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형
1) 구성

① 준비작동밸브 본체
② 1차측제어밸브
③ GLOBE VALVE
④ 배수밸브(50mm)
⑤ 배수밸브(25mm)
⑥ 볼밸브(15mm)
⑦ Drip Check Valve
⑧ 수동기동밸브(Emergency Release Valve)
⑨ 전자밸브(Solenoid Valve)
⑩ 볼밸브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전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수동
조작 불필요
· 화재시 감지기가 작동되면 솔
레노이드밸브⑨가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 ①의 2차측압력이 떨어지므로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밸브의 디스크가 열려 밸브 2차측 챔버로부터 sp헤드까지 물이 충만하게 된다.
· 이때에 화재가 점차로 커지면
sp헤드가 작동되면서 관내에 충압되어 있던 물이 살수 되어 소화 |
· 소화후 제수(制水) 및 배수
- 완전소화를 확인한 후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 정지
- OS&Y형 밸브②를 잠그고 배수밸브④와⑤를 열어 완전 배수
- 볼밸브⑥을 열고,드립첵크밸브⑦의 버튼을 눌러 완전 배수를 확인
· 소화 태세의 복구
- 작동된 SP헤드 및 파손, 소손된 부분의 부품을 교환하여 원상태로 복구
- 배수밸브④와⑤를 잠그고 제어반의 복구를 확인
- 수동기동밸브⑧과 밸브⑩은 반드시 잠겨져 있어야 함.
- 위와 같이 각종밸브의 개폐상태가 확인되면 글로우브밸브③을
먼저 열고 밸브②를 서서히 열어 배관 내부의 수압이 안정되면 밸브③을 다시 잠금 |
· 수동기동밸브(비상밸
브)⑧을 열어 경보발령 및 펌프기동을 확인
· 확인되면 곧 밸브②를
속히 잠그고 제수작업 실시
· 소화태세로 완전 복구
※ 현장 여건에 따라
제어반의 경보장치 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2. SDV형
1) 구성

① 준비작동밸브 본체
② 1차측제어밸브(OS&Y형 밸브)
③ DRAIN VALVE
④ 볼밸브(중간챔버 급수용)
⑤ 수동기동밸브(Emergency Release Valve)
⑥ 전자밸브(Solenoid Valve)
⑦ 압력계(1차측)
⑧ 압력계(중간챔버용)
⑨ 경보시험밸브
⑩ 중간챔버
⑪ 첵크밸브
⑫ 복구레버(밸브후면)
⑬ 자동배수밸브
⑭ 압력스위치
⑮ 2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2차측 제어밸브⑮를잠금
· 화재시 감지기가 작동
되면(1개 회로작동시는경보장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⑥이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 ① 의 중간챔버⑩의 압력이 저하로(푸시로드 후진,레버후진,크래퍼 개방)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2차측 제어밸브까지 물이 충만
· 경보장치 작동
· 펌프기동 및 압력유지 |
· 소화후 제수(制水) 및 배수
- 1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② 및 볼밸브④를 잠그고
- 배수밸브 ③ 및 수동기동밸브⑤를 열어완전 배수
-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정지 확인
· 소화 태세의 복구
- 복구레버 ⑫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크래퍼 폐쇄(소리로 확인)
- 배수밸브③ 및 수동기동밸브⑤을 잠금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④ 개방⇒중간챔버에 급수⇒압력계⑧확인
- 1차측 제어밸브②를 서서히 개방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④잠금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 2차측 제어밸브⑮잠금
· 경보시험밸브⑨ 개방
⇒ 압력스위치 연동
⇒ 경보장치 작동
· 경보 확인후 시험밸브
⑨ 잠금
· 자동배수밸브⑬ 수동
개방(버튼누름)⇒배수 및 복구
· 제어반 스위치 상태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소화태세로 완전 복구
※ 현장 여건에 따라 제
어반의 경보장치 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3. FPC형
1) 구성

① 준비작동밸브 본체
② 1차측제어밸브(OS&Y형 밸브)
③ 볼밸브(중간챔버 급수용)
④ 드레인밸브(2차측 연결)
⑤ 수동기동밸브(Emergency Release Valve)
⑥ 전자밸브(Solenoid Valve)
⑦ 압력계(1차측)
⑧ 볼밸브
⑨ 경보시험밸브
⑩ 압력스위치
