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를 건국하고 왕이 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주를 가지고 있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
조선의 초대 왕인 이성계의 사주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태조 이성계
甲 己 癸 乙 공망: 子丑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子 未 未 亥 乾命)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1년 중 제일 더운 未월에 태어난 전답己(명주)이고 초목인 乙을 키우는 사주인데 未亥가 시간 乙의
천간의 유인력에 의해 반합이 형성되고 일지未에도 통근하니 초목乙이 천간에 강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명주 己가 乙을 키우기에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니 신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초목인 乙이 자라나는데 방해가 되는 金이 보이지 않으니 좋고 乙은 편관에 해당하니 특수한 관직을
수행하게 되고 연간에 정확히 자리잡고 있으니 유년 시절부터 별 어려움없이 진로를 개척해 나갔을 것으로
보이고 역마 亥까지 있으니 유년 시절부터 바쁜 삶을 살게 됩니다.
더불어 가장 더운 未월인 만큼 木을 키우기 위해서는 水의 조후가 시급한데, 子시, 亥년에 태어나고
천간에 우로수 癸가 정확히 투출하여 자리잡고 있으니 아릅답습니다.
천간에 태양 丙까지 보았으면 좋을듯 한데, 더운 여름이니 태양이 없어도 초목乙이 자라는데 지장은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시간 甲(정관)과 명주 己가 간합하고 있으니 나이가 들수록 특수한 관직의 일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甲(정관)을 취하려는 마음이 강해지니 왕이 되려는 욕심을 품게 됩니다.
자식자리인 시지 子가 공망이고 子未원진까지 있으니 자식들이 많았지만 없는 것과 같고 원진살의 기운으로
자식과 많은 불화를 겪게 되고 실제로 장남인 이방원이 왕권을 장악하기 위해 왕자의 난을 일으키는 등
자식들 사이에 불미스러운 일들이 많았습니다.
甲 己 癸 乙 공망: 子丑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子 未 未 亥 乾命)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태조 이성계의 성품과 직업운)
명주는 신강한 己이지만, 乙과 균형을 이루면서 조후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성품을 지녔고
일에 몰입을 잘하게 됩니다. 그리고 己의 성정상 乙(일,업무)에 충실하고 베풀려는 마음이 강하고
신뢰를 중요시 여기고 타인과 화합하며 협상을 잘 하는 성격을 가집니다. 즉, 삼국지에 나오는
장비처럼 아무 생각없이 밀어부치는 성격이 아니라 자신을 돌아볼 줄 알고 다른 사람의 의견도
적절히 배합하여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성품의 소유자 입니다. (리더로써의 기본적인 성품은 좋습니다.)
그리고 일지 未는 "아닐 未"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니 의심이 많은 성격이었을 것이고 味도 되니
미식가 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未는 화개살이기도 하니 종교와 예술에 관심이 많았을 것이고
실제 불가와도 인연이 깊었습니다.
젊은 시절 무신으로 활약하였던 이유는 인성을 뜻하는 火가 보이지 않고 신강하니 가만히 앉아서 공부하고
오랜시간 생각하는 분야는 적성이 아닙니다. 그리고 강한 乙(편관)을 사용하니 조직체에 몸 담고 일하는
특수한 관직에 위치하고 있었을 것으고 乙은 직업궁 월지와 일지 未에서 투출된 기운이니 乙(편관)에
삶의 대부분을 시간을 소모하게 됩니다. 추가로 乙(편관)이 역마 亥위에 좌하면서 통근하고 있으니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일입니다. 乙은 상승 기상이니 항상 화이팅 넘치게 싸워야하는 무신이 적합합니다.
甲 己 癸 乙 공망: 子丑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子 未 未 亥 乾命)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배우자 운)
일지과 시지에 子未원진이 있고 많은 배우자와 자식들을 두었으니 자식들과 배우자들 사이의 불화가
심한 것은 예정된 일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우자궁인 일지가 未이고 이는 명주가 木(관성)을 키우는 일을 할 때 도움을 주게 되는 기운이니
배우자가 친구 또는 동료(未:비견)처럼 명주를 잘 도와주고 보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왕이었던 것 만큼 여러명의 배우자를 두어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은 있으나
명주와 마음이 잘 맞고 합이 잘 된 배우자는 癸(편관)이 월간에 위치하게 되니 명주는 본인보다
정신적으로 성숙되어 있는 여자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배우자의 사회성은 일지에서 투출된 기운이
乙이니 연주 乙亥가 배우자의 사회성이 되는데, 乙은 편관이니 자기 절제가 잘 되는 여자이고
乙은 부드러운 木의 이상이니 부드러운 성품과 어느정도의 추진력도 가지고 있게 됩니다.
