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SNS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을 비롯해 허위 링크 연결, 피싱 등
SNS상의 보안 위협이 이슈가 되고 있다.
페이스북은 최근에 연이은 악재로 인해 보안인프라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있지만,
페이스북의 보안 투자와는 별개로
개인사용자들도 자신의 정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페이스북 계정을 보호하는 첫번째 방어선은 바로 사용자 자신이다.
자신의 계정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인증과 보안 통신을 제공하는 보안 설정을 적극 활용하며,
작업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로그아웃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페이스북 보안 설정에는 보안 질문, 안전한 브라우징(HTTPS 암호화), 로그인 알림,
로그인 승인, 앱 비밀번호, 인증 기기, 로그인 내역, 내 계정 비활성화하기 등
총 8개의 섹션이 있다.
각 항목별 기능에 대해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자.
● 보안 설정하기
1. 보안 질문
보안 질문은 계정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계정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아직 보안 질문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계정 설정 페이지에서 보안 질문을 설정해야 한다.
기억 가능한 질문과 대답을 선택해야 하며,
본인 외에는 누구도 질문에 답변할 수 없어야 한다.
계정에 대한 보안 질문은 보안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다.
페이스북 페이지 우측 상단의 계정 메뉴를 클릭하고 계정 설정을 선택한다.
계정 설정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보안]을 클릭하고,
보안 질문 섹션에 있는 [수정]을 클릭한다.
계정에 이미 보안 질문을 설정했다면 이 섹션이 보이지 않는다.
자신이 확실히 기억할 수 있는 질문을 선택하고
쉽게 추측할 수 없을 만큼 구체적인 답변을 입력한다.
설정을 저장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2. 안전한 브라우징 (https)
은행의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에서 쇼핑하는 경우,
주소 표시줄에 작은 자물쇠 아이콘이 나타나고
웹 주소가 http 대신에 https로 시작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것은 SSL(Security Socket Layer)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SSL은 사용자와 방문하고 있는 사이트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보호하는 수단이다.
SSL은 넷(Net) 상에서 데이터가 이동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한다.
은행과 쇼핑 사이트 등 민감한 정보를 취급하는 대부분의 웹 사이트들은
SSL을 이용해 사용자는 개인적인 정보를 보호한다.
현재 페이스북은 자사 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브라우징에
SSL 암호화를 적용하고 있다.
페이스북에서 안전한 브라우징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페이스북의 모든 활동을 암호화하여 다른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안전한 브라우징을 통해 공공장소에서도 페이스북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HTTPS(Hyper Transfer Protocol Secure)를 사용하여 페이스북에 연결하는 경우,
공개형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공격자가 페이스북 네트워크 연결을 도용하거나
대화를 도청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또한 인증 검사를 통해 브라우저에서 페이스북에 연결되었음을 알린 경우
실제로 페이스북에 연결되었는지, 페이스북을 가장한 가짜 웹 사이트가 아닌지 확인한다.
이 보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계정 설정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보안]을 클릭한 후,
[안전한 브라우징]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언제나 보안 연결(https) 상에서 Facebook을 이용] 앞의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하면 활성화 된다.
안전한 브라우징을 설정하면 브라우저 주소 표시줄의 인터넷 주소(URL)가
https:// 로 시작하게 되므로 웹 사이트 간 통신이 보안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도 보인다.
자물쇠가 있으면 안전한 브라우징 설정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특정 앱을 설치하거나 실행할 때
<안전한 브라우징이 지원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
모든 서드파티 앱이 이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기 때문에
꼭 필요한 앱이라면 안전한 브라우징을 체크 해제하고 사용하면 된다.
안전한 브라우징 옵션을 해제하려면 계정 설정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보안]을 클릭한 후,
[안전한 브라우징]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언제나 보안 연결(https) 상에서 Facebook을 이용] 앞의
체크사항을 해제한 후,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안전한 브라우징 옵션이 해제된다.
안전한 브라우징 옵션을 해제하면 정상적으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3. 로그인 알림
로그인 알림은 내가 사용하는 PC나 휴대폰을 등록해두면
다른 PC나 모바일 장치에서 내 계정에 로그인하는 경우,
이메일이나 휴대폰 문자로 알려주는 보안 기능이다.
로그인 알림을 사용하려면 계정 설정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보안]을 클릭한 후,
[로그인 알림]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한다.
그리고 알림을 받을 이메일이나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 또는 둘 다 선택한 후,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로그인 알림을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로 받으려면
페이스북 계정에 연결된 휴대폰 번호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휴대폰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폰 번호를 하나 추가해야 한다.
휴대폰을 등록하고 인증받는 방법에 대해서는
☞ [페이스북 사용법] 페이스북 계정 설정하기 Ⅳ : 모바일 설정 에서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로그인 알림을 설정한 후, 새롭게 로그인을 하면 새 기기 이름을 등록하라는 창이 뜬다.
[기기 이름] 입력상자에 적당한 장소(집, 사무실)를 입력한 후,
[이 기기를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로그인 후 보안 설정을 보면 [인증 기기]에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용 PC에서 로그인할 때는 새 기기 등록 창에서 [저장안함]을 선택하여
등록하지 않고 로그인 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Inprivate 브라우징과 같은 개인 탐색 기능을 설정했거나,
브라우저 창을 닫을 때 임시파일과 쿠키 등 검색기록을 자동삭제하도록 설정해 놓은 경우,
새롭게 로그인할 때마다 새 기기 등록을 하라는 창이 뜨게 된다.
