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해(鎭海) 右道. 10일. 서울과의 거리는 8백 87리이다.
異名: 팔진(八鎭). 우산(牛山).
* 진해현감겸진주진병마절제도위. 임기(瓜滿) 3년.
* 진해훈도. 종9품.
동쪽으로 칠원(漆原) 귀산현(龜山縣) 경계까지 13리이고, 남쪽으로 고성현(固城縣) 경계까지 16리이며, 서쪽으로 진주(晉州) 반성현(班城縣) 경계까지 21리이고, 북쪽으로 함안군(咸安郡) 경계까지 9리이며, 서울과의 거리는 8백 87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려 진해현이다. 현종(顯宗) 9년에 진주에 예속시켰고 공양왕(恭讓王)이 감무(監務)를 두었다. 본조 태종조(太宗朝)에 현감으로 고쳤다.
【관원】 현감ㆍ훈도(訓導) 각 1인.
【군명】 팔진(八鎭)ㆍ우산(牛山).
【성씨】 본현 김(金)ㆍ신(申)ㆍ조(曹)ㆍ성(成), 하(河) 진주(晉州). 이(李) 사천(泗川). 정(鄭) 속성(續姓)이다.
『신증』 【풍속】 습속이 검소하고 솔직하다. 관풍안(觀風案)에 있다.
【산천】 취산(鷲山) 현 북쪽 5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鎭山)이다. 우산(牛山) 현 서쪽 5리 지점에 있다. 여항산(餘航山) 현의 관아 북쪽 10리 지점에 있는데 산 북쪽은 함안군(咸安郡)이다. 바다 현 동남쪽에 있다. 대범의도(大凡矣島)ㆍ소범의도(小凡矣島) 모두 현 남쪽에 있다. 궁도(弓島) 현 남쪽에 있으며 물길로 16리이다. 대주도(大酒島) 둘레가 20리이다. 소주도(小酒島) 물길로 16리다. 두 섬 사이가 20보(步)인데 썰물이 빠지면 육지에 이어진다. 시락포(時落浦) 현 서쪽 12리 지점에 있다. 소달포(小達浦) 현 서쪽 10리 지점에 있다. 물의 근원이 여항산에서 나오며 남쪽으로 흘러서 바다에 들어간다. 마역포(馬亦浦) 현 서쪽 1리 지점에 있다. 거차포(巨次浦) 현 서쪽 2리 지점에 있다. 물의 근원이 함안군 파산(巴山) 남쪽에서 나오며, 남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도만포(道萬浦) 현 동쪽 12리 지점에 있다. 동성천(東城川) 현 동쪽 1리 지점에 있다. 물의 근원이 창원부(昌原府) 광산(匡山)에서 남쪽으로 나오며 남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토산】 유자ㆍ표고ㆍ차[茶]ㆍ홍어ㆍ문어ㆍ대구[大口魚]ㆍ전복[鰒]ㆍ조개ㆍ굴[石花]ㆍ꿀[蜂蜜]ㆍ모래무지[鯊魚]ㆍ청어ㆍ석류.
『신증』 은어[銀口魚]ㆍ황어ㆍ조기[石首魚]ㆍ오징어[烏賊魚]ㆍ낙지[絡締], 대[竹] 고현(古縣)에서 많이 난다.
【성곽】 읍성(邑城) 석축(石築)이며 둘레는 4백 46척이고 높이는 9척이다.
【봉수】 가을포 봉수(加乙浦烽燧) 현 동쪽 4리 지점에 있다. 서쪽으로 고성현(固城縣) 곡산(曲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함안군 파산에 응한다.
【학교】 향교 현 북쪽 1리 지점에 있다.
【역원】 상령역(常令驛) 현 서쪽 5리 지점에 있다. 소달원(所達院) 현 서쪽 10리 지점에 있다.
【불우】 의림사(義林寺)ㆍ계원사(溪原寺) 모두 여항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현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鄕校)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현 남쪽 5리 지점에 있다. 여단(厲壇) 현 북쪽에 있다.
【고적】 부산향(富山鄕) 현 서쪽 3리 지점에 있다.
