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정의 목적이 아닌 것은 ?
1) 부식 2) 자가융해와 부패방지 3) 보존 4) 경화 5) 매염효과
<설명> 1) 자가융해 방지 2) 부패방지 3) 조직의 보존 4) 조직의 경화 5) 염색의 매염효과를 고정의 5대 목표라고 하며, 특히 조직은절취 즉시 고정액에 넣어야 한다. 그 이유는 효소에 의한 자가융해를 방지하고 미생물에의한 부패를 방지하여 조직성분을 보존함과 동시에 경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염색의 매염효과까지를 고려한 것이다.
[답] 1.
2. 조직고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것은 ?
1) 자가융해와 부패를 막는다.
2) 세포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다
3) 조직을 단단하게 한다
4) 고정시간은 길수록 좋은 표본을 만들 수 있다
5) 염색할 때 매염작용이 있다
<설명> 고정시간은 일반적으로 12 - 24 시간이 적당하며 실온에서 실시하고 가온 진탕하면 촉진된다. 따라서 고정시간이 길어지면 오히려 Formalin pigment와 같은 이물질들이 침전될 우려가 있어 좋치않다.
[답] 4.
3. 조직을 고정할 때 단백질은 ?
1) 용해된다 2) 용해되지 않는다. 3) 매우 잘 용해된다.
4) 응고되지 않는다. 5) 단백질에 따라 다르다
<설명> 조직고정의 제일목적은 조직 단백질의 안정화에 있으며 이 안정화란 단백질을 고정액으로 하여금 용해되지않도록 응고침전시키는 일이다. 바로 이것이 조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다.
[답] 2.
4. 고정액이 갖추워야 할 조건 중 가장 결점이 될 수 있는 것은 ?
1) 값이 싼것
2) 안정성이 있는 것
3) 조직에 대한 침투력이 늦은 것
4) 가열하면 가스가 생기는 것
5) 조직에 대한 침투력이 빠른 것
<설명> 고정액이 갖추워야 할 조건에는 1) 조직의 보존력이 있어야 하고, 2) 살균력이 있었야 하고, 3) 조직에 대한 침투력이 있었야 하고, 4)조직에 경하 작용이 있었야 하고, 5)매염작용이 있었야 한다. 그리고 고정액을 선택할 때는 위와같은 조건들 외에도 조직의 종류, 예상되는 병명, 예정된 염색, 경제성, 안전성, 효과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결점이 될 수 있는 것은 고정액의 침투력이 늦은 것이다.
[답] 3.
5. 고정액은 조직부피의 몇 배이면 좋은가 ?
1) 2-3배 2) 5-10배 3) 10-20배 4) 20-30배 5) 50-100배
<설명> 고정액은 조직크기에 10내지 20배 정도를 붓는다.
[답] 3.
6. 일반적인 조직표본제작(Routine section)에 쓸 고정액의 선택에 있어 고려될 조건이 못되는 것은 ?
1) 조직의 종류 2) 예상되는 병변 3) 예정된 염색
4) 보존할 기간 5) 경제성
<설명> 문제 4 설명을 참고할 것.
[답] 4.
7. 생체에서 절취된 가검물은 일반적으로 즉시 고정액에 넣어야한다. 그 이유는 ?
1) 조직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조직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수술실의 악취를 피하고 취급의 편의를 위하여
4) 습관상 그렇게 하게 되어 있으므로
5) 조직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명> 문제 1 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8. Gross란 무엇인가 ?
1) 일반적인 모든 검사물의 현미경적 소견
2) 외과적으로 절제되어 나온 검사물의 현미경적 검사
3) 세포내 물질의 현미경적 검사
4) 질병의 현미경적 검사
5) 모든 검사물의 육안적 검사와 1x2x0.4㎝ 크기로 자르는 일
<설명> 가검물의 육안적 검사, 즉 검체의 크기, 색깔, 모양, 무게,냄새, Cavity의 유무, 내용물의 양 등을 관찰 검색하면서 표본제작에 알맞는 크기 1 x 2 x 0.4 ㎝ 크기로 자르는 일까지를 Gross cuttlng이라 하며, 이 일은 반드시 해부병리 전문의에 의해 실시된다.
[답] 5.
9. 고정액의 4 가지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조직을 염색하는 기능
2) 조직내로 침투하는 기능
3) 조직을단단하게하는 기능
4) 조직을 죽이는 기능
5) 조직성분을 보존하는 기능
<설명> 문제 1 번과 4 번 설명을 참고할 것. 고정액의 기능 중 염색의 매염작용은 있어도 조직을 염색하는 기능은 없다.
[답] 1.
10. 100% Formalin 용액이란 ?
1) 10% Formaldehyde 가스를 나타냄
2) 40% Formaldehyde 가스를 나타냄
3) 100% Formaldehyde 가스를 나타냄
4) 4% Formaldehyde 가스를 나타냄
5) 0.4% Formaldehyde 가스를 나타냄
<설명> 100% Formalin 용액 이란 Formaldehyde 가스가 물에 37%-40% 정도 놓아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10% Formalin 이란 물에 Formaldehyde 가스가 3.7%-4.0% 정도되게 놓아 있는 것이다.
[답] 2.
12. 일반적으로 10% Formalin 고정액에 고정시키는 시간은 대략 ?
1) 1시간 2) 12시간 3) 6 시간 4) 48 시간 5) 72시간
<설명> 고정시간은 고정액의 종류, 농도, 온도 그리고 조직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 Formalin 고정액의 경우 실온에서 대략 1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면 충분하다.
[답] 2.
13. 조직을 고정할 때 사용되는 10% Formalin 용액의 적당한 pH는?
1) 3.0 2) 5.0 3) 7.0 4) 9.0 5) 11.0
<설명> 조직을 고정할 때 고정액의 pH는 고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10% Formalin 용액의 적당한 pH는 7.0 이다. 만약 pH가 5.6 이하 이면 Acid hemataine이 생성되고, pH가 8.0 이상 일 때는 Alkaline hemataine이 형성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조직내 적혈구가 파괴되어 유리된 Hemoglobuine이 산화되면서 만들어 진다. 이 흑갈색의 Hemataine은 염색전에 알콜 Picric acid포화용액이나 H2O2 그리고 NaOH나 KOH로 처리하여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답] 3.
<설명> Formalin 용액을 일광이나 공기 중에 노출 시키면 Formaldehyde가 산화되어 개미산(Formic acid)이된다. 이렇게 산성화된 Formalin 용액을 중화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시약으로는 Calcium carbonate(Ca2CO3), Magnesium carbonate(Mg2CO3), Sodium carbonate(Na2CO3), Potassium phosphate( Mono, Dibasic, KH2PO4 , K2H2PO4 )등이 있다. Lithium carbonate (Li2CO3)는 산성탈회 후 중화제로 사용한다.
[답] 1.
15. Formalin 용액에 고정했을 때 생기기 쉬운 흑갈색 Formalin 색소를 제거하는데 사용치 않는 시약은 ?
1) Ammonium chloride(NH4CL) 2) Acetic acid(CH3COOH) 3) Hydrogen peroxidase(H2O2) 4) Ammonium hydroxide(NH3OH) 수용액 5) Potassium hydroxide(KOH)
<설명> 조직을 고정액에 고정하면 조직내 많은 침전물들이 생길 수 있다. 특히 Mercury, Melanin, Formalin 색소의 침전물들은 표본 검경시 많은 지장을 초래하므로 염색전에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Formalin 색소 제거법에는 ① Kadarsewitch 방법 절편을 70% Ethanol에 Ammonium chloride(NH4Cl)을 1-5% 되게 넣어 Formalin 색소의 침착량에 따라 5분∼4 시간 처리한 후 수세하여 제거한다. ② Verocay 방법 1% Potassium hydroxide(KOH)수용액 1ml과 80% Ethanol 100ml 혼합액에 넣어 10분간 두었다가 5분간 물에 수세하여 제거한다. ③ Alcoholic picric acid로 처리(3시간)하여 수세 후 필요한 염색을 한다. ④ 70% Alcohol과 28% Ammonium hydroxide(NH3OH)혼합액을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95% Alcohol과 28% Ammonium hydroxide가 혼합된 표백용액과 Acetone, Hydrogen peroxide, 28% Ammonium hydroxide가 혼합된 표백용액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Mercury색소 제거법에는 Iodine과 Potassium iodide를 증류수에 혼합시킨 Gram iodine 용액 이 나 Lugol iodine 용액으로 처리한 후 5% Sodium thiosulfate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제거하는 방 법이 있다. Melanin 색소 제거법에는 0.25% Potassium permanganate나 Hydrogen peroxide 등의 산화제를 사용한다. Melanin 색소를 0.25% Potassium permanganate 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생 기는 갈색침전물을 5% Oxalic acid 로 환원시켜 표백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답] 2.
16.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정액은 ?
1) 10% Formalin 용액
2) Zenker's 용액
3) Alcohol 용액
4) Bouin's 용액
5) Helly's 용액
<설명> 10% Formalin 용액을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1) 값이 싸고, 2) 제조가 간편하고, 3) 살균력이 좋고, 4) 침투력이 빠르고, 5) 매염작용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답] 1.
17. 다음 중 고정액이 아닌 것은 ?
1) 10% Formalin 용액 2) Bouin's 용액 3) Carnoy's 용액 4) Helly's 용액 5) Saline 용액
<설명> Saline 용액은 등장액에 속하는 0.85%의 생리식염수이다. 나머지 용액들은 모두 고정액들에 속하는 것들이다.
[답] 5.
18. 고정액 Formalin 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지방 고정에 좋다
2) 살균력이 좋다
3) 값이 싸다
4) Glycogen의 고정에 좋다
5) 제조가 간편하다
<설명> Glycogen과 Amyloid와 같은 탄수화물들은 수용성이므로 물을 포함한 고정액을 사용하지 말고 무수 Alcohol 이나 Carnoy's 용액 등과 같은 무수 고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지방검출을 위한 동결절편시 고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고정을 한다면 Formalin 외는 곤란하다. 특히 Zenker's 용액이나 Helly's 용액과 같은 고정액들에는 중금속 수은이 포함되어 얼지 않기 때문이다.
[답] 4.
19. Formal - Alcohol 용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 조직을 탈지하고 동시에 고정한다
2) 조직을 단지 고정시키기만 한다
3) 조직을 단지 탈수시키기만 한다
4) 조직을 전혀 고정시키거나 탈수시키지 않는다
5) 탄수화물의 검출을 위한 고정에는 쓸 수 없다.
<설명> Formal-Alcohol 용액이란 Formalin을 증류수 대신 alcohol로 희석시킨 고정액으로 Alcohol이 조직내 지방을 용해시켜 주무로 일반적인 10% Formalin 용액 보다 신속하게 조직을 고정시킬 수 있고, 수분이 없기 때문에 탄수화물의 검출을 위한 고정액으로도 쓸 수 있다.
[답] 1.
<설명> 뇌신경세포의 축삭돌기에 위치한 Myelin 수초은 Phospholipid로 구성되져 있다. 신경병리학적인 면에서 일반 조직표본제작법에 의한 이 구조물을 확인하려 할 때 Ammonium bromide가 포함된 Formalin 용액을 쓰면 Phospholipid와 같은 지질성분들이 Bromide화 되어 어떤 유기용매에도 녹지않는 불용성으로 변화되어 그 구조을 명확게 관찰할 수 있다.
[답] 5.
21. 조직 절편내에 흑색과립이 생기는 이유는 ?
1) 염색을 부정확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2) Formalin에 너무 오래 고정하였기 때문이다.
3) 세균과 곰팡이 같은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4) 절편을 잘못 잘랐기 때문이다.
5) 탈수를 잘못 하였기 때문이다.
<설명> 문제 13번, 15번 설명을 참조할 것.
[답] 2.
22. 다음 중에서 Mercuric chloride가 포함된 용액은 ?