이때 같은 기기라면 [저장안함]을 선택하고 로그인 하면 된다.
4. 로그인 승인
또 다른 보안 기능으로는 로그인 승인이 있다.
로그인 승인은 로그인 알림과 비슷하지만 몇 가지 보안 단계가 추가된 기능이다.
로그인 승인은 페이스북 계정에 인증 기기로 등록되지 않은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로그인을 하는 경우, 휴대폰으로 전송된 보안 코드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로그인 승인을 설정하려면 계정 설정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보안]을 클릭한 후,
[로그인 승인]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하고
[인증하지 않은 컴퓨터나 다른 기기에서 로그인할 때마다 보안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기]
앞의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그런데 로그인 알림 및 로그인 승인을 설정할 때
브라우저 설정을 확인하라는 팝업 창이 뜨는 경우가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Inprivate 브라우징과 같은 개인 탐색 기능을 설정했거나,
브라우저 창을 닫을 때 임시파일과 쿠키 등 검색 기록을 자동 삭제하도록 설정한 경우,
또는 브라우저의 [비밀 모드]를 사용할 경우,
로그인 알림이나 로그인 승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창이 뜨게 된다.
로그인 승인 및 로그인 알림을 설정하면 다음 로그인 시 인식할 수 있도록
페이스북에서 내 컴퓨터 및 브라우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일부 브라우저 기능은 이러한 정보 저장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 설정을 조정해야 한다.
Internet Explorer 사용자라면
[도구] → [ InPrivate 브라우징] 옵션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인터넷 옵션] → [일반] → [종료 시 검색 기록 삭제] 옵션의 선택을 해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후에도 로그인 알림이나 로그인 승인을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이 걸릴 수도 있고, 또한 변경 사항이 적용되려면 설정을 수정한 후에
로그아웃한 다음 다시 로그인을 해야 할 수도 있다.
5. 앱 비밀번호
앱 비밀번호 설정 기능은 페이스북의 외부 앱 사용시 불거지는 보안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페이스북에서 사용하는 외부 앱에 로그인할 때
페이스북 비밀번호와 별개로 사용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앱 비밀번호는 앱에 로그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일회성 비밀번호다.
앱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앱에 바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보안을 유지해 준다.
페이스북 계정 비밀번호 대신 앱 비밀번호를 사용해 앱에 로그인 하기 때문에
앱 비밀번호를 사용하면 페이스북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승인이 설정되어 있으면
앱 비밀번호를 사용할 때 코드를 받기 위해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앱 비밀번호를 사용하면 로그인 승인을 건너뛰고 바로 로그인할 수 있다.
앱 비밀번호를 설정하려면 보안 설정 페이지에서
앱 비밀번호 섹션에 있는 [수정]을 클릭한 후, [앱 비밀번호 만들기] 링크를 클릭하고
[앱 비밀번호 만들기] 창에서 [앱 비밀번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앱 비밀번호 만들기] 창에서 승인할 앱의 이름을 입력하고
[비밀번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 후,
해당 앱으로 이동하고 방금 만든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한다.
사용자가 앱 비밀번호를 생성한 앱의 리스트는 저장되지만, 비밀번호는 저장되지 않는다.
앱에서 로그아웃하는 경우 새 비밀번호를 생성해야 한다. 6. 인증 기기 보안 설정 페이지의 [인증 기기]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한 후, 등록된 기기를 확인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계정 및 계정 활동과 관련된 컴퓨터 목록을 확인하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한 적이 없는 컴퓨터가 목록에 있으면 목록에서 제거한다. 7. 로그인 내역 보안 설정 페이지의 [로그인 내역] 섹션에서 [수정]을 클릭하여 내 페이스북 계정에 로그인한 내역을 볼 수 있다. 현재 세션에서 현재 로그인한 위치와 기기 타입을 볼 수 있고, 마지막 접속에서 이전 접속한 내역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접속에는 최근에 페이스북 계정에 액세스한 시간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페이스북에 로그인한 날짜와 시간, 로그인한 대략적인 위치, 계정에 액세스할 때 사용한 장치 유형을 보여준다. 각 항목의 오른쪽에는 활동 세션을 종료하는 옵션도 표시된다. 다른 장치에서 로그인한 후 로그아웃을 하지 않았거나, 타인이 내 계정에 로그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세션 정보의 오른쪽에 있는 [활동 끝내기] 링크를 클릭해 로그아웃할 수 있다. 또한 내 활동 세션에 모르는 장치나 위치에서 로그인한 기록이 있다면 [활동 끝내기]를 클릭하여 강제로 차단할 수 있다. 해당 세션의 로그인 위치 데이터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으면 특정 로그인 기록에 대한 IP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페이스북 비밀번호와 이메일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좋다.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내역 창을 닫는다. ※ [내 계정 비활성화하기]를 클릭하여 계정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내 계정 비활성화하기는 페이스북을 탈퇴하지 않고 내 계정을 숨겨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페이스북에 다시 로그인할 때 비활성화된 계정을 활성화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