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V가 피부나 점막에 감염되는 경로에 대하여 심도있게 알아보겠습니다.
표피층을 현미경으로 보면 여러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표피층의 가장 아랫부분인 기저층부터 HPV가 자리잡게 됩니다.
따라서 기저층으로 침투하려면 당연히 표피층의 가장 바깥부위
(쉽게 생각하면 피부...)를 통과하여야 되겠죠?

위 그림은 구조학자들이 고안한 HPV 모델입니다.
기전이 명확하지 않지만, 물에 접촉하였을 경우, 찰과상을 입었을경우,
현미경으로 보았을때 미세 손상을 입었을 경우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또한 HPV가 표피 줄기 세포에 감염이 되어야 병변이 생길수 있습니다.
피부 조직에서는 이러한 표피 줄기세포가 모낭에 많이 존재합니다.
PCR을 통하여 모낭에서 많은 HPV DNA를 검출하였습니다.
그러면 자궁경부에서는 어떨까요?
대표적 고위험 바이러스인 HPV 16은 자궁경부의 원주기둥세포에 침투를 하게됩니다.
원주기둥세포에 침투한 HPV16은 transformation zone
(자궁경부암 혹은 이형성증이 발생하는 장소)의 기저층에 자리잡게됩니다.
바이러스가 표피층에 부착하게 되는 기전에는 헤파린 설페이트라는 물질이 관여합니다.
이렇게 침투한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세포의 핵에 침투하여 변형작업을 시작하게됩니다.
이렇게 변형된 세포들이 자궁경부 이형성증 혹은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HPV가 일으킬 수 있는 병들은?
자궁경부암은 HPV가 주 원인 인자라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HPV는 또한 항문, 회음부, 질, 남성의 성기에도 암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심지어 머리와 목에 발생하는 암도 HPV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조직의 99.7%에서 고위험 HPV가 발견이 되었고,
항문암에서는 70% 이상의 HPV 검출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회음부에서 발생하는 암은 상대적으로 낮은 HPV 검출율을 나타냈습니다.
질암의 60%에서 HPV가 발견이 되었으며
남성 성기암의 30-42%에서 HPV가 검출되었습니다.
이렇게 자궁경부와 항문에서 HPV가 높게 검출이 되는 이유는
transformation zone (변형대)이 존재하여 HPV가 쉽게 침투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변형대가 존재하지 않은 질, 회음부, 남성성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HPV 검출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태아의 HPV 감염으로 생기는 질환
HPV 수직 감염 즉 감염된 산모로 부터 태아가 전염이 되었을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질환은 한가지만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질환은 매우 드믄 것으로 되어 있지만 간략하게 설명해드립니다.
신생아가 주산기 (분만 전후 시기)때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일어날수 있는 질환은 유년기 재발성 호흡성 유두종
(juvenile onset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JORRP)) 입니다.
주로 12세 이전에 발생하는 후두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목을 쉬게 만들고
심할때는 호흡 곤란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유아에게서 드믄 질환이나 어린이
에게는 심각한 병을 만들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주산기때의 HPV 감염과 확실한 인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HPV 6번과 11 번의 감염이 원인입니다. 임신시 성기에 사마귀가 있는 산모가
분만한 신생아 1000명당 7명의 비율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자연 분만한 산모에서 많이 발생하고 진통 기간이 길면
빈도가 증가 된다고 밝혀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