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연구 제16권 2호 (2005. 2)
이홍우, 교육의 근본: 그 말살과 회복
임병덕, 초등도덕과교육의 근본: 교과의 의미로서의 도덕
김광민, 불교 수행이론에 비추어 본 교육의 의미
김명숙,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기인식
김희봉, 웰빙의 의미와 도덕교육
노희정, 도덕교육에 대한 서사적 접근과 관계적 자아의 실현
박종덕, 도덕적 인간상으로서의 군자
정혜진, 프뢰벨 교육이론에서의 종교와 도덕: 도덕교육적 함의
진미숙, 학교 현장중심 도덕교육론: 이론적 모색
황인표, 초, 중, 고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현장 실태분석과 교육적 함의
<부록> 월례발표회 토론자료
도덕교육연구 제15권 2호 (2004. 2)
이홍우, Man and Ghost ; Toward a Neo-Confucianist Theory of Curriculum
박상철, 초등학교 교사양성과정에서의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향
박주병, 루소의 사회사상에 나타난 인간본성론과 도덕교육적 함의
이영문, 초등학교 통일교육 교육과정 기본모형 연구
차미란,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知行合一
김영철, 도덕교육방법으로서 '해석학적 대화학습'에 대한 이해
김연숙, 타자와 함께 하는 감성의 도덕교육
도덕교육연구 제14권 2호 (2002. 12)
박천환, '自得'의 개념에 비추어 본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理解
이미종, 鬼神論의 교육학적 의미
구리나, 鬼神의 개념에 비추어 본 교육의 종교적 측면
문택석, 교과의 도덕적 의미: 교사의 마음
함정실, 교육의 중층구조와 도덕교육
월례발표회 토론요약: 구리나, 문택석, 함정실
도덕교육연구 제12권 2호 (2000. 11)
이홍우 외, 예술과 교육
장성모, 교육의 종교적 측면
유재봉,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도덕교육
박재문, 칸트 윤리학의 비판적 고찰: 도덕형이상학원론을 중심으로
차미란, 오우크쇼트의 정치교육론: 성리학이론과의 관련
정혜진, 프뢰벨의 교육이론과 칸트철학
이재호,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홍은숙, 정보사회를 위한 윤리교육
목영해, 디지털 정보화 시대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홍성훈, 딜레마토론 프로그램이 의과대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월례발표회 토론요약: 이재호, 차미란 논문
도덕교육연구 제11집 (1999. 10)
박재문, 열린교육의 교육사적 고찰
유한구, 열린교육의 두 측면: 학과 사
조영태, 열린교육과 구성주의: 비판적 검토
김광민, 교육사 연구에서의 설명의 양태
김승호, 현대 학교교육의 위기와 그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김 인, 종교와 교육
김정국,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흥미론 비교
박정원, 유학교육의 이상으로서의 수기와 치인의 개념
박은주, 격물치지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제7집 (1995. 11)
홍현길, 일본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역학적 관점에서 본 히로이께 치쿠로우의 모랄로지에 관한 고찰
남궁달화, 도덕교육의 방법과 난점: 우리는 도덕성을 상실했는가
홍은숙, 도덕교육 영역의 재음미: '인륜적' 영역의 탐색
허미화, Immanuel Kant의 도덕교육론
임현식, 교육받은 사람의 사고구조: 입체적 사고구조 vs. 평면적 사고구조
권승혁, 도덕적 문제사태에 대한 토의수업이 아동의 도덕판단 능력에 미치는 효과: '+ 1 단계' 상승을 중심으로
좌경옥, 철학교육의 도덕교육적 효과: IAPC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심성보, 생태윤리학과 도덕교육의 새로운 지평
도덕교육연구 제6집 (1994. 12)
임태평, 플라톤의 인격교육의 철학
박철홍, 지와 덕은 하나인가: 듀이의 종교적 경험에 비추어 본 학습의 성격와 지식의 관계
이환기,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방법론적 접근
황규호, 자유교육에서의 종교의 위치
이영문, 도덕교육의 원리로서의 선의 개념
박종덕,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습관의 위치: 사단칠정 논변의 도덕교육적 한 해석
박석주, 6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민학교 도덕교육 접근 방향
남궁달화, 자녀의 도덕적 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의 기술 및 역할: 정신분석 이론과 사회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제4집 (1990. 9)
김안중, 덕목교육의 재음미
박재문, 김용환, 자아각성의 효율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심규장,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초기 놀이 활동의 의미
유진수, 도덕교육에 있어서 인지발달 모형과 가치명료화 모형
이홍우, 파이데라스테이아와 태교: 교육의 원초적 세력을 찾아서
도덕교육연구 제3집 (1986. 11)
박재문, 도덕성의 의미에 관한 고찰: 대화편 <고르기아스>를 중심으로
이홍우, 사회적 규범의 체계로서의 <주역>
임태평, Richard S. Peters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장성모, 교육내용으로서의 도덕의 내용과 형식: Kohlberg와 Peters의 도덕교육이론 분석
장찬익, 듀우이의 도덕이론과 성장의 도덕적 의미
정재걸, 도덕교육과 의식화교육
조영일, 신과학사조의 철학적 배경과 교육
도덕교육연구 제2집 (1984. 12)
장성모, 교육에서 평등의 의미
황인창, 플라톤 <국가론>에 나타난 사회철학 사상
정재걸,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교육
권 균, 가치의 성격과 가치학습에 영향을 주는 경험의 제유형
이홍우, 덕은 지식인가: <프로타고라스>와 <메논>의 고찰
박재문外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