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글로 남겨서 미안~^^
아래에 (부천)비뇨기 인수인계에 누군가 써놓은 글에 아주 잘 나와있고
우리는 김준모 티칭 사항과 추가할 것들 얘기할게
일단 컨퍼런스는 월요일,금요일 오후 5시에 제 7 회의실에서 있고 토요일 오전 8시에 PK케이스 발표겸 컨퍼런스가 있어~
(1) 비뇨기과 방사선학적 소견들이 있는데
KUB(kidney, ureter, bladder)
IVP (intravenous pyelography)
리딩하는것을 월요일날 레지던트 2년차 윤종현 선생님 만나면 리딩해보라고 시키실거야..
일단 KUB는 정상소견 이렇게 말하면돼..
" soft tissue에서 ascite 소견(organomegaly있으면 언급하기) 없으며
psoas muscle shadow, kidney shadow intact하며 vertebra와 pelvic bone deformity
소견 없으며 paravertebra와 pelvic cavity에 abnormal calcification소견 보이지 않습니다"
그다음으로 IVP를 리딩해보라고 시키시는데..
5분 film이 scout film으로 KUB 정상 소견 말한것 똑같이 반복하면 되구..
hydronephrosis가 있는경우
5분 사진에서는 majot calyx와 minor calyx, 신우(pevis? 하튼 pyelo라는 거 있잖아)를 보는건데
"minor calyx에 blunting 소견 보이며 renal pelvis가 dilatation 되어 있습니다.
dense nephrogram 소견 없습니다.(정상 nephrogram 소견 보입니다.)
5-15분 사이에서는 pelvis랑 ureter 보는건데 정상적으로 조영제가 내려가는지 dilatation있는지 없는지
말하면 되는데, ureter는 조영제가 보이지 않는 곳이 있는데 이게 정상이야. 왜냐하면 ureter는
peristasis가 있기 때문에 하넌 쫙 쫘주면 조영제가 내려가서 조영제가 안보이는 부분이 생겨.
그러니까 만약에 조영제가 ureter전체에서 보이면 이게 이상한거다.
15분 이후에는 bladder를 본다고 생각하면 되고 15분까지는 복대 강하게 채워놔서 최대한 조영제가
내려가는 것을 막고 있다가 이후에 풀어서 조영제가 내려가서 방광이 잘보인다.(물론 복대를 채워놔도
조영제가 방광으로 가지 않는건 아니야.) 방광에 이상이 있는지 설명하면 되는데 방광의 margin이
일정하게 보인다고 하면 되고 mass가 있으면 defect가 보일테니까 말해주면 된다.
방광이 sup.pubic ramus 보다 위에 있는 것이 정상이고 만약 그보다 아래에 있다면 cystocele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
voiding한 후에 사진은 보면 알테고 이건 별로 설명할 것 없다.
.
.
(2) 일정
오전에는 7시 30분까지 81병동으로 가서 레지던트,인턴과 같이 회진을 돈다음에
8시쯤되면 교수님들이 오셔서 같이 81병동 의사실로 갈거야..그럼 PK는 컴퓨터 뒤로
가서 서있으면 되고..그뒤에 다시 회진돌고 우리때에는 나랑 찬호랑 둘이 있어서 한명은
8시 50분까지 외래로 갔고, 나머지 한명은 레지던트 3년차 유용덕 선생님(치프)께서 수술실
들어갈때 같이 들어가면돼..(교수님 회진 돌더라도 아침에 수술실 들어갈 때에는 꼭 유용덕 선생님
따라서 수술방에 들어가야함) 항상 치프 뒤를 따라다닌다고 생각하면 돼.
수술실에서는 김준모 선생님 수술외에는 그냥 관찰하고 김준모 선생님 수술시에는
씻고 오라고 한다고 해..
김준모 선생님 수술시에는 복벽의 10층을 꼭 알고 들어가라고 하는데
복벽층은...
(skin / subcutaneous tissue / camper's fascia / scarpa fascia / deep fascia / ext. oblique muscle / int. oblique muscle / transverse abdominis muscle / transveralis fascia / ext. peritoneal fat / peritoneum)
-> 비뇨기과에서는 다르다고 함 (확실하게 알아두면 좋음)
복벽에서 조금 얕은 곳을 잡고 물어보시면 scarpa fascia라고 대답하면 된다고하고
조금 깊은 곳을 잡고 물어보시면 oblique muscle의 aponeurosis입니라 라고 대답하면 된다고
레지던트 1년차 선생님이 말해주셨어
(3) 김준모 선생님 티칭시에는...
(김준모 선생님 티칭 자상하게 잘 해주시는데 너무 대답못하면 티칭이 길어질수도 있으니
질문받은것들 여기에 써놓을게..)
*일단 약들을 물어보는데..
Cravit은 퀴놀론계 항생제로 Levofloxacin
Airtal, Tarasyn 은 진통제이고
Tiropa, Phlon,Dtrusitol anticholinergic이고(stone있을 때 peristalsis를 약하게 해주는것)
Buscopan,Spamon은 antispastic agent(anticholinergic이랑 비슷한 역할)
Anytal triple layer tab, 베아제, 다제스는 소화제이고
Amarryl(Glimepiride)-DM약이고
Stone 환자 pain control은 demerol 한대..
Alfzosin은 a-blocker야
Macrolide는 amoxicillin, ampicillin
Urethritis에서 치료는 Doxycycline(원충쪽은 거의 독시..)
flutamide는 hor. 치료할 때 쓰이는 약으로 prostatic cancer나 BPH에서 쓰는것
*BPH의 치료제는?