그리고 역마위에 좌하고 통근하니 활발한 성격도 가지고 있는 여자가 되겠습니다.
甲 己 癸 乙 공망: 子丑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子 未 未 亥 乾命)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만 57세 戊寅대운에 왕이 될 수 있었던 이유)
결국 나이가 들면 명주가 甲(정관)과 간합을 하니 사회적으로 우두머리를 뜻하는 甲이 되려고하는
마음이 강해지게 됩니다. 그리고 정관의 기운이니 큰 공인된 조직체의 우두머리가 되려고 할 것이니
한 나라의 왕이 되고자 하는 강한 욕망이 발동하게 됩니다.
寅대운지지로 시간의 甲(정관)의 확실한 통근지가 마련되는데, 명주 己는 전답이라서 큰 나무甲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그런데 천간 대운 태산 戊(겁재)가 명주가 튼튼한甲을 키울 수 있게 도와주게 되니
주변의 도움에 힘을 입어 조선의 초대 왕이 되게 됩니다. 새 나라의 첫 왕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甲(정관)이 욕지 위에 있어 깨끗이 씻어진 甲(정관)이라서 가능했을 것입니다.
시간의 甲은 천문성에 해당하는 연지亥에서 투출된 기운이니 태어나면서 부터 하늘로 부터 계시를 받은
왕이었다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왕이 된 이후 운로 분석)
왕이 된 이후 丁丑대운을 타게되면 대운지지 丑이 월지와 일지를 충하게 되므로 명주에게는 삶의 환경적으로
왕권 통치를 할 때 많은 변화변동을 겪게 됩니다. 특히 통치 말년에는 왕자들이 권력 다툼으로 정신없어하는
것을 보고 많은 실망감을 느꼈으며 불가에 귀의하여 여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태조 이성계 사주 분석 후 소감)
한 나라의 왕은 하늘이 내린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게 해 주는 사주입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적으로 알아 두면 좋은 것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태조 이성계에 대한 설화가 있습니다.
어느날 꿈을 꾸었는데,써까래 3개가 허리에 떨어지더라는 것입니다.
해몽가에게 물었는데 써까래 3개에 허리가 부러지니 얼마 못가 죽을 거라는 겁니다.
또 다른 해몽가에게 물어보니 그 해몽가는 큰절을 올리고 장차 왕이 될거라고 하더랍니다.
이유인즉, 허리 1 에 써까래 3개 가 붙으면 임금 왕(王)字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 시대에는 왕이 가장 두려워 하는게 반역(역모)입니다.
하여 관리를 등용 할 때는 6명의 역관(易官)이 모여 사주를 보아 반역을 할 수 없는 사람만 등용을
했다고 합니다.
헌데 이성계 사주를 보고 의견이 분분 했는데,아마 추측컨데 亥未가 천간에 乙을 보아
천간 유인력에 의해 亥卯未木局을 이룬것을 놓고 의견 대립이 있지 않았을까?
추측 해 봅니다.
하여 실제 인물을 보니 체구도 적고, 얼굴도 시커먼게 큰인물감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리고
등용을 했다는 설 도 있습니다.
시주에 甲목 官이 子수를 깔았는데 일지 未토가 절묘 합니다.
甲목이 열사토인 未토에 뿌리내리기 가 어려운데 未토는 子수를 만나면 辰토가 됩니다.
하여 甲목이 가장 좋아하는 辰토에 뿌리를 내리니 아주 좋은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未토는 처궁이니 처덕이 있다고 봐야지요.
또한 처궁에서 乙목 편관을 투출시켰으니 처가 官을 만들어 주는데 내조가 컸음을 알 수 있습니다.
乙亥가 처의 사회성이 되니 처는 정인을 깔아 배움이 있고, 점잖은 사람 입니다.
未월에 亥수로 조후역할 까지 해줍니다.
時支 子수가 천을귀인이라 말년에 하늘의 도움이 있고, 子수가 여자이니 여자(처 포함)의 덕이
있었으리라 판단 됩니다.
子未원진이 있으니 집중력 또한 대단 했다고 봐야지요.
관살혼잡이니 여자는 많아겠지만, 관살이 조후역할을 해주니 여자의 덕 도
있습니다.
깔끔한 통변 조언 감사드립니다. ^^ 그런데, 원진살과 집중력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원진이 있으면 신강사주는 집중력,몰입력이 강하고,
신약사주는 엉뚱한 짓(또라이짓)을 합니다.
소무승선생님과 안부낙도님의 대화글을통해
많은 것들을 또 배우게 됐습니다!!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