1) Bouin's 용액 2) Flemming's 용액 3) Zenker's 용액 4) Orth's 용액 5) Carnoy's 용액
<설명> Zenker's 용액의 조성은 Potassium dichromate, Mercuric chloride, Sodium sulfate, 중류수와 사용 직전에 빙초산(Glacial acetic acid)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Orth's 용액은 Muller용액(Potassium dichro- mate, Sodium sulfate, 중류수)에 37-40% Formaline을 가한 고정액이다.
[답] 3.
23. Zenker's 용액에 고정된 조직은 염색전에 어떤 처리가 필요한가?
1) 산이나 알칼리 처리를 필요로 한다
2) 암모니아 처리를 필요로 한다
3) 무수알콜 처리를 필요로 한다
4) Lugol용액 처리를 필요로 한다
5) 과산화수소 처리를 필요로 한다
<설명> 문제 15번 설명을 참조할 것. 수은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Lugol 용액( Gram Iodine 용액 )으로 처리한 후 Iodine의 누런색을 제거히기 위해 sodium thiosulfate( 일명 Hypo용액 )용액으로 처리한다.
[답] 4.
24. Zenker's 용액의 성분 중 고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1) Potassium dichromate
2) Mercuric chloride
3) Potassium disulfate
4) Glacial acetic acid
5) Chloroform
<설명> Zenker's 용액의 성분 중 Potassium dichromate의 성분이 고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Chroum은 단백질을 잘 응고침전 시킬 뿐만 아니라 지질이나 Phospdlipid와 같은 복합지질을 Chroum화 시켜 유기용매에도 녹지않는 상태를 만들어 이들로 이루워진 신 경세포의 Myelin 수초와 같은 구조를 확인 한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답] 1.
<설명> Carnoy's 고정액은 무수알콜, Chloroform, 빙초산으로 되어있다.
[답] 3.
29. Osminm tetraoxide, Alcohol, Picric acid는 무엇과 관계가 깊은 가 ?
1) 투명제 2) 침투제 3) 탈수제 4) 고정제 5) 포매제
<설명> 모두가 고정제들이다
[답] 4.
30. 당원(Glycogen)을 보기 위한 고정액으로 좋은 것은 ?
1) 10% Formalin 용액
2) 무수 Alcohol 용액
3) Ether 용액
4) Acetone
5) Methanol 용액
<설명> Glycogen은 가수분해성이 있으므로 무수 고정액을 썼야한다. Ether이나 Acetone은 Lipase와 Phosphatase와 같은 효소 등의 조직화학적 검사시 고정액으로 사용하나 Glycogen은 보존하지 못한다. 그리고 Methanol은 골수나 말초혈액 도말표본의 고정에 많이 사용하고, Wright's 염색 시에도 사용한다.
[답] 2.
<설명> 지방검출을 위한 조직표본은 일반표본제작 방법으로는 곤란하다. 그 이유는 지방분이 표본제작과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유기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방검출을 위한 조직표본제작은 고정 없는 동결절편법을 사용하거나 10% Formalin 용액에 고정한 후 동결절편법을 사용하여 만든다. 고정시 10% Formalin 용액외에 고정액은 동결과 지방용해에 문제가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답] 5.
35. 조직고정은 어느 온도에서 하는가 ?
1) 56℃ 2) 실온 3) -15℃ 4) -5℃ 5) 37℃
<설명> 조직고정은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실시하지만 가온진탕하면 촉진된다. 그러나 지나친 가온진탕은 조직에 손상을 주므로 않된다.
[답] 2.
36. 조직 고정과 동시에 지방이 검출되는 가장 좋은 고정액은 ?
1) Osmic acid 용액
2) 10% Formalin 용액
3) 95% alcohol 용액
4) Oil red O 용액
5) Ether alcohol 용액
<설명> Osmium tetraoxide( OsO4 )는 본래 노란색을 띠는 결정체로 물에 녹아 있는 상태를 Osmic acid라고 하며 지질과 만나면 환원되어 검은색을 나타낸다. 바로 이와같은 방식으로 조직내에 지질성분에 존재 유무를 조직고정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전자현미경학적인 고정액 으로도 만들어 쓴다. 그러나 인체에 해롭고 고가이다.
[답] 1.
37. 전자 현미경과 광학 현미경으로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고정액은 ?
1) Helly's 용액
2) Osmium tetraoxide 용액
3) Zenker's 용액
4) Bouin's 용액
5) Glutaraldehyde 용액
<설명> 전자 현미경학적 고정액으로 Glutaraldehyde 용액, Osmium tetraoxide 용액, Paraformaldehyde 용액 등이 있다. 특히 Glutaraldehyde 용액은 일반 Paraffin 포매법에도 사용할 수 있어 광학 현미경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고정액이다.
[답] 5.
<설명> 문제 28번 설명을 참고할 것. Carnoy's 용액에는 중크롬(Potassium dichromate)이 분명히 포함되어 있지않다.
[답] 5.
39. 다음 중 고정액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없는 것은 ?
1) Picric acid
2) Acetic acid
3) Osmium tetroxide
4) Formic acid
5) TCA (Trichloroacetic acid)
<설명> Picric acid , Acetic acid , Osmium tetroxide , TCA(Trichloroacetic acid) 등은 모두 고정제들이나 개미산(Formic acid)은 Formalin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고정제로서 사용할 수 없다.
[답] 4.
40. 다음 중 Formalin을 포함하지 않는 고정액은 ?
1) Carnoy's 용액
2) Bouin's 용액
3) Susa 용액
4) Orth's 용액
5) Helly's 용액
<설명> 문제 28번 설명을 참고할 것. Carnoy's 용액에는 분명히 Formalin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답] 1.
41. 다음 중에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고정액은 ?
1) Carnoy's 용액
2) Bouin's 용액
3) 소독용 Alcohol 용액
4) Formalin 용액
5) Zenker's 용액
<설명> 문제 28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42. 다음 중 침생검(Needle biopsy)를 할수 있는 조직은 ?
a) 간 b) 위 c) 자궁 질부 d) 신장 e) 골수
1) a,b,c 2) a,b,d 3) a,d,e 4) b,c,d 5) c,d,e
<설명> 침생검(Needle biopsy)을 할 수 있는 장기는 주로 실질 장기들로서 간, 신장, 골수, 림프절, 전립선, 갑상선 등의 조직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밖에 협절생검(Punch boiopsy)은 절제겸자를 사용하여 조직표면에서 소편을 절취하는 것으로 피부, 자궁경부, 비인강, 구강, 후도, 기관 지, 식도, 위, 십이지장, 내장 등 광범위한 부위에서 점막을 채취하는 것이고, 시험소파(Scraping or Curetting)은 Curet을 사용하여 조직을 소파하여 절제하는 것으로 자궁내막의 채취에 이용한다. 그리고 시험절제는(Incision or Excision) 은 외과용 칼을 사용하여 국소 조직편을 절제하 는 것으로 피부나 점막의 표면조직, 림프절 등의 채취에 이용한다.
[답] 3.
43. 영구 보존을 위한 Kaisering 용액의 성분이 아닌 것은 ?
1) Potassium acetate
2) Glycerol
3) Potassium nitrate
4) Sodium arsenate
5) Potassium dichromate
<설명> Kaisering 용액 No. 1은 Formalin , Potassium nitrate, Potasium acetate와 물로 만들어져고, Kaisering 용액 No. 2은 95% Ethyl alcohol로만 만들졌다. 그리고 Kaisering 용액 No. 3은 Potasium acetate , Glycerol, Sodium arsenate와 물로서 만들어 큰 조직이나 장기를 박물용이나 교육용으로 영구 보존하기 위해 사용한다.
[답] 5.
44. Kaisering 용액의 용도는 ?
1) 안구 고정
2) 큰 조직의 영구보존
3) 혈구의 보존
4) 탈회
5) 부드러운 조직의 고정
<설명> Carnoy's 고정액의 성분 중 Acetic acid가 있기 때문에 적혈구가 파괴된다. 따라서 조혈기관의 표본제작에는 Carnoy's 용액에 사용을 금해야한다.
[답] 2.
50. 조직표본을 위한 고정액으로서 결점 요인이 되는 것은 ?
1) 값이 싼것
2) 가열하면 gas가 발생되는 것
3) 안정성이 있을 것
4) 조직에 대한 침투력이 늦을 것
5) 손쉽게 구할 수 있을 것
<설명> 문제 4번 설명을 참고 할 것.
[답] 4.
51. 생체에서 절제된 가검물을 고정액에 즉시 투입하여야 하는 이유는 ?
1) 조직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조직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수술실의 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4) 관습상 그렇게 하기로 되어 있어서
5) 가검물 주위의 혈액을 씻어 내기 위하여
<설명> 일반적으로 가검물을 고정액에 즉시 투입하여야 하는 이유는 각 종 효소에 의한 자가용해나 미생물에 의한 부패로 인한 조직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생검하여 고정액에 옮길 때 까지의 시간은 임의로 할 수 있으나 부검시는 여러 가지 사정으로 시간적 간격이 수시간에서 수십시간을 경과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온에서 사후 12 시간이 경과하면 좋은 표본은 기대할 수없다. 자가융해가 빠른 췌장, 비장, 소화관에서는 더욱 기대할 수없다. 통상 여름에는 6시간, 겨울는 12시간 이내가 적당하다. 그리고 수술실에서 즉시 병리과로 옮길 수 없을 때, 연구자료로 천연색 사진촬영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4-6℃되는 냉장고 두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영하 10-20℃에 저장하여 동결된 조직은 흐르는 냉수에 넣어 해빙 후 고정액에 옮겨야한다.
[답] 2.
<설명> 일반적으로 5% Acetic acid 용액, Bouin's 용액, 그리고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포함된 Carboxyl(COOH)기는 조직을 이완 팽창시킨다. 반면 Alcohol은 조직을 심하게 수축시켜 찌그러 뜨리기 쉽다. 따라서 조직괴가 작아야 한다. 중성 Formalin 용액은 조직에 이완과 수축이 최소화되도록 제조된 가장 무난한 고정액이다.
[답] 1.
54. 절편내에 Formalin 색소가 있다면 제거는 무엇으로 하는가 ?
1) 1% KOH 1 vol : 80% alcohol 100 vol 혼합액으로 한다
2) Acetone으로 한다
3) Alcohol picric acid 포화액으로 한다
4) 무수 Alcohol-Aniline 포화액으로 한다
5) 초산 Alcohol로 한다
56. 조직을 너무 오래 고정하면 어떤 결과가 생기는가 ?
1) 융해시키는 결과
2) 부패시키는 결과
3) 핵을 소실시키는 결과
4) 염색성을 양호하게하는 결과
5) 염색성을 악화시키는 결과
<설명> 고정액에 오래 고정하면 조직내에 적혈구나 여러 가지 화학물질들이 고정액과 화학반응을 일이켜 많은 이물질들이 생성되기 쉽다. 바로 이같은 이물질들이 염색시 염색성을 악화시키는 결과가 된다.
[답] 5.
57. 일반표본제작에 쓸 고정액의 선택에 있어 고려될 조건이 아닌 것은 ?
1) 조직의 종류
2) 예상되는 병변
3) 예정한 염색
4) 고정 시간
5) 고정액의 색
<설명> 일반표본제작(Routine section)에 쓸 고정액은 반드시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즉 1) 조직의 종류 2) 예상되는 병변 3) 예정한 염색 4) 예상되는고정 시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답] 5.
Ⅱ. 수세( Washing )
1. 수세의 목적을 잘 설명한 것은 ?
