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방언 총정리된 것을 아래와 같이 올리니 |
현지민과의 의사 소통에 도움이 되시길... |
|
제주도 방언 총... |
의문형 -과? |
먹었수과?(먹었습니까?) 감수광?(가십니까?) |
했수과?(했습니까?) 암수과?(아십니까?) |
왔수과?(왔습니까?) 봄수과?(보고있습니까?) |
|
축약의문형 |
먹언?(먹었냐?) 간?(갔냐?) |
핸?(했냐?) 알안?(알았냐?) |
완?(왔냐?) 봔?(봤냐?) |
|
진행형의문문 -멘 |
먹으멘?(먹고있느냐?) 가멘?(가고있는냐?) |
하멘?(하고있느냐?) 알멘?(알고있는냐?) |
오멘?(오고있느냐?) 보멘?(보고있느냐?) |
|
미래형의문 -쿠과? |
먹으쿠과?(먹겠습니까?) 가쿠가?(가겠습니까?) |
하쿠과?(하겠습니까?) 알쿠가?(알겠습니까?) |
오쿠가?(오겠습니까?) 보쿠가?(보겠습니까?) |
|
높임형 -수다 |
먹었수다(먹었습니다) 갔수다(갔습니다) |
했수다(하였습니다) 알암수다(알고있습니다) |
왔수다(왔습니다) 봄수다(보고있습니다) |
|
완료형문장엔 -낫 |
먹어낫수다(먹어보았습니다) 가낫수다(가었습니다) |
해낫수다(해보았습니다) 알앗수다(알았습니다) |
와낫수다(와보았습니다) 봐낫수다(봣었습니다) |
|
미래형 'ㅋ'음(쿠, 키, 커, 크, 켜)음이 들어가면 미래형 |
먹으쿠다(먹겠습니다) 가쿠다(가겠습니다) |
해쿠다(하겠습니다) 알쿠다(알겠습니다) |
오쿠다(오겠습니다) 보쿠다(보겠습니다) |
|
쌍시옷이 표준어와 달리 매우 약하게 발음 |
이수과?(있습니까?) 업수과?(없습니까?) |
이서?(있냐?) 어서?(없냐?) |
|
특이한 어휘 |
무사?(왜?) 게난(그러니까) |
게메(그러게) |
|
응용편 |
고람수과(말합니까?) 고람수다(말합니다) |
고랏수과?(말했습니까?) 고랏수다(말했습니다) |
고라낫수과?(말했었습니까?) 고라낫수다(말했었습니다.) |
고르쿠과?(말하겠습니까?) 고르쿠다(말하겠습니다) |
고릅디가?(말 하던가요) 고릅디다.(말 하던데요) |
고릅서=고릅서예=고릅서양!(말하세요) |
고르십서(말하십시요) 고릅서게! (재촉의 뜻) |
골앙=골앙으네=고라그네 (말해서) |
고람신디(말했는데) 고람신디마씨(말하는데요) |
고랏신디(말했는데) 고랏신디마씨(말했는데요) |
골젠? (말할려고?) 골젠마시?(말하려고요?) |
고르켄?(말하겠대?) 고르켄마씀?(말하겠대요?) |
고르카?(말할까?) 고르카마시?(말할까요?) |
고르랜?(말하래?) 고르랜마시?(말하래요?) |
고란?(말했어?) 고란마시?(말했어요?) |
고라난?(말했었어?) 고라난마시?(말했었어요?) |
고람시냐?(말하냐?) 고람쩌(말한다) |
고랏시냐?(말했냐?) 고랏쩌(말했어) |
고라서?(말했어?) 고라서(말했어) |
고라낫시냐?(말했었냐?) 고라낫쩌(말했었어) |
고를꺼냐?(말할 거냐?) 고르키어(말하겠어) |
고르크라마시(말하겠어요) |
고르라(말해라) 고르라게!(말하라는 재촉의 뜻) |
고르게!(말하자!) 고르게마시!(말합시다.) |
|
[단어] |
하르방, 할망 - 할아버지, 할머니 |
아방, 어멍 - 아버지, 어머니 |
괸당 - 친척 |
걸바시 - 거지 |
비바리 - 처녀 |
넹바리 - 시집간 색시 |
말젯놈 - 세째 놈 |
작산 거 - 어른이 된 사람 |
좀녀 - 해녀 |
촐랑생이 - 경솔한 사람 |
|
독 - 닭 |
빙애기 - 병아리 |
독새기 - 달걀 |
생이 - 새 |
고냉이 - 고양이 |
송애기 - 송아지 |
몽생이 - 망아지 |
돗(도새기) - 돼지 |
강생이 - 강아지 |
쥥이 - 쥐 |
겡이 - 게 |
구젱기 - 소라 |
무꾸럭 - 문어 |
버랭이 - 버러지 |
감저 - 고구마 |
지실 - 감자 |
노리 - 노루 |
어욱 - 억새 |
태역 - 잔디 |
|
가달 - 다리 |
꼴랑지 - 꼬리 |
귀뚱배기 - 귀쪽 뺨 |
꽝 - 뼈 |
등땡이 - 등 |
또꼬망 - 똥구멍 |
야게기 - 목 |
아굴탁 - 턱 |
임댕이 - 이마 |
정겡이 - 정강이(종아리) |
허운데기 - 머리카락 |
|
구덕 - 바구니 |
낭푼이 - 양푼, 그릇 |
