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풍기와 덕트의 접속
송풍기의 성능은 공장에서 이상적인 상태로 운전·측정되어 결정되는 일이 많으나, 현장에 설치하여 덕트를 접속할 때에 접속덕트의 상태는 결코 성능 시험시와 같은 이상적인 상태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송풍기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송풍기를 현장에서 덕트와 접속할 때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① 송풍기의 흡입구·토출구에 대한 덕트의 접속은 흐름의 편향, 급격한 방향전환이나 확대·축소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② 송풍기의 토출측 덕트는 그림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 입구에서 경사(15')를 두어 덕트와 접속하며 또 토출 및 흡입덕트를 송풍기에서 바로 구부릴 경우에는 그림 (b)와같이 송풍기 날개직경의 1.5배 이상 직선 덕트를 만들고 그것에서 굽히는 편이 좋다. 실제로는 기계실, 기타의 관계로 송풍기 가까이에서 직각으로 굽힐 때가 많다.

그림 1 송풍기의 토출덕트
③ 흡입구 접속덕트는 가능하면 큰 치수로하고 벽이나 장해물이 흡입구 부근에 있을 때에는 그것과의 거리를 멀리 잡아야 한다. 또한, 송풍기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접속되는 덕트의 폭은, 그림 2과 같이 흡입구경의 1.25배 이상으로 하고 이것보다 작을 때는 가이드베인을 설치한다.

그림 2 송풍기의 흡입덕트

그림 3 캔버스이음쇠
④ 송풍기와 덕트의 접속에는 길이 150∼300㎜ 정도의 캔버스이음쇠(canvas connection)를 삽입한다. 이것은 송풍기의 진동이 덕트나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기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캔버스 이음쇠의 재료는 보통 석면포 등을 사용하며, 설치할 때는 느슨하게 하여야 한다. 이것의 설치 예를 그림 3에 나타내는데, 가요이음쇠(flexible connection)라고도 부른다.
첫댓글 자료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