1) Formalin에 의해 착색된 조직에서 색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한다
2) 조직 중에 탈 Formalin을 위해 실시한다
3) Paraffin 침투를 잘 되게 하기 위해 실시한다
4) 염색을 잘 하기 위해 실시한다
5) 핵의 숙성을 위해 실시한다
<설명> 수세는 고정이 끝난 후 조직에 묻거나 남아 있는 고정액을 제거하고(탈 Formalin), 조직성분과 고정액 사이에 있을 수 있는 화학반응에 의해 생긴 이물질들(Formalin pigments)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방법은 실온에서 Tissue capsule을 담은 비커에 물을 12-24시간 동안 계속 떨어뜨려 넘쳐 흐르게 하면 된다.
[답] 2.
2. 수세 도중 조직이 물 위로 뜨면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가?
1) 핀으로 바닥에 고정 한다
2) 무거운 물체를 매달아 둔다
3) Tissue capsule에 넣는다
4) 조직에 여러개의 침을 꽂아 넣는다
5) 여러개를 뭉쳐서 무겁게 한다
<설명> 수세에 제일 안전한 방법은 조직을 Tissue capsule에 넣어 실시하는 것이다.
[답] 3.
Ⅲ. 탈회(Decalcification)
1. 탈회시 조직의 고정은 어떻게 실시하나 ?
1) 탈회 후 실시함
2) 탈회 전 실시함
3) 탈회 전 후와는 상관없음
4) 고정은 필요시만 실시함
5) 원칙적으로 고정을 실시하지 않음
<설명> 탈회(Decalcification)란 Ca++이온이 조직내 침전되어 단단해진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표본을 만들어야 할 경우에만 해당되는 과정으로 조직내 침전된 Ca++이온을 제거하여 조직을 부드럽게 만들어 표본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탈회시 대상 조직은 반드시 고정을 하고 난 후 수세하여 실시한.
[답] 2.
2. 탈회 조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조직편은 탈회 전에 10% Formalin 용액에 고정한다
2) 탈회하는 조직편은 크고 두꺼운 것이 좋다
3) 탈회액은 매일 신선한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4) 탈회 전에 탈지 처리를 하여야 한다
5) 골편은 탈회액의 2/3 되는 중앙에 치실 (Dental floss)로 달아 맨다
<설명> 탈회시 대상 조직은 고정을 하고 가온 탈지를 약 1 분간 실시한 후에 실시하느 것이 좋다. 그것은 뼈와 같은 조직에는 지방이나 지질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탈회액의 침투가 지장을 받을 우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탈회를 촉진키 위한 것이다. 뼈 조직편은 작고 두께는 5mm 이하인 것이 좋고, 절취에는 Fine saw(톱이가 조밀한 톱)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탈회액의 량은 조직크기의 약 20배를 붓고, 골편은 꺼즈에 싸서 탈회액의 2/3되는 중앙에 치실 (Dental floss)로 달아 맨다. 조직학적인 탈회에는 산성 탈회법 외에도 전기, 이온교환수지, 방사선 탈회법 등이 있으나 전기탈회는 근본적으로 산성탈회법에 의해 빠져나온 Ca++이온을 전기을 통해 음(-)극으로 모이게 하여 뼈를 단 양극( + )쪽의 탈회액에 신선도를 계속 유지토록하여 주므로서 탈회가 촉진토록한 것이며, 이온교환수지법에 의한 탈회 또한 산성탈회법에 의해 빠져나온 Ca++이온을 Ca++이온 만을 흡수할 수 있는 특수 수지를 이용하여 흡수하여 주므로서 탈회액의 신선도를 계속 유지토록하여 탈회가 촉진토록한 것이다. 결국 전기탈회든 이온교환수지탈회든 모두가 산을 이용하여 불용성의 Ca++이온을 가용성의 Ca++이온으로 만들어 제거하는 산성탈회법의 원리를 이용하기는 마찬가지인 것이다. 방사선 탈회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Ca++이온을 직접 깨뜨리는 방법이다. 조직효소학적인 탈회에는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방법과 EDTA의 게발반응(Chelating reaction)에 의한 방법이 있다. 탈회액은 매일 신선한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좋다.
[답] 2.
3. 탈회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
1) 조직편은 탈회 전에 잘 고정해야 한다.
2) 조직편은 너무크고 두껍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조직편을 탈회액의 하층에 두면 탈회가 빠르다.
4) 탈회액은 탈회가 완료될 때까지 매일 갈아 주도록 한다.
5) 가온 진탕하면 탈회는 촉진된다.
<설명> 문제 1번과 2번의 설명을 참고할 것. 조직편을 탈회액의 하층에 그냥 나두면 탈회에 지장을 주어 오히려 탈회가 느려진다.
[답] 3.
4. 다음 중 탈회 조작에 대해서 잘못 설명한 것은 ?
1) 고정이 불충분한 조직은 팽창이나 위축 등의 장해가 있다
2) 탈회 시간은 가능한 한 짧은 것이 좋다
3) 탈회 전 고정액으로 10% Formalin 용액을 사용하면 안된다
4) 탈회가 완료되면 중화를 해야한다
5) 탈회에는 전기나 이온교환수지 방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설명> 문제 2번 설명을 참고할 것. 탈회시 고정액으로 10% Formalin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 정이 불충분한 조직은 팽창이나 위축 등의 장해가 있다. 그리고 탈회 시간은 가능한 한 짧은 것이 좋고, 탈회가 완료되면 중화를 해야 조직의 손상을 막고 염색성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답] 3.
5. 탈회는 언제 하는가 ?
1) 조직 절제 후 탈회한다.
2) 고정 후 탈회한다.
3) 탈수 후 탈회한다.
4) 아무때나 한다.
5) 박절 후 탈회한다.
<설명> 문제 2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6. 다음 중 조직의 탈회법이 아닌 것은 ?
1) 5% 질산(Nitric acid) 탈회법
2) 이온교환수지(Ion-exchange resin) 탈회법
3)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탈회법
4) 방사선 탈회법
5) 5% Trichloracetic acid(TCA법) 탈회법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산성 탈회법에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5% Nitric acid 법과 조직에 가장 적은 손상을 주는 5% Formic acid 법 그리고 치아와 같은 단단한 뼈에 좋은 5% Trichloracetic acid 법(TCA법)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 외에도 1% Chromic acid 법, 3% Hydrochloric acid 법 등이 있으나 이들은 단순 탈회액으로 사용히기는 어렵다. Ion-exchange resin 법, 방사선 탈회법은 탈회법이나 Electrophoresis 법은 전기 영동분석법으로 단백질과 같은 물질들을 전기적으로 분획 분석하는 방법으로 탈회법이 아니다.
[답] 3.
8. 탈회액을 교환해 주는 시기는 ?
1) 매시간 2) 매일 3) 매주 4) 12시간 마다 5) 48시간 마다
<설명> 문제 2번 설명을 참고할 것. 탈회액을 교환해 주는 시기는 석회화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매일 신선한 것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답] 2.
9. 산을 써서 탈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
1) 12-24시간 2) 3-4시간 3) 1주일 4) 10-14시간 5) 3-4일
<설명> 산을 사용해 탈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3-4일 정도로 잡고있으나 이 시간은 조직의 종류와 석회화 정도에 따라 다르다.
답] 5.
10. 다음 증 탈회용액이 아닌 것은 ?
1) Formic acid 용액
2) Picric acid 용액
3) Nitric acid 용액
4) Acetone 용액
5) Trichloracetic acid 용액
<설명> 문제 2번과 6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11. Nitric acid나 Trichloracetic acid 로 탈회할 때 탈회하기 전에 어떻게 처리하나 ?
1) 고정하고 Alcohol로 탈지한다.
2) 전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3) Paraffin 포매를 한다.
4) 가열한다.
5) Xylol으로 깨끗하게 한다.
13. 탈회후 중화제로 쓰이는 것은 ?
1) LiCO3 2) CaCO3 3) MgCO3 4) Na2CO3 5) (NH4)2CO3
<설명> 탈회후 중화제로 쓰이는 것은 Lithium carbonate(LiCO3)다.
CaCO3, MgCO3, Na2CO3 은 Formalin 용액의 중화제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답] 1.
14. 탈회를 아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 바늘로 찔러본다
2) 손끝으로 눌러본다
3) 예리한 면도날로 짤라본다
4) 탈회액에 Ammonium hydroxide와 Ammonium oxide를 가해본다
5) CO2기포 검사법을 사용해서는 않된다
<설명> 탈회를 아는 방법에는 물리적인방법으로는 바늘로 찔러보고, 손끝으로 눌러보고,그리고 예리한 면도날로 짤라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쉽고 간편하지만 많은 실험적 경험이 필요하다.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탈회액에 Ammonium hydroxide와 Ammonium oxide를 가해 탈회액의 탁도가 Cloudy하면 탈회가 덜된 것이고, MiIky하면 탈회가 완료된 것이다. 그리고 산성 탈회시 CO2가스가 발생되므로 CO2 기포 검사법을 사용해서 탈회완료 유무를 알 수도 있고, 그 밖에 방사선 촬영을 이용해서 알 수도 있다.
[답] 5.
Ⅳ . 탈 수( Dehydration )
1. 탈수란 무엇인가 ?
1) 고정된 조직에 물을 가하는 것
2) 고정된 조직에서 추출될 수 있는 물을 제거 시키는 것
3) 고정시키지 않은 조직에 물을 첨가시키는 것
4) 고정된 조직에서 여분의 Formalin을 제거시키는 것
5) 고정된 조직에 투명제를 가하는 것
<설명> 탈수란 고정된 조직내에서 추출될 수 있는 물, 즉 조직간극내에 있는 유리수를 제거 시키는 것으로 이는 조직간극내에 지주제인 비 수용성인 Paraffine을 넣기 위한 전처치로 그 방법으로는 탈수제에 하나인 Alcohol을 이용하여 저농도의 Alcohol( 70% )로 부터 고농도의 Alcohol( 100% ) 로 조직괴를 옳기면 물과 Alcohol 간의 교반현상에 의하여 조직간극내에 있는 유리수가 100% Alcohol로 대치 되어진다. 이 때 조직간극내에 남아 있는 수분이 3-4% 이하 일때 만족할 만한 탈수라 할 수 있다.
[답] 2.
2. 만족한 탈수란 ?
1) 조직에 남아있는 수분이 5-6% 이하 일때
2) " 6-7% "
3) " 7-8% "
4) " 3-4% "
5) " 8-9% "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4.
3. 탈수에 가장 안전한 온도는 ?
1) 실온 2) 100℃ 3) 50℃ 4) -50℃ 5) 37℃
<설명> 탈수 역시 고정과 마찬가지로 가온 진탕하면 빨라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반적인 경우 모두 실온에서 실시한다.
[답] 1.
4. 탈수제로 쓸 수 없는 것은 ?
1) Methanol 2) Acetone 3) Tetrahydrofuran 4) Glycerin 5) Dioxane
<설명> 탈수제에는 Ethanol, Methanol, Acetone, Isoprophyl alcohol, Tetrahydrofuran, Dioxane Cellosolve 등이 있으며 특히 Tetrahydrofuran, Dioxane, Cellosolve는 탈수와 투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Universial solvent들이다.
[답] 4.
<설명> Alcohol 을 통과시키는 순서는 70% 이상의 Alcohol로부터 시작하여 고농도의 Alcohol로 옮기면 조직의 유리수와 교반현상에 의하여 조직간극내에 Absolut alcohol 이 대치된다. 이 때 각 단계의 농도에 대한 엄격한 규정은 없으나 뒷 단계의 농도가 앞 단계의 농도 보다 반드시 높아야 한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시간에도 엄격한 규정은 없다. Alcohol 교환은 첫 단계만 버리고 나머지 것은 한 단계씩 위로 올여 사용하고 마지막 Absolut alcohol만 새 것으로 갈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답] 2.
6. 마지막 탈수제로 무수 알콜을 사용하고 난 후 조직에 처리는 ?
