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지/채색*
구름속에서 나오는 용
제가 직접 그린 운룡도에요.
용비늘 표현도 만만찮은 작업시간이 걸렸는데
저 먹구름 붓으로 찍어 표현하는데만 ..7시간..ㅎ
정성껏 그린 그림이니 잘 봐주세요~
글구 오늘 밤 용꿈꾸세요^^
- 비단고동 -
용이 상징하는 것은 다양합니다.
신분과 종교를 넘어 길상의 상징으로 사용되는데 민간에서 최고의 권력자인 왕까지 그리고 부처를 수호하는 법신으로도
이용됩니다.
민간의 용신사상과 절대권력자의 상징으로 이용되는 용은 불교에서 특히 다양하게 이용됩니다.
절집의 주요 건물 현판에 보면 용머리가 장식된 곳이 많습니다.
뒷편에 꼬리까지 장식한 곳도 있습니다.
반야용선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절집 자체가 서방정토로 향하는 배가 되므로서 부처님을 향해 앉은 우리는 모두 서방정토로 향하게 됩니다.
사정전의 운룡도
"신령한 용이 토하는 구름이 영괴한 것은 용 스스로의 능력 때문이요, 이 영괴한 구름으로 인해서 용은 더욱 영묘해질수 있다.
현명한 임금이 있음으로 어진 신하들이 있고 어진 신하들이 있음으로 해서 임금은 더욱 훌륭해질 수 있다."
허균,고궁산책에서
용과 구름이 함께 있으므로 용과 구름은 상호보완을 함으로서 영험함이 배가 됩니다.
1+1=3이 되는 시너지 효과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운룡도

운룡도 19세기 전기 29.5x49.5

운룡도 19세기전기 58.6x91.6
운룡도 19세기전기 183.4x53
용은 상상의 동물이지만 어쩌면 우리와는 가장 친근한 동물이라고 할수있다. 그래서인지 민화에서도 자주 그려졌다.
용은 실재하는동물이 아니기에 인간의 끊임없는 상상력으로 무한한 능력을 가진 동물로 그려지고 그렇게 믿고 있다.
용은 81개의 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 여기에 닿으면 죽는다고 하며, 토끼의 눈, 소의 귀, 뱀의 목, 범의 발바닥, 매의 발톱, 큰 조개같은 배와 수염, 용주, 발톱, 뿔을 가지고 있다. 또 <용은 비늘이 있는 동물의 우두머리이고, 능히 어둡고 밝음, 크거나 작거나, 길거나 짧거나를 마음대로 조절할수 있으며 춘분에 하늘에 오르고 추분에 연못에 잠긴다>고 전해지고 있다.
용은 알을 낳으며 "정월 첫용날(上辰日)에 농촌 부녀자간에 행해지는 '용알뜨기'라는 풍습이 있는데 그 하루 전날 용이 하늘에서 우물로 내려와서 알을 낳아 두었으므로 그 우물물을 남보다 먼저 길어다가 밥을 지으면 그 해 자기 집 농사가 잘 된다 하여 서로 우물물을 길었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용은 종류도 많고 전해지는 이야기들도 다양하다. 그러나 민화에서는 주로 운룡이 많이 그려졌다.
운룡도(雲龍圖)는 길상과 벽사의 그림으로 쓰였고, 또 임금을 나타내기도 하고, 기우(祈雨)와 관계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민화에서 그려진 운룡은 세시에 그린 벽사용이거나, 기우제 소용으로 그린 그림이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용이 지니고 있는 변화무쌍하고 신령스러운 능력은 용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것이 아니라 인간이 상상하여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인간은 그 용에게 부여한 힘과 능력에 의지하고자 했다. 민화의 성격이 늘 그렇듯이 이러한 우리의 마음과 의지를 담아내어 탄생시킨 그림이 운룡도(雲龍圖)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첫댓글 님이 그리신 것은........... 마치 단청을 한 것 같은 착각이 들게 하는군요. 제 생각으로는............ 녹색을 조금 써 주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제 느낌을 있는 그대로 밝히는 것을 너무 꾸짓지 마시길 빕니다. 아주 좋은 자료입니다. 몇 번을 읽어 두면 좋을 듯 하군요. 고마움을 전합니다.
저두 첨에 민화를 접했을때 불화 분위기에 참 익숙하지 않았지요.
그래서 제가 좋구 제가 맘에 드는 그림만 보곤 했었는데..
직접 그리고 다양하게 접하다보니 민화적인 시각으로 바라 보게 되더군요.
민화적 시각.... 아직도 갈 길이 멀긴 하지만..ㅎㅎ
회장님도 회장님 맘에 드는쪽으로 보시고 편하게 생각하셔요^^ 절대 꾸짓을 생각 없어요.ㅎㅎ
우와

대단 합니다..색감이 있고 힘이 넘처 보입니다..볼수록 대단합니다..그자그마한 체구에서 우떠 이런 대작이... 
오늘 보았은데, 좋은 느낌 .... 알찬 지식도 ... 잘 보고, 잘 읽었습니다.
더우기 영험하다니, 내 방에 하나 걸어놓고 싶음은 ... 사야(구입) 되겠지요? 궁금 ...
이 운룡도, 규격은?(몇 호 사이즈라 해야 되나?) 꾀나 큰 대작인 것 같은데 ... 감사를!
아직.. 표구 안했는뎅 ㅎ
대작 절대 아닌데... 사진이 크게 나온건데 .ㅋㅋ 글구 반조님이 제 그림 구입 하신다면 좀 비싸게...값을 불렀야 겠지요. 깍아 드리더라도...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