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끼리마늘이란 ? |
○ 신 소득 작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코끼리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큰 구근식물로, 한국의 고유종이며, 마늘과 유사하여 국내에서는 왕마늘, 대왕마늘, 웅녀마늘 등으로 불립니다.
○ 코끼리마늘은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맛이 약하여 양념류 보다는 굽거나 흑마늘, 장아찌 등으로 이용됩니다.
□ 코끼리마늘 무름병의 증상 및 특징은 무엇인가요 ? |
○ 무름병은 세균에 의한 병으로 생육초기부터 잎, 잎집, 구 등 모든 부위에서 발생하여 심한 피해를 줍니다.
○ 잎에서는 엽맥을 따라 방추형의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며, 진전되면 심한 악취를 내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 죽습니다.
○ 잎집에서는 내·외부가 물러 썩으며, 손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뽑혀집니다.
○ 구에서는 연한 갈색의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면서 전체로 진전되면서 악취가 발생합니다.
<코끼리마늘 무름병의 증상과 병원세균>
![]() | ![]() |
무름병 증상 | 내·외부 병징 비교 |
![]() | |
배양기에서 생장한 병원세균 | 병원세균의 형태 |
□ 관련 영농활용기술
연번 | 활용분야 | 영농활용기술명 | 개발연도 |
|
| 관련없음 |
|
□ 연구개발과제정보
활용제목 | 코끼리마늘 무름병의 병징 진단 정보 제공 | ||
어젠다 | 3-1 | 농업기초기반연구 | 농업기초기반연구-농산물안전성연구 |
주관과제명 | 농업현장 작물 병원체·선충 임상진단 및 표준시료 관리 (PJ0124822018) | ||
세부과제명 | 농업현장 작물 세균병 임상진단 및 표준시료 관리 (PJ012482032018) | ||
연구개발자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이영기 | ||
공동개발자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김경님, 최효원, 홍성기 |
<세부연구결과>
그림 1. 코끼리마늘 무름병의 증상 및 병원세균의 형태. A∼C, 재배밭에서의 증상; D, 배양기에서 생장한 병원세균; E, 병원세균의 형태; F, 인공접종에 의해 생성된 병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