1) Paraffin을 침투시킨 후 Alcohol을 제거하기 위해 투명시킨다
2) Formic acid로 침투시키기 전에 투명시킨다
3) Cellosolve로 침투시킨 후에 투명시킨다
4) Paraffin 침투전에 보통 Xylol로 투명시킨다
5) Paraffin 침투후에 보통 Xylol로 투명시킨다
<설명> 마지막 탈수제로 무수 알콜을 사용하고 난 후 즉 탈수가 끝난 후 조직은 투명과정인 Xylol로 옮겨져야 한다.
[답] 4.
7. Dioxane과 관계가 먼 것은 ?
1) 화학명칭은 1:4 Diethylene dioxide이다
2) Paraffin 포매에 사용하는 탈수제이다
3) Paraffin과 수분에 모두 혼합된다
4) Paraffin에는 혼합되나 물에는 혼합되지 않는다
5) 인체에 매우 해롭다
<설명> Dioxane은 Tetrahydrofuran, Cellosolve와 같이 탈수와 투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Universial solvent로 Paraffin를 녹이고 물과도 혼합될 뿐 아니라 Alcohol, Xylol, 등과도 혼합된다. 굴절율은 1.42이고, 비등점은 101.5℃이다.
[답] 4.
8. Dioxane 은 다음 중 무엇과 혼합될 수 있나 ?
1) Paraffin
2) 5% Formic acid 용액
3) 10% Formalin 용액
4) Bouin's 용액
5) Acetic acid
<설명> 문제 7번의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9. Dioxane의 최단점 ?
1) 인체에 해롭다
2) 큰 방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3) 환기가 잘된 방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4) 작은 방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5) 값이 비싸다
<설명> Dioxane의 단점은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환기가 잘된 방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값이 비싼 것 등이다. 최단점은 무엇 보다도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다.
[답] 1.
10. 탈수와 투명을 동시에 하는 것은 ?
1) Diethylene dioxide 2) Alcohol 3) Acetone 4) Toluene 5) Xylol
<설명> Dioxane의 화학명칭이 1 : 4 Diethylene dioxide이며 탈수와 투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화학제이다.
[답] 1.
Ⅴ. 투 명 (Clearin)
1. 투명이란 ?
1) 조직이나 조직표본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는 것
2) 조직과 조직표본의 투명도를 감소 시키는 것
3) 조직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는 것
4) 조직표본의 투명도만 감소시키는 것
5) 조직이나 조직표본의 투명도와는 관계가 없다
<설명> 투명이란 탈수과정을 통과한 조직이나 조직표본에 떨어진 굴절율을 회복시켜 주는 과정으로 조직표본제작과정 중에 두 번 있게 된다. 1) 탈수과정과 침투과정 사이에 있는 투명과정은 실제 조직의 투명도와는 관계없이 조직간극내에 지주제인 Paraffin을 넣기 위해 투명제 즉 Alcohol과 혼합 할 수 있고 지주제인 Paraffin를 녹일 수 있는 Xylol을 사용하여 물 대신 들어간 Alcohol을 Xylol로 대치시키는 과정이다. 다만 이 과정을 통과시키면 Xylol이 가지는 굴절율이 1.50 정도로 이는 인체가 가지는 단백질의 굴절율과 거의 같아 탈수로 인해 잃어던 굴절율이 회복되어 조직이 밟게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첫 번째 투명 과정의 의미는 그 과정의 내용과는 다르다. 2) 염색과정에서 염색된 표본을 탈수시킨 후 첫 번째 투명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염색 후 탈수로 인한 굴절율의 저하를 회복시켜야 조직현미경학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두 번째 투명 과정의 의미는 그 과정의 내용과 같다.
[답] 1.
2. 조직표본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번의 투명 과정을 거치는데 그것은 ?
1) 조직의 paraffin 침투 과정 전과 후에 있다
2) 조직의 탈수 과정 후와 염색된 후 탈수 과정 후에 있다
3) 조직의 탈수 과정 전과 후에 있다
4) 조직의 고정 과정 전과 후에 있다
5) 염색 후 탈수 과정 전과 후에 있다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3. 다음 중 투명제(Clearing agent)가 아닌 것은 ?
1) Celloidin 2) xylol 3) Benzene 4) Chloroform 5) Toluene
<설명> Celloidin은 비수용성 지주제 중에 하나다. 그리고 투명제(Clearing agents)에는 Xylol, Benzene, Chloroform ,Toluene, Cedar wood oil, Carbon bisulfide, Clove oil 등이 있고, Universal solvent들에 속하는 Dioxane, Tetrahydrofuran, Cellosolve 등이 있다.
[답] 1.
4. 조직검사시 투명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
1) Toluene 2) Xylol 3) Formalin 4) Benzene 5) Chloroform
<설명> 문제 3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5. Paraffin을 조직에 넣기 전에 투명제(Clearing agent)에 넣는 이유는?
1) Alcohol 제거
2) Formalin 제거
3) 수분 제거
4) 침착색소 제거
5) Xylol 제거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투명과정은 간단히 말하자면 Alcohol을 제거하고 대신 Xylol을 침투시켜 지주제인 Paraffin을 넣기 위한 전처치 과정이다.
[답] 1.
6. 다음 보기 중 투명제와 관계가 먼 것은 ?
1) xylol 2) Benzene 3) Formalin 4) Dioxane 5) Chloroform
<설명> 문제 3번, 4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7. 다음 중 조직내 paraffin을 제거할 때 쓰이는 것은 ?
1) Xylol 2) Agar 3) Gelatin 4) Nitric acid 5) Alcohol
<설명> 투명제는 반드시 alcohol과 혼합되고, 지주제를 녹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Xylol 만이 투명제이다.
[답] 1.
8. 조직절편을 만듬에 있어 Xylol이 제거하는 물질은 ?
1) 물기와 Alcohol
2) Paraffin과 Alcohol
3) 색소와 Paraffin
4) Alcohol과 색소
5) Paraffin과 색소
<설명> 문제 7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9. Xylol 투명제에 대하여 틀리는 것은 ?
1) 비점이 137-140℃이다
2) 탈 알콜이 신속하다.
3) 오랜 시간 동안 침투시켜도 지장이 없다.
4) wax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5) 투명시 조직이 갈색을 나타낸다.
<설명> 투명제인 Xylol은 조직을 심하게 수축시키므로 오랜 시간 동안 침투시키면 조직이 경화되어 박절시 부스러지기 쉽기 때문에 긴 시간을 요구하는 큰 조직, 긴 조직, 큰 덩어리, 얇은 조직 단단한 조직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따라서 조직괴의 크기는 4 - 5 ㎜ 정도가 합당하다. Xylol은 굴절율이 1.50이면서 비점이 137-140℃이여서 안전성 좋고, 탈 알콜이 신속하며, wax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조직 투명시 조직이 갈색으로 나타나 투명도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들이 있다.
[답] 3.
10.투명제(Clearing agent)로서 Xylol은 Chloroform 보다 ?
1) 조직을 수축시키기 쉽고 경화시킬 염려가 있다.
2) Alcohol 제거 작용이 더딤으로 장시간을 요한다.
3) 비점이 낮아 조직이나 Paraffin에서 잘 날라간다.
4) 비점낮다.
5) 조직을 수축시키기 않아 경화시킬 염려가 없다
<설명> 문제 9번 설명을 참고할 것.
11. Cellodine에 좋은 투명제는 ?
1) Benzene
2) Chloroform
3) Cedar wood oil
4) Ether-alcohol
5) Carbo-Xylol
<설명> Cellodin은 먼저 Ether에 녹이고난 후 동량의 Alcohol로 녹여 사용한다. 따라서 Cellodin을 침투시키려면 투명은 Ether-alcohol를 사용하여야 한다.
[답] 4.
12. Celloidin 포매시 투명제는 ?
1) 여러가지 투명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Dioxane만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Celloidin을 용해시키는 투명제만 사용할 수 있다
4) 투명제가 아닌 것도 사용할 수 있다
5) Xylol만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설명> 문제 1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13. Acetone으로 탈수시킨 조직은 다음 어디로 옮겨야 하나 ?
1) 침투 전에 Alcohol로 투명시켜야 한다.
2) 침투 전에 Ether로 투명시켜야 한다.
3) 침투 전에 Dioxane으로 투명 시켜야 한다.
4) 침투 전에 Paraffin 용매제로 투명시켜야 한다.
5) 침투 전에 Cellosolve로 투명시켜야 한다
<설명> Alcohol 이나 Acetone이나 간에 탈수시킨 조직은 지주제를 녹일 수 있는 용매로 투명시켜야 한다. 이 문제에서 Alcohol과 Ether은 투명제가 아니고, Dioxane과 Cellosolve는 탈수와 투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미 탈수된 조직에는 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침투 전에 paraffin 용매제로 투명시켜야 한다가 답이 되겠다.
[답] 4.
14. 봉입 전에 쓰이는 투명제는 ?
1) Xylol 2) Canada balsam 3) Pernout 4) Apath gum 5) Ether
<설명> Canada balsam , Permout , Apath gum 등은 봉입제이고,
Ether은 투명제가 아니다.
[답] 1.
15. Paraffin 포매를 위한 과정 중 투명제로서 적당한 것은 ?
1) Paraffin과 탈수제에 혼합되지 않는 것
2) Paraffin과 탈수제에 조금만 혼합 되는 것
3) Paraffin과 탈수제에 혼합이 잘 되는 것
4) Alcohol에만 혼합되는 것
5) Paraffin에만 혼합되는 것
<설명> 문제 1번, 7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16. 투명이 않되는 조직 처리는 ?
1) 함수를 시킨 후 다시 탈수를 한다
2) 계속 투명 시킨다
3) 수세 과정부터 시작한다
4) 탈수부터 다시 한다
5) 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설명> 투명이 않되는 조직은 일단 탈수가 불충분해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따라서 조직처리는 탈수과정 반대, 즉 고농도 Alcohol에서 저농도 Alcohol로 진행(함수) 시킨 후 다시 탈수를 한다.
[답] 1.
17. 조직을 투명제에 장시간 두면 ?
1) 연하여 잘 절편된다
2) 단단하여 잘 절편된다
3) 단단하여 잘 부스러진다
4) 연하여 절편이 안된다
5) 장시간 두어도 아무런 영향이 없다
<설명> Xylol에 장시간 두면 Xylol은 조직을 수축경화시켜 절편시 잘 부스러지므로 투명시 주의하여야 한다.
[답] 3.
18. Xylol에 투명한 조직의 변화는 ?
1) 회색 2) 적색 3) 적갈색 4) 흑색 5) 황색
<설명> Xylol에 투명한 조직은 적갈색의 변화를 보여 그 투명도를 알 수 있는 점이 Xylol에 장점 중의 하나다. 그밖에 Xylol은 탈 Alcohol 작용이 빠르고, 비점(137-140℃)이 높아 화제우려가 적고, 값이 싸고, Paraffin를 잘 녹이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Xylol은 물과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탈수시 100% Alcohol까지 통과시킨 후 투명을 시켜야하는 점, 조직을 심하게 수축시키는 점 등에 단점이 있다. 그리고 Toluene, Benzene, Chloroform 과 같은 투명제들은 Xylol보다 조직을 심하게 수축시키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비점이 낮고, 독 까스가 발생되어 인체에 매우 해로운 단점이 있다. Cedar wood oil은 95% 까지만 탈수를 시켜도 투명이 가능하고, 조직에 대한 수축력이 매우 약해 장시간의 투명을 요구하는 피부, 뼈, 큰 조직. 단단한 조직, 섬세한 조직과 같은 조직들의 투명에는 좋다. 그러나 2-3 주간의 긴 시간이 요구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답] 3.
19. 좋은 투명제의 특징은 ?
1) Aniline 색소를 녹이지 않아야 한다
2) 속히 절편을 맑게 해야 한다
3) 속히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4) 천천히 투명하게 해야 한다
5) 비점이 낮을 수록 좋다
<설명> 좋은 투명제는 Aniline 색소를 녹여야하고, 속히 절편을 맑게할 수 있어야 한다.
