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관아 (羅州官衙)
고려 성종 때인 998년 나주는 지금 광역자치 단체에 해당하는 ‘목(牧)’이 되었고 ‘전라도’라는 고유명사는 전주
(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뒤이어 병마절도사가 주둔했다. 이때부터 나주는 도시다운 도시로
하나하나 단장되기 시작했다. ‘목(牧)’의 지위는 1895년까지 누렸다. 거의 천년동안을 전라도의 중심도시 역할을
해 왔던 것이다.
금성관은 나주목의 객사이다. 객사란 고려~조선시대때 지방궁실로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 또는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고을의 관리와 선비들이 모여 망궐례(望闕禮)를 올리며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양쪽의 익사(翼舍)에서 유숙하게 하던 곳이다. 지방의 도읍지에 관아건물이 들어서면 일반적인 경우는 중심축선상에
동헌과 정문, 루문 등이 자리하고 주변에 육방관속의 건물과 내아 들이 위치한다. 현재 옛 나주읍성내에는 나주목사
내아(內衙), 관문(官門)인 정수루(正綏樓)와 서문밖에 나주향교 등이 있다.
금성관 정문은 망화루였는데 일제강점기에 없어졌던 것을 2003년 복원하였다.
금성관은 조선 성종 18~20년(1487.4.12~1489.7.20) 동안 이유인목사가 2년여 동안 재직하면서 김춘경목사가 건립한
객관의 동헌인 벽오헌 옆에 금성관과 벽오헌 남쪽에 망화루를 건축하여 궁실의 구조를 갖추었다. 이후 선조 36년(1603)에
크게 중수를 하고, 고종 21년(1884) 박규동 목사가 3창을 했다. 최근에 와서는 1963년 9월에 보수하였고, 다시 1976년에
완전 해체ㆍ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창호ㆍ마루등 내부를 개조하여 나주군청 청사로 사용되면서
유리창문을 달아 쓰기도 하였다.
나주읍성(羅州邑城) 영금문
taken and posted by kj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