⑪ 첵크밸브(본체와 중간챔버 급수용배관과 연결)
⑫ 중간챔버
⑬ 2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
⑭ POR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2차측 제어밸브⑬를 잠금
- 감지기 2개 회로 작동되
면(1개 회로작동시는 경보장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⑥이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①의 중간챔버⑫의 압력이 저하로(크래퍼 개방)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2차측 제어밸브까지 물이 충만
- PORV⑭작동(중간챔버압
력저하 상태 지속)
- 경보장치 작동
- 펌프 기동 및 압력 유지
|
· 소화후 제수(制水) 및 배수
- 1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
② 및 볼밸브③를 잠그고
- 배수밸브 ④ 및 수동기동밸브⑤를 열어 완전 배수
-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 정지 확인
· 소화 태세의 복구
- 배수밸브④ 및 수동기동밸브⑤을 잠금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③ 개방
⇒중간챔버에 급수(크래퍼 자동복구)⇒압력계⑦확인
- 1차측 제어밸브②를 서서히 개방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③잠금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⑬ 서서히 개방 |
· 2차측 제어밸브⑬잠금
· 경보시험밸브⑨ 개방
⇒ 압력스위치 연동
⇒ 경보장치 작동
· 경보 확인후 시험밸브
⑨ 잠금
· 자동배수밸브⑬ 수동개
방⇒배수 및 복구
· 제어반 스위치 상태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⑬ 서서
히 개방
· 소화태세로 완전 복구
※ 현장 여건에 따라 제
어반의 경보장치 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4. SCV형(세진 크래퍼 TYPE)
1) 구성
① 준비작동밸브 본체
② 1차측제어밸브(OS&Y형 밸브)
③ DRAIN VALVE
④ 압력공급볼밸브(중간챔버급수용)
⑤ 수동기동밸브(Emergency Release Valve)
⑥ 전자밸브(Solenoid Valve)
⑦ 압력계(1차측)
⑧ 압력계(중간챔버용)
⑨ 경보시험밸브
⑩ 볼밸브
⑪ 드레인콕크
⑫ 복구레버(밸브후면)
⑬ 자동배수밸브
⑭ 압력스위치
⑮ 2차측 제어밸브(OS&Y형밸브)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2차측 제어밸브⑮를 잠금
· 화재시 감지기가 작
동되면(1개 회로작동시는 경보장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⑥이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 ① 의 중간챔버⑩의 압력이 저하로(푸시로드 후진, 레버 후진, 크래퍼 개방)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2차측 제어밸브까지 물이 충만
· 경보장치 작동
· 펌프 기동 및 압력 유지 |
· 소화후 제수(制水) 및 배수
- 1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② 및 볼밸브④를 잠그고
- 배수밸브 ③ 및 수동기동밸브⑤를 열어
배수하고 드레인 콕크⑪을 열어 밸브내를 완전배수
-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정기 확인
· 소화 태세의 복구
- 복구레버⑫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크 래퍼 폐쇄(소리로 확인)
- 배수밸브③ 및 수동기동밸브⑤를 잠금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④ 개방⇒중간
챔버에 급수⇒압력계⑧ 확인⑤밸브를 열어AIR제거
- 1차측 제어밸브②를 서서히 개방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④ 잠금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 2차측 제어밸브⑮잠금
· 경보시험밸브⑨ 개방
⇒ 압력스위치 연동
⇒ 경보장치 작동
· 경보 확인후 시험밸브
⑨ 잠금
· 자동배수밸브 보턴⑬
누름⇒경보중지
· 제어반 스위치 상태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소화태세로 완전 복구
※ 현장 여건에 따라 제어반의 경보장치 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5. 세진 다이어후램 TYPE
1) 구성
① 준비작동밸브 본체
② 1차측제어밸브(OS&Y형 밸브)