[답] 2.
Ⅵ. 침 투( Impregnation, Infilteration )
1. 침투과정 이란 ?
1) 조직의 공간에 Alcohol을 넣는 과정이다
2) 조직에서 지방질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3) 조직 공간에 Paraffin을 넣는 과정이다
4) 조직내에 수분을 넣는 과정이다
5) 조직내에서 Xylol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설명> 침투과정이란 조직 간극 내에 지주제을 넣는 과정으로 Paraffin 이 지주제인 경우 Paraffin의 융점이 56℃-58℃이므로 Paraffin의 융점 보다 2℃-3℃가 높은 60℃가 되는 Paraffin oven에 3개의 비커를 준비하여 NO. 1에는 Xylol + 연 Paraffin, NO. 2에는 연 Paraffin, NO. 3에는 경 Paraffin을 담아 녹여 각각 약 1 시간 정도 간격으로 NO. 1에서 NO. 3 까지 조직괴를 옮기면 침투가 완료된다.
[답] 3.
2. 침투에 합당지 않는 것은 ?
1) Paraffin oven에서 실시한다
2) 항상 실온에서 실시한다
3) 60℃ 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4) 보통 3 단계로 나누어 실시한다
5) Paraffin의 융점보다 2℃-3℃ 높은 곳에서 실시한다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3. Paraffin 부란기의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
1) Paraffin 융점 보다 2℃-3℃ 높게 한다
2) 실온보다 3℃ 높게 한다
3) 56℃되게 한다
4) 58℃되게 한다
5) Paraffin융점 보다 2℃-3℃ 낮게한다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4. 불충분한 침투의 원인이 아닌 것은 ?
1) Paraffin이 너무 뜨거울 때
2) Paraffin에 너무 짧게 두었을 때
3) 탈수, 탈지, 탈알콜이 불충분할 때
4) Xylol+ 연 Paraffin 혼합액에 넣었을 때
5) 투명이 불충분할 때
<설명> 침투과정의 1단계는 원래 Xylol+연 Paraffin 혼합액에 넣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므로 불충분한 침투의 원인이 될 수 없다
[답] 4.
5. 다음 중 수용성 침투제인 것은 ?
1) Paraffin 2) Celloidin 3) Gelatin 4) Pyroxylin 5) Nitrocellulose
<설명> 침투제에는 수용성 침투제인 1) Polyethylene glycol(Carbo-wax의 회학명칭), 2) Gelatin, 3) Agar 등이 있으며 비 수용성 침투제에는 1) Paraffin, 2) Celloidin, 3) Pyroxylin, 4) Nitrocellulose 등이 있다.
[답] 3.
6. 다음 중 비 수용성인 침투제는 ?
1) Pyroxylin 2) Carbo-wax 3) Polyethylene glycol 4) Gelatin 5) Agar
<설명> 자동침투기는 탈수, 투명, 침투, 포매에 이루는 과정을 기계가 자동으로 진행시켜 주도록 만들어진 침투기구로서 야간작업이 가능해 표본제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정전이나 기계고장 시에는 쓸 수 없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항시 가동상태로 Power을 켜 놓아야 하므로 전기소모가 크고, 항시 Power을 켜놓기 때문에 생기는 열에 의한 시약소모나 화제 위험도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자동 침투기 사용시 주의 할 점들은 1) 비커에 용액을 적당히 채워야 할 것, 2) 온도 조절 장치는 Paraffin 융점보다 항시 2℃-3℃ 높게 고정시킬 것, 3) 용기 밖으로 유출된 용액은 반드시 닦을 것, 4) 시작전 Timer을 고정하고 반드시 확인할 것, 5) Paraffin의 용융상태를 확인할 것 등이다..
[답] 3.
8. 자동침투기 사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1) 비커에 용액을 적당히 채워야 한다
2) 온도 조절 장치는 Paraffin 융점 보다 항시 2℃-3℃ 낮게 고정시켜야 한다
3) 용기 밖으로 유출된 용액은 반드시 닦아야 한다
4) 시작전 Timer을 고정하고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5) Paraffin의 용융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설명> 진공침투법은 주로 크거나, 단단하거나, 섬세하거나, 치밀한 조직들 즉 Skin, Brain, Eye, Bone, Lung, Uterus와 같은 조직들의 침투에 좋다. 이들 조직들은 수동침투법(자연 상태)으로는 침투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긴 시간을 요구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조직의 수축 경화를 심하 게 만들어 박절시 부스러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상태로 만들어 침투시키면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고, 조직 구석구석 고루 침투제를 침투시킬 수 있어 좋다.
[답] 3.
10. 수동침투법에 맞지 않는 것은 ?
1) 큰 조직을 침투시켜야 할 때
2) 침투과정을 신속히 진행 시켜야 할 때
3) 갑자기 정전이나 기계 고장이 났을 때
4) 작은 조직을 적당한 시간에 맞추어 침투시켜야 할 때
5) 큰 조직을 급히 침투시켜야 할 때
<설명> 수동침투법은 주로 1) 침투과정을 신속히 진행 시켜야 할 때, 2) 갑자기 정전이나 기계 고장시, 3) 작은 조직을 적당한 시간에 맞추어 침투시켜야 할 때, 4) 큰 조직을 급히 침투시켜야 할 때에 유용하다. 이것은 모든 과정을 사람의 손으로 실시 하는 것으로 기계와 달이 시간의 융통성을 밝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의 경화를 줄일 수 있어 박절시 어려움을 덜 수 있고, 가연성, 휘발성 및 경제력 낭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큰 조직을 침투시켜야 할 때는 수동침투법은 합당치 않다 그 이유는 7번, 9번 문제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11. 수동침투법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침투시간의 융통(조절)이 가능하다
2) 박절의 어려움을 덜 수 있다
3) 조직의 경화를 줄일 수 있다
4) 염색의 결과를 보다 증진 시킬 수 있다
5) 가연성, 휘발성, 및 경제력 낭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설명> 문제 10번 설명을 참고할 것. 어떤 침투법과도 염색의 결과는 무관하다.
[답] 4.
12. 침투시간은 조절되어야 한다. 이때 고려되지 않아도 될 사항은 ?
1) 조직의 크기
2) 조직의 두께
3) 염색의 종류
4) 조직의 경도
5) 조직의 종류
<설명> 침투시간은 1) 조직의 크기, 2) 조직의 두께, 3) 조직의 경도, 4) 조직의 종류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그러나 염색의 종류와 침투시간은 무관하다.
[답] 3.
13. Celloidin의 침투는 어디서 실시하나 ?
1) 실온에서 실시한다
2)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3) 냉장고에서 실시한다
4) 부유 온수조에서 실시한다
5) 60℃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설명> Celloidin의 침투는 Alcohol-Ether 동량 혼합액으로 12% Celloidin용액을 만들어 저장용액으로 하고 이를 희석하여 8% Celloidin용액을 만들고 또 이를 희석하여 4% Celloidin 용액을 만들어 4%, 8%, 12% 순으로 실온에서 침투시킨다.
[답] 1.
14. Carbo-wax의 침투는 어디서 실시하나 ?
1) 60℃ 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2) 40℃ 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3) 실온에서 실시한다.
4) 57℃ 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5) 35℃ 되는 부란기에서 실시한다.
<설명> Carbo-wax는 수용성 침투제로 고정 후 수세하고 바로 침투시킨다. Carbo-wax의 침투는 분자량에 따라 경도가 달라 분자량이 200-1,000 정도는 액체상태이며, 1,500은 Vasellin 상태이고, 4,000 이상은 경 Paraffin 상태로 약 50℃-55℃의 융점을 갖기 때문에 57℃되는 부란기에서 분자량이 1,500인 것은 2단계를 만들어 각각 30분 씩 침투시키고, 4,000 인 것은 1단계를 만들어 1시간 동안 침투시킨 후 분자량이 4,000인 것으로 포매한다.
[답] 4.
<설명> 일반적으로 Paraffin 포매를 위해 따로 탈지나 탈수를 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하자면 고정시 Alcohol이 포함된 고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문한한 방법 일 것이다.
[답] 3.
2. Paraffin 포매시 투명제로 사용되는 것은 ?
1) Potassium acetate 2) Ether 3) Xylol 4) Dioxane 5) Benzene
<설명> Paraffin 포매시 투명제로는 Xylol 외는 거의 다른 투명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없다. 그것은 Xylol이 그만큼 탈Alcohol과 Paraffin의 용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답] 3.
3. Paraffin 포매에 적당한 조직편의 두께로 맞는 것은 ?
1) 1mm 2) 3-5mm 3) 8-10mm 4) 15mm 5) 15-20mm
<설명> Gross cutting시 절편의 크기인 1 x 2 x 0.4 cm, 즉 4 mm의 두께가 일반적으로 가장 합당한 크기다.
[답] 2.
4. 다음 중 조직 포매 제작에 사용되는 포매제는 ?
가. Paraffin 나. Celloidin 다. Egg albumin 라. Carbo-wax 마. Gelatin
1) 가.다 2) 가.다.라 3) 나.다.라.마 4) 가.나.라.마 5) 다. 라. 마
<설명> 조직 포매에 사용되는 포매제는 침투제와 동일해야 하므로 침투제와 마찬가지로 비수용성인 것과 수용성인 것이 있다. 비수용성인 것에는 Paraffin이나 Celloidin과 같은 것이 있으며, 수용성인 것에는 Carbo-wax나 Gelatin, Agar가 있다.
[답] 4.
5. 다음 포매법 중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얇은 절편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
1) Celloidin 포매법
2) 이중포매법
3) 동결절편법
4) Agar 포매법
5) Paraffin 포매법
<설명> 여러 포매법들 가운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간단 하면서도 얇은 절편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Paraffin 포매법으로 보통 5μ를 자르지만 약 3μ 까지도 자를 수 있다. Celloidin 포매법은 시간이 오래 걸일 뿐만 아니라 절편 두께도 10-30μ이하로 자르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중포매법은 Celloidin과 Paraffin으로 침투하고 Paraffin으로 포매하는 방법으로 매우 복잡하고 긴 시간을 요구하는 단점 이 있다. 동결절편법은 외과적 응급시(수술 중에 종양의 악성과 양성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나 조직화학적 검사(예: 지방검출이 필요한 경우) 및 조직효소학적 검사(Lipase, Phosphatase와 같은 효소 검출이 필요한 경우)시에 이용하는 표본제작 방법의 하나 이지만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표본은 영구표본으로 쓰기는 어렵다. 그리고 10-15 μ이하의 두께로 절편하기가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Agar 포매법이나 Gelatin 포매법과 같은 수용성 포매법들은 동결절편시 부서지기 쉬운 조직들을 침투, 포매하여 동결토록 하는데 이용되는 방법들이다.
[답] 5.
6. 포매제가 필요없는 경우는 ?
1) Celloidin 포매법을 쓸 때
2) 동결절편법을 쓸 때
3) Gelatin 포매법을 쓸 때
4) Paraffin 포매법을 쓸 때
5) Agar 포매법을 쓸 때
<설명> 동결절편법을 쓸 때는 -20℃ 이하에서 조직을 직접 동결시켜 바로 절편하기 때문에 포매제가 필요없다. 조직 간극내에 물이 얼어 지주제 역할을 하게된다,
[답] 2.
7. 포매에 쓰이는 Paraffin은 ?
1) 침투용 Paraffin과 융점이 같아야 한다
2) 매 24 시간 마다 바꾸어야 한다
3) 37℃의 융점을 갖고 있다
4) Acetone과 섞이는 것이라야 한다
5) Xylol에 녹지 않아야 한다
<설명> 문제 4번 설명을 참고할 것. 일반적으로 표본제작에 쓰이는 Paraffin의 융점은 56-58℃로서 그 융점 보다 2-3℃ 높아야 용해된다. 따라서 포매에 쓰이는 Paraffin 용액의 온도는 항시 60℃을 유지하여야 하고, 이는 침투용 Paraffin과 융점이 같아야 한다.