박새기 - 바가지 |
숟구락 - 수저 |
제끄락 - 젓가락 |
허벅 - 물통 |
|
괴기 - 고기 |
바당괴기 - 바닷고기 |
돗괴기 - 돼지고기 |
쇠괴기 - 소고기 |
독괴기 - 닭고기 |
곤떡 - 쌀떡 |
곤밥 - 쌀밥 |
놈삐 - 무 |
마농 - 마늘 |
촐래 - 반찬 |
촘지름 - 참기름 |
|
[어휘] |
간세 호다 - 게으르다 |
두령청 호다 - 멍청하다 |
곧작 호다 - 곧다 |
금착 호다 - 놀래다 |
돌코롬 호다 - 달콤하다 |
멘도롱 호다 - 따뜻하다 |
부치럽다 - 부끄럽다 |
돌글랑 호다 - 동그랗다 |
봉끄랑 호다 - 퉁퉁하다 |
실렵다 - 차갑다 |
솔치다 - 살찌다 |
오들랑 호다 - 작아서 위로 치켜 뜸 |
왁왁 호다 - 캄캄하다 |
요망지다 - 똑똑하다 |
조꼬만 호다 - 작다 |
쪼꼴락 호다 - '조그맣다'의 센말 |
좀좀 호다 - 잠잠하다 |
코소롱 호다 - 구수하다 |
패랍다 - 까다롭다 |
데싸지다 - 자빠지다 |
곱지다 - 숨기다 |
몽캐다 - 느리다, 꾸물거리다 |
부에 나다 - 화나다 |
소곤닥 호다 - 소근거리다 |
속솜 호다 - 잠잠하다 |
용심 내다 - 성내다 |
조글리다 - 간지럽히다 |
|
|
|
게난 - 그러니까 |
게메 - 그러기에 |
게거들랑 - 그렇게 하거든 |
금착 금착 - 두근두근 |
괄락 괄락 - 물을 크게 마시는 소리 |
그냥 저냥 - 그럭저럭 |
그 초록 - 그처럼 |
맨작 맨작 - 미끈 미끈 |
멜싹(멜락) - 팍 누린 모습 |
몬딱 - 모조리 |
빙싹 빙싹 - 빙그레 웃는 모양 |
펜주룽이 - 태연하게 있는 모양 |
화룩 화룩 - 급하게 돌아다님 |
|
게메 마씀 - 그러기에 말입니다. |
기여 - 오냐, 그래 |
나야 더리 - 무얼 그래 |
날 봅서 - 나를 보십시오 |
무사 - 왜 |
메께라 - 별 소리 다한다 |
아니카 - 아니나 다르랴 |
아이구멍아 - 아이고머니나 |
왕 - 와서 |
으마떵호리 - 어마, 어떻게 하지 |
게, 양 - 그래, 그려 |
초마 불라 - 참아라 |
호곡 말곡 - 하고 말고 |
|
|
[간단한 문장] |
혼저옵서. |
빨리오세요 |
|
하영봅서. |
많이보세요 |
|
강옵서. |
갔다오세요 |
|
쉬영갑서. |
쉬어서 가세요 |
|
이시냐. |
있느냐 |
|
햄시냐. |
하고있느냐 |
|
와시냐. |
왔느냐 |
|
검절매레 안갈꺼과. |
김매러 안가실겁니까. |
|
좋쑤과. |
좋습니까. |
|
이쑤과. |
있습니까. |
|
알았수다. |
알았습니다 |
|
침대방 허쿠과. 온돌방 쓰쿠과. |
침대방 하겠어요? 온돌방 쓰겠어요. |
|
여기서 서울더레 해집주양? |
여기서 서울에 전화할 수 있지요? |
|
제주엔 참 종거 만쑤다양, |
제주엔 참 좋은 것이 많이 있습니다. |
|
저녁에랑 전복죽 쒀줍서양. |
저녁식사때는 전복죽을 쑤어주세요. |
|
어디서 옵데가? |
어디서 오셨습니까. |
|
날봅서. 있쑤과. |
여보세요. 계십니까? |
|
예. 어서 옵써. |
예 어서 오십시요. |
|
얼마나 사쿠꽈. |
얼마나 사겠습니까. |
|
많이팝서 다시 오쿠다 양. |
많이 파십시오, 다시 오겠습니다. |
|
이거 얼마우꽈. |
이거 얼마입니까. |
|
영 갑서양. |
이쪽으로 가십시요. |
|
왕갈랑갑서. |
와서 나누어 가지고 가세요. |
|
경허지 맙서. |
그렇게 하지 마세요 |
|
차탕갑서. |
차를 타고 가세요. |
|
놀암시냐 |
놀고 있느냐? |
|
감시냐 |
가느냐? |
|
오라시냐 |
오라고 하느냐? |
|
가시냐 |
갔느냐? |
|
저디 산 것 말이우꽈? |
저기 서 있는 것 말입니까? |
|
이거 얼마우꽈. |
이거 얼마입니까. |
|
어디 감수꽈 |
어디 가십니까? |
|
낼 오쿠꽈 |
내일 오시겠습니까? |
|
골암수꽈 |
말하십니까? |
|
맛조수다게 |
맛있습니다. |
|
어느제 오쿠과 |
언제 오시겠습니까? |
|
놀당 갑서양 |
놀다가 가십시요. |
|
도르멍 도르멍 가다 |
뛰면서 뛰어가다. |
|
볕이 과랑과랑 허다 |
햇볕이 쨍쨍나다. |
|
폭싹 속았수다 |
매우 수고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