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는 한글일까 한자어일까? 그리고 언제부터 장마란 단어를 사용했을까? 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장마의 어원을‘ (長) + 맣’ 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千字文, 訓蒙字會와 더불어 한문교습에 사용되었던 新增類合 2卷 1冊 (선조 9년 (1576)에 간행)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영조 2 4년 (1748) 에 간행된 만주어의 사전류인 文類解까지 '댱마 霖', '댱마디다 下霖雨'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장마와 비슷한‘쟝마’ 가 문헌에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영조말년 이후 간행된 문헌부터이다.
숙종 16년 (1690)에 간행된 일종의 번역서인 譯語類解의 단점을 보완하여 김홍철이 편찬한 譯語類解補 (영조 51년 (1775)에 간행)1卷과 만주어를 구분하여 거기에 한문과 한글로 뜻을 쓰고 만주어음을 한글로 표기한 만주어사전인 漢淸文鑑 (영조말년경 간행)에 '쟝마ㅅ비 霖雨'로 기록되어 있다. 그 후 고종 17년 (1880)에 간행한 도교에 대한 해설을 한글로 적은 敬信錄諺解 78章에 '가물과 쟝마'라는 표현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댱 (長) + 맣'을 장의 어원으로 보면, 장마는 '긴', '오랜'이란 뜻의 한자어 長과 '마ㅎ'의 합성어이다. 그럼 '마ㅎ'는 무슨 뜻일까? 우리말의 어원을 설명하는 우리말의 뿌리 (안옥규, 1994)와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백문식, 1998)에 '마ㅎ'는 물(水)의 옛말로 '말갛다', '맑다'라고 할 때의 '말'의 옛 형태인 '마라'의 준말로 설명되어 있다. 즉 '마'는 물의 옛 형태인 '무르'와 형태 변종이다.
三國史記에서는 買 (mai)로 표기했다 (백문식, 1998). 의미 관계로 볼 때 '마ㅎ'의 변이음이 '비(雨)' 가능성이 크다. 고려 숙종때 서장관으로 개성에 왔다가 당시 고려인들이 사용하던 언어 353개를 추려 설명한 중국 송나라 사람 손목의 鷄林類事에 '비'를 雨曰 微(우왈 미)라 하여 오늘날의 발음 '비'와 일치한다.
윤선도의 시문집으로 1798년에 간행된 孤山遺稿에는 장마를‘마ㅎ’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장마는 순한글도 한자어도 아닌 한글과 한자 합성어이며, 그리고 장마를 의미하는 한자 霖이 선조 9년 (1576)에 간행된 한자교습서 新增類合에는 "霖 댱마 림"이라 풀이되어 있지만, 그보다 일찍 간행된 한자교습서 訓蒙字會(중종 22년, 1527)에는 "霖 오란비 림"으로 풀이되어 있는 점에 미루어 장마의 어원인 '댱마'의 옛말은 '오란비'라고 추정된다.
백문식(1998)의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에도 장마의 순수고유어는 '오란비'라고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날 계속해서 내리는 비'를 1500년대 이전에는 '오란비'로 표현하다가 1500년대 중반부터 '오랜'의 한자어인 '長'과 '비'를 의미하는 '마ㅎ'를 합성한 '댱마ㅎ'로 표현되다가 '쟝마', 장마'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장마는 순한글도 한자어도 아닌 한글과 한자 합성어이며, 그리고 장마를 의미하는 한자 霖이 선조 9년 (1576)에 간행된 한자교습서 新增類合에는 "霖 댱마 림"이라 풀이되어 있지만, 그보다 일찍 간행된 한자교습서 訓蒙字會(중종 22년, 1527)에는 "霖 오란비 림"으로 풀이되어 있는 점에 미루어 장마의 어원인 '댱마'의 옛말은 '오란비'라고 추정된다.
-----얻어온글 중에서 ----
첫댓글 역시 김문호 박사. 우리말 뿌리를 살펴 보면 재미가 있겠군요. 도리도리 짝작궁의 단동 10훈 뿌리를 찾으려는데 쉽지가 않네요. 응원 부탁!
우리가 쉽게 말하는 "장마"에 이런뜻이 ~ 감사합니다
계절에서 피할수없는것이 장마비라면 &(오란비=넘 맘에 들어요 이 단어는
장마 ! 당마 ! 오란비 ! 유월의 당마가 지루하다고 생각 되지만 장마철 지나면 불볕 무더위 무시라 와! 이리 덥노 비라도 한바탕 안오나고 해요 요즘 34도 35도 되어도 선풍기 에어컨 있어 그런대로 참을 수 있겠죠 20년전만 해도 30도 넘으면 숨이 목구멍까지 ! 지구 온난화 큰일이네요- 어느새 여름 날씨 35도까지 육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