[답] 1.
8. 포매용 paraffin 용액을 용액상태로 보존하는데 가장 좋은 온도는 ?
1) 15℃ 2) 25℃ 3) 37℃ 4) 60℃ 5) 70℃
<설명> 문제 7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4.
9. Paraffin의 융점과 사용 계절이 옳게 연결된 것은 ?
1) 68℃ - 여름에 사용
2) 58℃ - 여름에 사용
3) 48℃ - 겨울에 사용
4) 38℃ - 겨울에 사용
5) 28℃ - 겨울에 사용
<설명> 여름에는 기온이 높기 때문에 Paraffin의 융점이 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68℃나 되는 Paraffin은 열에 의한 조직의 손상이 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물론 겨울에는 여름의 반대이기는 하나 56℃ 이하의 융점을 가진 Paraffin은 Paraffin 점도가 약해 박절시 부스러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
[답] 2.
10. 조직과 Paraffin의 경도에 관한 관계를 나타낸 사항 중 옳은 것은?
1) 조직이 경하면 Paraffin은 연한 것이 좋다
2) 조직이 경하면 Paraffin은 경한 것이 좋다
3) 조직이 연할 수록 Paraffin은 경하여야 한다
4) 조직이 경할 수록 Paraffin은 연하여야 한다
5) 조직의 경도와 Paraffin의 경도와는 관계가 없다
.
<설명> 조직의 경도와 Paraffin의 경도와의 관계는 조직이 경하면 Paraffin도 경한 것이 좋다. 즉 조직의 경도와 Paraffin의 경도는 비례하는 것이 좋다.
.[답] 2.
11. Paraffin 포매시 박절기로 자르고자 하는 조직편의 면을 ?
1) 하향으로 포매 한다
2) 상향으로 포매 한다
3) 측면으로 포매한다
4) 안으로 들어가게 포매 한다
5) 밖으로 돌출되게 포매한다.
<설명> 박절기로 자르고자 하는 조직편의 면은 곧 병소 부위로서 Paraffin 포매시 하방향으로 포매해야 한다. 왜냐하면 박절시에는 Block을 뒤집어 자르기 때문에 그렇게 해야 병소 부위가 상면이 된다.
[답] 1.
12. Paraffin 포매시 굳게 하려면 ?
1) 공기 중에 방치 한다
2) 신전기에서 굳힌다
3) 수면에 띄워 냉각 시킨다
4) 고압에서 굳힌다
5) 부유온수조에서 굳힌다
<설명> Paraffin 포매시 포매가 완료되면 더 이상의 열은 조직에 손상만을 줄 뿐이므로 빨리 조직에서 열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수면에 띄워 냉각 시키던지 아니면 어름판에 놓아 시킨다. 그러나 지나치게 급속한 냉각을 하면 속이 빈 Block이 되기쉽다. 이것은 Block 속의 Paraffin은 미쳐 식지을 않아 부피가 큰 상태로 있을 때 Block의 표면이 급속이 굳어 수축되면서 Paraffin이 Block 위로 기어 올라 오기 때문이다.
[답] 3.
13. 포매시 Paraffin을 급속히 냉각하면 Paraffin은 ?
1) 위로 올라온다.
2) 잘 응고된다.
3) 부드러워진다.
4) 부스러진다
5) 균등하게 응고되며 절편이 용이하다.
<설명> 문제 12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14. 삭정시 절단할 면의 조직편과 Paraffin 사이의 두께는 ?
1) 4-5mm 남게 한다
2) 7-8mm 남게 한다
3) 2-3mm 남게 한다
4) 5-6mm 남게 한다
5) 10mm 이상 남게 한다
<설명> 조직편과 Paraffin 사이의 두께는 2-3mm 남게 한다. 조직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조직의 손상은 물론 낙균들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오진이 염려되기 때문이다.
[답] 3.
15. Paraffin 포매 까지 한 결과 Paraffin이 투명하지 못하고 흰 눈이 뭉친 것처럼 보인다면 그 원인은 ?
1) Paraffin의 융점이 낮은 때문이다
2) 탈수가 불충분 하였기 때문이다
3) 조직의 경도와 Paraffin의 정도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4) 급속히 냉각 시켜기 때문이다
5) Paraffin 융점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설명> Paraffin 포매시 탈수가 불충분하면 조직내 남아 있는 물은 투명제와 혼합되지 않고 그데로 남아 있게되기 때문에 결국은 물이 남아 있는 조직 부위에는 비 수용성인 Paraffin이 침투될 수 없다. 따라서 물이 남아 있는 조직부위의 물방울이 Paraffin block 속에서는 움푹 들어간 것 처럼 보인다. 바로 이런 현상을 Paraffin이 투명하지 못하고 흰 눈이 뭉친 것처럼 보인다고 하는 것이다. 구제방법은 Paraffin block을 풀고 역 방향으로 조직을 처리한 후 탈수부터 다시 하여야 한다.
[답] 2.
16. 다음 중 Paraffin block이 불투명하게 나올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
1) Paraffin이 60℃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
2) 조직의 고정이 잘 안된 경우
3) Paraffin block을 갑자기 식힌 경우
4) 조직의 탈수가 잘 안된 경우
5) 조직의 투명 처리가 불 완전한 경우
<설명> 60℃ 이상으로 가열된 Paraffin은 결정화 될 수 있기 때문에 결정화된 Paraffin으로 포매을 하면 Paraffin block이 불투명하게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조직의 고정이 잘 안되면 조직내에 단백질이 충분히 응고 침전되지 않아 단백질분자 사이에 물 분자들이 남게되고 이 물 분자들은 탈수시에도 잘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도 침투도 불충분한 상태가 되어 Paraffin block이 불투명하게 나올 수 있다. 투명이나 침투가 불충분한 경우는 문제 15번의 설명을 참고하면 이해될 것이다. Paraffin block을 갑자기 식힌 경우는 속이 빈 Paraffin block이 될 수는 있지만 불투명하게 되는 경우와는 거리가 멀다.
[답] 3.
17. 포매 후 Paraffin block이 거품이 많고 투명하지 못한 이유는 ?
1) Paraffin 융점이 높기 때문이다
2) 갑작스런 냉각 때문이다
3) 포매시 Paraffin이 차갑기 때문이다
4) 포매시 Paraffin을 뜨겁게 끓였기 때문이다
5) 포매 시간이 길었기 떄문이다
<설명> 문제 15번과 16번의 설명을 참고할 것.
[답] 4.
18. 여름 실온이 36℃에 가까울 때, 7μ정도의 엷은 절편은 잘 잘라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
1) Paraffin의 융점이 낮아서
2) Paraffin의 융점이 높아서
3) 칼날의 온도가 낮아서
4) 칼날이 무디어서
5) 실온이 낮아서
<설명> 더운 여름에는 Paraffin의 융점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제 9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19. 신속 paraffin 포매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
1) 고정은 가온 진탕 하고 탈수는 무수 Alcohol이나 Acetone으로 한다
2) 70% Alcohol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탈수한다.
3) Helly;s 용액으로 고정한다.
4) Xylol로 탈수한다.
5) 경 Paraffin으로 1회만 침투한다.
<설명> 신속 Paraffin 포매법도 조직표본을 만드는 한 방법으로 고정부터 침투 까지의 과정을 가온 진탕하여 약 2-3 시간 안에 끝을 내도록한 방법이다. 응급시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다.
[답] 1.
20. Celloidin 포매시 Celloidin 농도는 ?
1) 약 12% 2) 약 8% 3)약 4% 4) 약 2% 5) 16%
<설명> Celloidin의 저장용액과 고농도액은 모두 12%이다. Celloidin을 가장 쉽게 용해시키는 방법은 처음 무수 알콜에 Celloidin을 담그고 알콜과 동량의 Ether를 첨가할 때 완전히 용해된다.
[답] 1.
21. Celloidin 포매방법은 ?
1) 매우 신속한 방법이다
2) Paraffin 포매법 보다 빠른 방법이다
3) 장시간이 소요되는 방법이다
4)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5) Paraffin 포매법 보다 얇은 박절을 할 수 있다
<설명> Celloidin 포매방법은 침투에 걸리는 시간 만도 3-4주가 소요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방법이나 조직 수축에 의한 손상은 적다. 문제 5번의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설명> Celloidin block을 굳혀 주려면 Chloroform 증기에 노출시켜야 한다. 그리고 Block은 80% Alcohol에 보관한다. 이 방법을 습윤포매법이라 하고, Cedar wood oil : Chloroform을 1 : 1로한 혼합액과 3 : 1로한 혼합액에 처리하여 굳히는 방법을 건조포매법이라 한다.
[답] 4.
23. Celloidine block을 굳힐 때는 ?
1) 공기 중에서 굳힌다
2) 냉한 곳에서 굳힌다
3) 가온한 곳에서 굳힌다
4) 뚜껑을 덮어 간접으로 굳힌다
5) 어느방법이든 관계없다.
<설명> Celloidin포매시 Celloidin용액은 액체시에 부피와 고체시에 부피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한 번을 붓어서는 않되고 수 번을 붓어야 한다. 이때 뚜껑을 덮어 간접으로 Alcohol과 Ether혼합액을 공기 중에 휘발시켜 Celloidin의 증발을 최대한으로 막으면서 굳힌 다음 Chloroform의 증기에 노출 시켜 단단하게 한다.
[답] 4.
24. Nitrocellulose는 어떤 경우에 추천되지 않는가 ?
1) 아주 큰 조직
2) 아주 긴 조직
3) 아주 단단한 조직
4) 아주 얇은 조직
5) 아주 치밀한 조직
<설명> Nitrocellulose는 Celloidin, Pyroxylin과 같은 것으로 이는 순수하게 정제된 Celloidin으로 Trinitrocellulose의 혼합물이다. 이 포매제은 긴 조직(도은법 실시시 뇌신경조직), 단단한 조직(탈회된 뼈, 치아), 전체기관(눈), 치밀한조직(근육, 건) 등 자연상태에서는 장시간의 투명이나 침투가 요구되는 조직에 추천되어 진다. 왜냐하면 Celloidin은 조직에 대한 수축력이 약해 장시간 두워도 조직에 큰 손상이 없기 때문이다. 아주 얇은 조직에 추천되지 않는 이유는 Celloidin 의 박절은 10-30μ 정도로 밖에는 절편할 수 없어 아주 얇은 조직의 경우에는 절편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답] 4.
25. Nitrocellulose에 포매하려면?
1) Alcohol을 제거시켜야 한다.
2) Alcohol의 제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 Gellatin을 제거시켜야 한다.
4) Polyethlene glycol의 제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5) Xylol로 투명시켜야 한다.
<설명> Nitrocellulose에 속하는 Celloidin은 Alcohol과 Ether 혼합용액에 녹으므로 투명은 Alcohol과 Ether 혼합용액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투명시 Alcohol을 다시 쓰기 때문에 탈수시 사용한 Alcohol을 굳이 따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어차피 다시 Alcohol 속으로 들어 가야 하기 때문이다.
[답] 2.
<설명> Carbo - Wax은 수용성 포매제로 알콜이나 Xylol에 녹지 않는다. 포매는 분자량이 4.000인 것을 57℃ 정도 되는 물에 녹여 포매하고 냉장고로 옮켜 굳힌다.
[답] 3.
27. 다음 중 어떤 경우에 Gellatin 대신 Agar를 포매제로 사용 할 수 있는가 ?
1) Paraffin 절편의 경우
2) 동결절편의 경우
3) Celloidin 절편의 경우
4) 신속 Paraffin 절편의 경우
5) Pyroxylin 절편의 경우
<설명> Gellatin 포매는 5% Gellatin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10% Formalin에서 굳힌다. Gellatin 대신 Agar를 포매제로 사용할 경우는 동결절편시 부서지기 쉬운 조직을 대상으로 한다.