1. a-blocker
Phenoxybenzamine(오래된 약이라 거의 안씀), Prazocin, Terazocin, Doxazocin등..
2. 5a-reductase inhibitor
Finasteride
김준모 선생님께서 infection 파트가 중요하다고 많이 하셨는데
infection할때에 case 1번 문제가
여자환자가 빈뇨, 혈뇨, 요급 증상, 배뇨시 통증으로 내원하였을때
1.추가적으로 해야할 질문은?
2.해야할 검사는?
3.치료와 recommend할 것은?
1.우선 성관계 여부를 묻기 위해 결혼 했는지를 묻고
열이 있는지, 예전에 이런 증상이 있었는지,
성병과 감별을 해야 하는데 성병인 겨우 냉에서 냄새가 심하거나 양이 많으면 성병이겠지.
가려울 경우에는 칸디다 질염이 가장 유력하고..
2.요검사해서 10의 5승개 이상의 bacteria가 검출되면 UTI로 생각할수 있다.
squamous cell이 나오면 외부 생식기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므로 오줌이 contamination되었기
때문에 검사 결과의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어.
urine pH가 5~8이 정상 범위인데 5,6정도면 산성이라 생각할 수 있고 8이 알칼리성인데
산성이 되는 이유는 잘 기억이 안나는데 E.coli에 의해 urite가 urate가 되서 그런가 하거든.
알칼리성이 되는 이유는 요소분해균에 감염된 경우로
요소분해균은 proteus, klebsiella, pseudomonas, staphylococcus가 있어. 이것은 요소를
암모니움으로 바꿔서 마그네슘, 인산염과 같이 MAP stone 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감염석(Struvite)라고 하고 이게 녹각석(Staghorn)을 만드는 거야
또 urine culture를 해서 어떤 균인지 알아보는 두가지 검사만 하면 된대. 이경우는 acute cystitis
니까 대부분의 원인은 E.coli야
3.치료는 책에는 bactrim이라 나와있는데 요즘엔 잘 안쓴대. 항생제 대충 아는거 말하고
기간은 3일 정도로 치료 해주면 돼. 왜냐면 방광이 항생제가 배출되는 곳이기 때문에 방광에
항생제가 모여서 치료가 잘 된다네.
anticholinergic drug쓰고 진통소염제(NSAIDs 등등) 사용
recommend 해줘야 할것으로는 온수좌욕 해줘서 통증 경감 시켜주면 돼.
증상이 위와 비슷하고 남자일 경우 고열이 난다면 전립선염 의심해볼수 있데
남자가 위와 같은 증상인데 요도 dischage가 있으면 요도염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그러면 gonocochal 과 nongonocochal로 생각할 수 있는데 gonocochal은 discharge가
누렇고 끈적거리면 양이 많아. nongonocochal은 C. trachomatis가 원인균으로 discharge가
물처럼 하얗고 팬티에 살짝 묻을 정도로 나온대.
이런경우 부인도 같이 치료하는게 필요하고 AIDS나 매독검사도 꼭 필요해. 일주일 이상 치료가
필요하대~
말해줘야 할것을 wash out effect를 위해 물을 많이 마시게 하고 역시 좌욕
(4) 시험에서..
약어들
RGP-retrograde pyelography
TRUS-transrectal Ultrasonography
CIC-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ESWL-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ypsy
VCUG-voiding cystourethrography
PNL-percutaneous nephrolithotomy
TUR-P -transurethral resection-prostatic tumor
URS-ureteroscopic removal of stone
EPS-expressed prostate secretion
(5) 케이스..
케이스는 찬호케이스가 표준이니까 받아서 그래로 써야 될거야..(케이스 인수인계 강조했음)
Identification에서는 Name과 Sex/Age만 쓰고 환자번호랑 입원일짜 쓰면 안되구..
Chief complain는 가능한 자세하고 쓰라고 인수인계 받았고
Person history는 그 병에 대한 배경을 조사하는것으로 그 병에 대한 위험인자 등을 미리 알아서
물어봐서 적어두면 좋아~
케이스 쓸때에는 약자를 되도록 쓰지 말라고 했는데
예를들면 IVP도 intravenous pyelography라고 써야한데
발표시에도 Chief complaint는...이렇게 말하면 안되고
(주증상은.. 현병력은..과거력은..개인력은..가족력은..전신고찰(ROS)상 전신소견,두경부,심폐기계
위장관계,배뇨증상,신경근육계,골격계.. 신체검사상(Physical examination) 생징후는
안정적 전신소견은..급성병색소견없이 의식상태는 명료하였습니다..두경부소견은..흉부소견은..
복부소견은..배부및 사지소견은..요로생식계는...추정징후로..진단계획은..Lab finding은..)
사진도 되도록 한화면에 한장씩 넣어두고
Lab finding에서 요검사에서는 Urine microscopy(RBC,WBC...), Urine analysis에서 urine PH
는 꼭 넣어야 된다고 했어
이렇게 얘기해야된데..
Case review도 최대한 간단하게 5~6장 정도로 준비하는데
한장에 7줄을 넘으면 안된다고 하네..
밑에 케이스 있으니까 참고해서 보고 거의 형식은 그대로 하면 된다
헉스 케이스 용량이 넘 커서 안들어간다. 필요하면 찬호한테 말하길~
즐거운 비뇨기 실습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