③ 25mm 드레인밸브
④ 압력공급밸브
⑤ 수동기동밸브(Emergency Release Valve)
⑥ 전자밸브(Solenoid Valve)
⑦ 압력계(1차측)
⑧ 압력제어부 게이지(2차측)
⑨ 경보시험밸브
⑩ POR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
⑪ 첵크밸브(본체와 중간챔버 급수용 배관과 연결)
⑫ 중간챔버
⑬ 자동배수밸브
⑭ 압력스위치
⑮ 2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2차측 제어밸브⑮를
잠금
· 감지기 2개 회로 동작
되면(1개 회로작동시는경보장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⑥이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 ① 의 중간챔버⑫의 압력이 저하로(크래퍼 개방)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2차측 제어밸브까지 물이 충만
· PORV⑩작동(중간챔
버 압력저하 상태지속)
· 경보장치 작동
· 펌프기동 및 압력유지 |
· 소화후 제수(制水) 및 배수
- 1차측 제어밸브(OS&Y형 밸브)② 및 볼밸브④를 잠그고
- 배수밸브 ③을 완전 배수후 잠금(이때밸브는 자동으로 닫힘)
-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정기 확인
· 소화 태세의 복구
- 배수밸브③을 잠금
- 밸브④를 개방하고 수동기동밸브⑤에 물이 흐르면
⑤ 밸브 잠금(이때, ⑧번 압력게이지에 압력 표시)
- 1차측 제어밸브②를 서서히 개방하면
⑦번 1차측 게이지에 압력표시
- 중간챔버 급수용 볼밸브③ 잠금
- ⑦⑧번 압력게이지에 압력이 표시되고⑬번 자동배
수밸브를 눌러 수압이 걸리지 않으면 작동준비 완료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 2차측 제어밸브⑮잠금
· 경보시험밸브⑨ 개방
⇒ 압력스위치⑭ 연동
⇒ 경보장치 작동
· 경보 확인후 시험밸브
⑨ 잠금
· 자동배수밸브⑬ 누르면⇒경보중지 및 복구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⑮ 서서히 개방
· 소화태세로 완전 복구
※ 현장 여건에 따라 제어반의 경보장치 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6. 우당 WPV TYPE
1) 구성
① 셋팅밸브
② 드레인밸브
③ 솔레노이드밸브
④ 경보시험밸브
2) 작동방법
작 동 순 서 |
작동후 조치(제수 및 복구) |
작 동 시 험 |
· 작동순서
- 2차측 제어밸브를 잠금
- 감지기 2개 회로 작동되면(1개회
로작동시는 경보장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③이 열리면서 1,2차 균압되어 있던 프리액션밸브의 중간챔버의 압력이 저하로(크래퍼 개방) 균압상태가 파괴되면서 2차측 제어밸브까지 물이 충만
- 솔레노이드 배수관으로 물이 쏟아
지며, 2차 압력계가 박동되고 화재경보가 발신되면서 2차측 화재지점(또는 시험방수구)로 신속하게 소화수 방출
- 경보장치 작동
- 펌프 기동 및 압력 유지
·시스템 유지
- 개방: 1차 개폐밸브
2차 개폐밸브
- 폐쇄: 프리액션밸브 본체
및 ①,②,③,④ 밸브 |
· 소화 태세로의 복구
- 1차측 개폐밸브(OS&Y형밸브)
를 폐쇄하여 펌프급수를 차단
- 배수밸브 ②을 열어 완전배수후
잠금(이때, 밸브는 자동으로 닫힘)
- 제어반을 복구하여 경보
및 펌프가동 정지 확인
- 솔레노이드밸브③의 시트복구
를위해 복구단추를 1회 당김
- 셋팅밸브①을 개방하면 1차 압
력계만 작동되고 프리액션밸브시트가 가압수에 의해 폐쇄됨
- 1차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2차측으로 누수 및 경보신호가 없고 2차압력계가 "0"위치이면 정상적인 셋팅임
- 제어반 스위치 상태 확인
- 2차측 제어밸브 서서히 개방 |
· 화재경보만 시험
- 경보시험밸브④를 개방하면본체를 개방
하지 않고도 화재경보발신의 이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고 이때 2차측으로 넘어간 시험수는 자동으로 배수됨
- 압력스위치 연동
⇒ 경보장치(SIREN)작동
- 경보 확인후 시험밸브④잠금
※ 현장 여건에 따라 제어반의 경보장치정지
상태로 할 후 작동 시험 실시
· 배관의 청결유지System Clean
- 배관내에 이물질 침투가 없도록 여과된 물을
공급해야 시트손상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음
- 크린체크밸브 캡을 열어 여과망을 자주
청소하면 셋팅아벽이 정상적으로 공급됨.
- 설치공사 및 압력가압시 주변
배관과 압력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 기동조작부가 방해되지 않도
록 보온처리하여 동파사고 및 피해방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