[답] 2.
28. Gellatin 포매에 사용되는 것은 ?
1) 1% Phenol 용액
2) 2.5% Chloroform 용액
3) 5% Gellatin 용액
4) 3% Gellatin 용액
5) 95% Ethyl alcohol 용액
<설명> 문제 27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29. 다음중 틀린것은 ?
1) 조직을 포매기구에 넣을 때 검사하고자 하는 면을 밑으로 한다
2) 대목에 Paraffin block을 붙일 때 검사하고자 하는 면을 밑으로 한다
3) 고정 후 수세할 때 물위로 뜨는 조직은 잡아 매어서 가라 앉혀야 한다
4) 고정하는 동안에도 조직이 고정액 위로 뜨면 가라 앉혀야 한다
5) 조직을 탈회할 때는 탈회액 중앙에 조직이 부유되도록 한다
<설명> 대목에 Paraffin block을 붙일 때 검사하고자 하는 면을 위로 하고 Label된 면을 대목에 붙여야 한다. 이 때 대목에 Paraffin block과 동일한 Label을 붙여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대목에는 반드시 하나의 Block만을 붙여야 한다.
[답] 2.
Ⅷ. 박 절 (Section)
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1) 일반적으로 틈의 각은 5-10o을 쓴다
2) 단단한 조직은 틈의 각을 15o을 쓴다
3) 마도면의 각은 27-32o이다
4) 동결 절편의 경우 당기는 각은 직각이다
5) Paraffin의 경우 당기는 각은 35o이다.
<설명> 박절에 있어 칼과 관련된 각에는 칼의 마도면과 Block면이 이루는 ① 틈의 각(Clearance angle)이 있으며 이는 절편의 두께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틈의 각이 크면 절편의 두께는 두껍고, 틈의 각이 작으면 절편의 두께는 얇아진다. 일반적으로 5-10o을 쓰나 통상 7o을 쓴다. 그리고 단단한 조직의 경우는 틈의 각을 15o을 쓴다. ② 칼과 활로(또는 Block : 활로와 Block은 평행이므로 활로 대신 Block이라고 해도 칼과 이루는 각은 같다.)가 이루는 각을 당기는 각이라고 하며 회전형(Rotary)과 동결절편용 박절기(Microtome)에서는 직각을 쓰고, 활주형 박절기(Sliding microtome)의 경우 Paraffin block은 45o, 그리고 Celloidin block은 35o을 쓴다. ③ 칼의 마도면과 숫둘면이 이루는 각을 마도각이라 한다. 마도각은 칼의 마도면의 각이 27-32o이기 때문에 마도시 통상 30o를 유지하여 간다.
[답] 5.
2. 틈의 각 이란 ?
1) Block면과 마도면의 각
2) 마도면과 마도면의 각
3) 칼 지지대와 Block 지지대면의 각
4) 칼등대와 쐐기의 각
5) Block면 수직선과 마도면의 각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3. 일반적인 Paraffin block의 박절에서 가장 적당한 두께는 ?
1) 6-8μ 2) 7-8μ 3) 4-6μ 4) 8-10μ 5) 10-15 μ
<설명> Paraffin block 박절시 일반적으로 가장 적당한 절편의 두께는 6±2μ이고 통상 많이 쓰는 두께로는 5μ를 이용한다. 문제를 풀때에는 5μ를 포함하는 범주에 것을 택하는 것이 좋다.
[답] 3.
4. 박절기에서 조직 절편은 무엇으로 들어 올리는가 ?
1) 나무 집게 2) 손가락 3) 핀셋 4) 가는 낙타털 붓 5) 가는 바늘
<설명> 박절기에 의해 박절되어 칼에 붙어 있는 조직 절편은 가는 낙타털 붓으로 들어 올려 30-70% Alcohol 용액이 든 비커에 띄워 표면장력과 붓끝을 이용하여 큰 주름을 핀다.
[답] 4.
5. 활주형 박절기은 다음 어느 경우에 사용되는가 ?
1) Celloidin이나 Paraffin에 포매한 조직을 자를 때
2) Paraffin에 포매된 조직만을 자를 때
3) 동결된 조직을 자를 때
4) 포매되지 않은 조직을 자를 때
5) Celloidin에 포매한 조직만을 자를 때
<설명> 활주형 박절기에는 두 형이 있다. 즉 Block이 상하로 움직이고 칼날은 앞뒤로 활주를 따라 움지기면서 조절된 Microtome수 만큼 씩 절편되도록 만들어진 것이 Schanze형이고, Microtome수 조절나사 장치에 의해 Block은 경사진 활로를 따라 조절된 Microtome수 만큼 높아지고 칼날 은 Schanze 형과 같이 움직이면서 절편되도록 만들어진 것이 Jung 형이다. 주로 크고 단단한 조직을 절편할 때 유용하나 연속박절이 불가능한 것이 단점이다. Celloidin이나 Paraffin 어느 것으로 포매했던 절편에는 관계없다.
<설명> 회전형 박절기는 일명 Minot형이라고 하며 박절기는 칼을 전방에 고정시키고 Wheel을 돌이면 Block이 앞으로 전진하면서 상하로 움직여 칼에 부딪치면서 절편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주로 작고 연한 조직의 절편에 좋고 연속 박절이 가능하므로 한 검체를 가지고 여러 장의 표본 을 만들 필요가 있을 때 편리하다. 그러나 크고 단단한 조직을 절편할 때는 칼에 Block이 부딪치기 때문에 Block이 대목에서 떨어지기 쉬운 점이 단점이다.
[답] 2.
7. 칼을 갈 때 힘을 주는 부위는 ?
1) 칼 전체에 2) 칼 중간에 3) 칼 말단에 4) 칼 등에 5) 손잡이에
<설명> 칼을 갈 때는 칼 전체에 힘을 똑 같이 주워야 한다. 그래야 칼날이 똑 같이 갈려 만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칼날 검사는 저 배율에 현미경을 이용하여 칼날이 일직선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일직선으로 갈렸으면 잘 갈린 것이다.
[답] 1.
8. 숫돌에 마도할 때 칼의 운동 방향은 ?
1) Heel에서 Toe로 한다
2) Toe에서 Heel로 한다
3) Heel에서 Heel로 한다
4) Toe에서 Toe로 한다
5) 적당하게 마도한다.
<설명> 숫돌에 마도할 때 칼의 운동 방향은 Heel에서 Toe로 움직여 X 자형으로 간다. 숫돌에 마도한 후 거친 혁지에 다듬을 때 칼의 운동 방향은 Toe에서 Heel이고, 고운 혁지에 다듬을 때 칼의 운동 방향은 Hee에서 Toe이면서 모두 X 자형으로 간다.
[답] 1.
9. 마도후 칼날 검사 방법으로 옳은 것은 ?
1) 육안으로 판단한다
2) 얇은 종이를 베어 본다
3) 저배율의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4) 손끝으로 만져 본다
5) 직접 조직을 잘라 본다
<설명> 문제 6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10. 박절용 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마도각은 보통 30o이다
2) 현미경으로 칼날 검사를 한다
3) 혁지로 정돈한 다음 숫돌로 간다
4) 혁지는 고운 것과 거친 것이 있다
5) 틈의 각은 보통 7o를 많이 쓴다
<설명> 문제 1번, 6번, 7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3.
11. 칼날을 갈 때 숫돌위에 기름을 쓰는 이유는 ?
1) 칼날이 너무 기울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2) 칼날이 무디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칼날에 흠이 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4) 칼날이 더러워 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5) 칼날이 잘 갈이도록 하기 위하여
<설명> 숫돌위에 기름, 즉 마도유를 바르는 이유는 칼날 손상방지에 있다. 숫돌면 있는 많은 요철 부분을 마도유로 덮어 평면을 만들어 마도시 칼날이 숫돌면에 걸리는 것을 막아주므로서 칼날에 손상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답] 3.
<설명> 박절된 조직절편을 붓 끝으로 들어 30-70%의 Alcdhol 용액이든 비커에 띄워 큰 주름을 핀 후 다시 조직절편을 Slide로 건져 Paraffin의 융점 보다 10-15℃ 낮은 45-50℃의 부유 온수조에 띄워 잔 주름까지 피고난 다음 2/3 중앙에 Egg albumin을 바른 Label된 Slide로 조직절편를 떠 서 부착시킨 후 Slide를 Paraffin 융점 보다 2-3℃ 높은 60℃되는 신전기(Slide warmer)위에 약 1시간 동안 방치하면 Paraffin은 녹고, Albumin은 응고되어 조직절편은 Slide에 밀착하게 된다. 여기 까지가 박절에 속한다.
[답] 3.
13. 부유 온수조의 내부 색조는 ?
1) 흰색 2) 회색 3) 흑색 4) 적색 5) 녹색
<설명> 부유 온수조의 내부 색조는 흑색이 좋다. 그 이유는 Paraffin 절편들이 흰색이기 때문에 내부 바탕이 흑색인 부유 온수조를 사용해야 조직절편이 잘 보여 처리하기가 쉽다.
[답] 3.
14. Paraffin 절편을 Slide에 부착시킬 때 사용되는 것은 ?
1) Blade 2) Egg albumin 3) 대목 4) Stick 5) Tape
<설명> 조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Paraffin 절편을 Slide에 부착시킬 때 사용하는 것은 부착제로서 Egg albumin이나 Gelatin을 이용한다. Egg albumin은 방부제로 Thymol 또는 Phenol을 첨가하여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고, Gelatin은 부유 온수조에 녹여 사용한다.
[답] 2.
15. Slide에 Egg albumin을 바르는 이유는 ?
1) 염색촉진을 위해
2) 탈색방지를 위해
3) 조직 이탈방지를 위해
4) 고정촉진을 위해
5) 조직보호를 위해
<설명> 문제 14번 설명을 참고할 것.
16. Slide에서 절편이 잘 떨어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
1) 부착제가 너무 강한 경우
2) 부착제가 약한 경우
3) 주름진 절편을 부착한 경우
4) Xylol에 너무 오래 둔 경우
5) 기포가 있는 조직인 경우
<설명> Slide에서 절편이 잘 떨어지는 경우는 부착제가 약한 경우는 물런 이거니와 주름이나 기포가 있는 절편은 주름이나 기포가 있는 부위가 Slide에 밀착할 수 없기 때문에 잘 떨어진다. Xylol에 너무 오래 둔 경우는 Slide에 붙은 Paraffin이 Xylol에 의해 녹기 때문에 절편 떨어지기 쉽다.
[답] 1.
17. Egg-Albumin은 어디에 저장하는가 ?
1) 따뜻한 용기 2) 냉장고 3) 실온 4) 어두운 곳 5) 밟은 곳
<설명> 문제 14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18. Mayer's egg albumin의 방부제로 Thymol 이외에 쓸 수 있는 것은 ?
1) Toluene 2) Phenol 3) Glycerin 4) Ethanol 5) Boric acid
<설명> 문제 14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19. Slide에 절편된 조직을 부착시키는 위치는 Slide의 ?
1) 1/4 중앙 2) 2/3 중앙 3) 1/3 중앙 4) 1/2 중앙 5) 3/4 중앙
<설명> 부착제는 절편을 붙일 자리에만 바른다. 문제 12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2.
20. Gelatin의 사용 방법은 ?
1) 부유 온수조에 녹여 사용한다.
2) Slide에 직접 도말한다.
3) 조직에 직접 도말한다.
4) Phenol에 녹여 사용한다.
5) Ethanol에 녹여 사용한다.
23. Carbo-wax 포매의 박절은 어디에서 잘 박절되는가 ?
1) 따뜻한 공기 중에서
2) 습기찬 공기 중에서
3) 실온 중에서
4) 아주찬 공기 중에서
5)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서
<설명> Carbo-wax 포매의 박절은 Carbo-wax가 수용성인 포매제이므로 온도가 높거나, 습기가 많은 공기 중에서는 곤란하다. 따라서 아주 찬 공기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Dry ice를 Block 위에 매달고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답] 4.
