 진입시 경보하는 장치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