24. 최고로 박절을 얇게 할 수 있는 장기는 ?
1) 자궁 2) 혈관 3) 골격근 4) 갑상선 5) 간장
<설명> 조직의 절편두께는 조직의 치밀도와 관계가 있고, 이는 그 조직에 결합조직 성분의 분포와 비례한다. 따라서 결합조직 성분의 분포가 치밀하고 정형적인 구조를 가진 장기일수록 얇게 절편하기 어렵다. 자궁, 혈관, 골격근, 갑상선 등은 비교적 얇게 절편하기 어려운 편에 속하는 조직이나 간은 그 반대에 속하는 조직이다.
[답] 5.
25. 박절을 할 때 얇게 자르기 힘든 장기는 ?
1) 임파절 2) 비장 3) 간장 4) 방광 5) 신장
<설명> 문제 24번의 설명을 참고하고, 방광은 그 자체가 결합조직으로 만들어진 얇은 막성 조직으로 얇은 박절을 하기가 어렵다.
[답] 4.
26. 박절하기에 가장 단단한 조직은?
1) 폐 2) 뇌 3) 신장 4) 자궁 5) 간장
<설명> 문제 24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4.
27. Paraffin에 포매된 조직을 박절할 때 조직이 단단하거나 부서지는 것은 왜 그런가 ?
1) 온도가 너무 높은 Paraffin 용액으로 포매를 했기 때문에
2) 칼의 각도가 맞지 않아기 때문에
3) 연 Paraffin으로 포매을 했기 때문에
4) 정해진 시간 보다 너무 짧게 Xylol에 투명했기 때문에
5) 경 Paraffin으로 포매을 했기 때문에
<설명> Paraffin 용액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결정화가 되어 Paraffin이 점도를 잃케되고, 또한 높은 열은 조직을 경화시켜 박절할 때 조직이 단단하게 되거나 부서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답] 1.
28. 조직절편(Section)이 우수수 헤어지는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
1) 고정이 불충분한 것
2) 칼날이 무딘 것
3) 탈수가 않된 것
4) Paraffin이 너무 연한 것
5) 침투가 않된 것
<설명> 고정이 불충분한 것, 칼날이 무딘 것, 탈수가 않된 것, 그리고 침투가 않된 것 등은 모두가 조직표본을 제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중요한 과정임에도 하나도 충족되지 않고 있어 조직절편이 우수수 헤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Paraffin이 너무 연한 것과는 관계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답] 4.
29. 박절시 절편(Ribbon)이 평형하지 않고 꾸불꾸불하게 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칼날이 Block에 평형하지 않을 때
2) 절편의 두께가 3-4μ일 때
3) 칼날이 불규칙할 때
4) Paraffin 이 불순할 때
5) Block의 모양이 장방형이(직각)이 아닐 때
<설명> 박절시 Ribbon이 평형하지 않고 꾸불꾸불하게 되는 원인에는 칼날이 Block에 평형하지 않을 때, 칼날이 불규칙할때, 불순한 Paraffin으로 포매 했을 때, Block의 모양이 장방형이(직각)이 아닐 때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박절된 절편의 두께와 관련된 문제로 절펀의 두께가 일정치 않게 박절되어 얇은 쪽이 두꺼운 쪽으로 휘어져 꾸불꾸불하게 된다.
[답] 2.
30. 절편이 받치고 (압축되고) 주름이 잡히면서 박절 될 경우의 원인이 아닌 것은 ?
1) 칼날이 무디었을때
2) 칼날과 Block이 더워졌을때
3) 완전 탈수가 않되었을 때
4) 지나치게 얇게 절편할 때
5) 칼이 너무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때
<설명> 받치고 주름이 접피면서 박절될 경우의 원인으로는 칼날이 무디었을 때, 칼날과 Block이 더워졌을 때, 지나치게 얇게 절편할 때, 칼의 기울기가 너무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때, Block 물림쇠나 칼 물림쇠가 헐겁게 죄어졌을 때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칼날과 Block의 관계로서 칼날이 무디었을 때는 당연시 Block이 칼날에 받칠 것이고, 칼날과 Block이 다 같이 더워졌을 때는 Block의 Paraffin이 녹아 누진누진한 상태가 되어 잘 잘라지지 않으면서 칼날에 받치고 주름이 잡히게 된다. 그리고 지나치게 얇게 절편하려고 할 때는 절편이 칼날에 잘 붙을 뿐만 아니라 주름이 많이 잡힌다.
[답] 3.
31. 수직으로 갈라지며 박절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1) 칼날이 톱날같이 되었을 때
2) 칼이 너무 기울어져 있을 때
3) 너무 더워진 Paraffin에 침투했을 때
4) Paraffin에 석회물질이 끼여 있을 때
5) 칼날이나 Block에 먼지가 얺져 있을 때
<설명> 수직으로 갈라지며 박절되는 경우는 칼날이 톱날같이 되었을 때, 칼날의 기울기가 너무 클 때, Paraffin에 석회물질이 끼여 있을 때, 칼날이나 Block에 먼지가 얹져 있을 때 등으로 이것은 절편에 줄이 그어지면서 찢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어떤 경우든 칼날에 이가 빠지면 절편에 줄이 가 찢어질 것이고, 칼날이나 Block에 먼지나 석회질, 모래알등의 이물질이 끼어 있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찢어질 것이다. 칼날의 기울기가 너무 클 때는 칼날의 끝이 Block면을 글그면서 박절되기 때문에 절편에 수직으로 금이 생기며 갈지게 된다.
[답] 3.
32. 박절시 두껍고 얇게 잘리는 경우가 아닌 것은 ?
1) Block이 클 때
2) Block이 헐겁게 물려을 때
3) Block이 지나치게 단단할 때
4) Paraffin의 침투가 좋지 않을 때
5) 틈의 각이 적당치 않을 때
<설명> 박절시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Block이 너무 클 때는 한번에 똑같은 힘으로 짜르기가 어렵기 때문에 두께에 차이가 생길 수 있고, Block 물림쇠나 칼 물림쇠가 헐겁게 죄어졌을 때는 칼날과 Block이 평행이 되지 않아 Block이 들린 쪽은 두껍게 잘이고, 기운 쪽은 얇게 잘이게 된다. 그리고 Block이 지나치게 단단할 때 따뜻한 물에 적시지 않고 박절하거나 틈의 각과 조절된 Microtome 수가 맞지 않을 때도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잘리는 경우가 된다. Paraffin의 침투가 좋지 않은 경우는 두께 차가 생기는 것과는 관계가 멀다. 문제 29 번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답] 4.
33. 박절시 절편(Ribbon)이 찢어지거나 주름이 생기는 원인은 ?
1) 칼날에 흠이 있을 때
2) 칼날이 더울 때
3) 칼의 경사가 너무 클 때
4) 칼날이 너무 무딜 때
5) 칼날이 너무 차가울 때
<설명> 문제 3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답] 1.
34. 박절이 잘 안되고 절편이 잘 부서지는 원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
1) Paraffin이 너무 뜨거울 때 포매를 하였다
2) 탈 xylol이 잘 않되어 있다.
3) Paraffin이 너무 얼었다.
4) 박절시 실온이 낮았다.
5) 침투시 Paraffin의 온도가 너무 높았다.
<설명> Paraffin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것으로 침투를 했을 때나, 너무 뜨거운 Paraffin으로 포매를 하였을 경우 절편이 잘 부서지고, 박절이 잘 안되는 것은 모두 지나친 열이 조직을 수축케해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탈 xylol이 잘 않되어 있다는 것은 곧 침투가 불충분한 것으로 지주제가 침투되지 않은 부분은 박절시 부서지기 쉽다. Paraffin이 너무 얼어져 있으면 박절이 어렵고 절편 또한 부서지기 쉽다.
[답] 4.
35. Paraffin 박절표본의 불량 원인이 되지 않는 것은 ?
1) 고정이 불충분하였다
2) 조직의 탈수, 투명, Paraffin의 침투가 나뻤다
3) 탈수, 탈지에 Methanol을 사용하였다
4) 칼날의 연마가 불충분하였다
5) 고정후 탈수 중에 조직의 건조가 일어났다
<설명> Paraffin 포매법에 의한 표본제작시 탈수, 탈지에 Methanol을 Ethanol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표본제작의 불량원인이 되지 않는다.
[답] 3.
Ⅸ. 동결절편 ( Frozen section )
1. 다음 중 맞지 않는 것은 ?
1) 동결절편은 10분 이내에 결과를 내릴 수 있다
2) 동결절편은 표본을 오래 보존 할 수 없다
3) 동결절편은 전기를 이용함이 CO2 이용법 보다 좀더 우수하다
4) 동결절편은 정확한 진단은 할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든다
5) CO2 사용시는 고정을 하나 전기 사용시에는 고정을 하지 않는다
<설명> 동결절편 ( Frozen section )도 조직표본을 만드는 한 방법으로 고정 없이 CO2 나 전기를 사용하여 조직을 동결시킨 후 10-15μ두께로 절편하여 필요한 염색을 실시하여 판독토록 한다. 이와같은 동결절편법은 응급한 외과적 수술 중에 악성 종양의 유무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조직 화학적 반응 즉 특수염색에 의한 지방질이나 효소 등의 검색이 필요할 때 이용한다. 특히 지방질이나 효소 등이 검색시 일반표본제작법의 이용이 어려운 것은 일반표본제작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유기용매나 열에 의해 지방질이나 효소 등이 용해되기 때문이다. 동결절편법의 응급시 Toluidine blue나 Methylen blue로 단 염색을 실시하여 10분이내에 결과를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좋은 표본을 만들기도 어렵고, 오래 보존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전기냉동절편기는 내부가 항시 -20℃정도가 되도록 가동시켜 놓아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동결절편의 경우 고정을 안하고 하지만 고정을 해도 무방하나 중금속이 포함된 고정액에 고정한 것은 얼지 않기 때문에 곤란하다. 가장 무난한 고정은 10% Formalin용액에 고정하는 것이다.
[답] 5.
2. 다음 중 동결절편의 주목적이 아닌 것은 ?
1) 신속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 실시한다
2) 악성 종양의 예비진단을 위해 실시한다
3) 지방질의 특수염색을 위해 실시한다
4) 응급한 외과적 수술 중에 실시한다
5) 효소등 조직화학적 검사시 실시한다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특히 수술 중 악성 종양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확실한 진단을 위해 실시하는 것이지, 악성 종양의 예비진단을 위한 것은 아니다.
[답] 2.
3. 동결절편 표본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
1) 표본이 두껍다.
2) 신속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조직이 손상된다
3) 영구적인 표본이 될수 있다
4) 염색이 선명하지 않다
5) 진단이 빠르다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고정할 경우 주로 가온고정을 하기 때문에 조직이 손상되기 쉽고, 주로 고정 없이 단 염색을 하기 때문에 염색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답] 3.
4. 동결절편은 어느 때 하나 ?
1) 뼈조직의 감별을 위해
2) 지방의 감별을 위해
3) 중추신경계의 뇌조직 검사를 위해
4) 종양의 감별을 위해
5) 영구용 표본제작을 위해
<설명> 문제 1번 설명을 참고할 것. 동결절편은 조직이나 조직성분 그리고 종양의 감별을 위해 실시하는 것은 아니다. 중추신경계의 뇌조직의 구조에는 Phospholipid와 같은 지질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신경병리학적인 검사를 하고자 할 때 동결절편법을 쓰면 신경조직의 구조가 잘 들어 나져 보인다.
[답] 3.
5. 동결절편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 빠른 진단을 위해 실시한다
2) 지방 검출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다
4) Paraffin 보다 늦어진다
5) 여름철에는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