【제영】 해천고진수기사(海天孤鎭戍旗斜) 이첨(李詹)의 시에, “바닷가 외로운 진에 깃발이 비스듬한데 말을 몰아 남쪽으로 오니 집에 가는 것 같구나. 저녁 봉화(烽火)가 한 줄기만 전하는 것 보았으니, 고깃배 타고 갈꽃 속에 자고저.” 하였다. 방변촌점진어가(榜邊村店盡漁家) 김조(金銚)의 시에, “바닷가 외로운 성에 좋은 경치 많은데, 이웃한 시골 가게는 다 어부의 집일세. 섬 오랑캐 심복하여 싸움 없으니, 곳곳에 격양가(擊壤歌)만 들려오누나.” 하였다. 월명남포청어가(月明南浦廳漁歌) 조서강(趙瑞康)의 시에, “푸른 바다 끝없고 여기 저기 산도 많은데, 한 조각 외로운 성에 수십 집이로다. 나그네 밤 깊어도 잠 못 이루고, 달 밝은 남포에서 고기 잡는 노래 듣노라.” 하였다. 팔진증경전수다(八鎭曾經戰戍多) 안등(安騰)의 시에, “팔진은 일찍이 전쟁을 많이 겪었고, 밥 짓는 연기 십 리까지 인가가 있구나. 강바람이 두세 곡조를 실어 보내니, 날 저문 어촌에 장단가(長短歌)일세.” 하였다. 분첩차아진해변(粉堞嵯峨鎭海邊) 서거정(徐居正)의 시에, “흰 성가퀴가 우뚝하여 바닷가를 진압하고, 새 누각은 불쑥 솟아 봉새가 높이 나는 듯하네. 검 같은 여러 섬이 띠엄띠엄 있고, 고래 같은 물결은 번쩍번쩍 온 하늘을 덮네. 어촌에 해가 지니 한가하게 달을 차지했고, 염점(鹽店)에 밀물 드니 따뜻한 연기가 난다. 멀리 온 나그네 유유한 생각 많아, 난간에 기대어 눈이 뚫어질 듯하네.”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선조 3년, 4년에는 함안(咸安)에 합쳤다가 광해주 9년에는 다시 두었다. 인조 5년에는 창원에, 7년에는 또 함안에 합쳤다가 17년에는 다시 두었다.
【방면】 동면(東面) 끝이 10리이다. 서면(西面) 끝이 15리이다. 북면 끝이 15리이다. ○ 부산향(富山鄕)은 서쪽으로 3리이다.
* 안의(安義) 右道. 8일. 서울과의 거리는 7백 52리이다
異名: 利安(이안). 感陰(감음) 안음(安陰)
* 안의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제도위
* 안의훈도. 종9품.
동쪽으로 거창군 경계까지 21리이고, 서쪽으로 전라도 장수현(長水縣) 경계까지 57리이며, 남쪽으로 함양군 경계까지 5리이고, 북쪽으로 거창군 경계까지 50리인데, 서울과의 거리는 7백 52리이다.
【건치연혁】 이안현(利安縣)은 본래 신라 마리현(馬利縣)이다. 경덕왕이 이안현이라 고쳐서 천령군(天嶺郡) 속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현종 9년에는 합주에 이속시켰고, 공양왕 때에는 감음(感陰)에 이속시켰다. 감응현(感應縣)은 본래 신라 남내현(南內縣)이다. 경덕왕이 여선(餘善)이라 고쳐서 거창군 속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초에 감음이라 고쳤고, 현종 9년에는 합주에 이속시켰다. 의종(毅宗) 15년에 현 사람 자화(子和) 등이, 정서(鄭叙)의 아내가 현 아전 인량(仁梁)과 함께 임금과 대신을 저주한다는 것으로써 무고하였으므로, 자화는 강 복판에다 던지고 현은 강등시켜 부곡(部曲)으로 만들었다. 공양왕이 다시 감무를 두고 이안현을 내속시켰다. 본조 태종조에 관아를 이안에 옮기고, 지금 명칭으로 고쳐서 현감으로 하였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인.
【군명】 이안(利安)ㆍ마리(馬利)ㆍ화림(花林)ㆍ감음(感陰)ㆍ남내(南內)ㆍ여선(餘善)
【성씨】 이안(利安) 조(曺)ㆍ임(林)ㆍ하(河)ㆍ김ㆍ표(表) 감음(感陰) 공(孔)ㆍ황ㆍ서문(西門)ㆍ서(徐)ㆍ최, 강(姜), 이(李) 내성(來姓)이다. 가을산(加乙山) 고ㆍ윤ㆍ박ㆍ안ㆍ송.
【풍속】 억세고 사나우며 다투고 싸움하였다 관풍안에, “억세고 사나우며 다투고 싸움하기를 좋아하였다.” 하였다.
【산천】 성산(城山) 현 서쪽 3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이다. 지우산(智雨山) 현 북쪽 20리 지점에 있다. 황석산(黃石山) 현 서북쪽 15리 지점에 있다. 천왕점(天王岾) 현 서쪽 20리 지점에 있다. 영취산(靈鷲山) 현 서쪽 50리 지점에 있다. 백운산(白雲山) 현 서쪽 30리 지점에 있으며 함양군 경계이다. 덕유산(德裕山) 현 서북쪽 60리 지점에 있으며, 전라도 금산군(錦山郡) 및 장수현(長水縣) 경계이다. 육십현(六十峴) 현 서쪽 60리 지점에 있으며 전라도 장수현 경계이다. 동천(東川) 객관 동쪽에 있다. 덕유ㆍ지우 두 산 물이 현 북쪽에서 합치며, 남쪽으로 흘러서 함양군 남계(藍溪)로 된다.
【토산】 호두[호도(胡桃)]ㆍ오미자ㆍ은어[銀口魚]ㆍ꿀[蜂蜜]ㆍ감ㆍ산무애뱀[白花蛇]ㆍ석이버섯[石蕈]ㆍ대[竹]. 『신증』 사향ㆍ웅담ㆍ당귀.
【성곽】 황석산성(黃石山城) 석축이며 둘레는 2천 9백 24척이다. 성 안에 시내 하나가 있고 군창(軍倉)이 있다.
【누정】 선화루(宣化樓) 객관 북쪽에 있다. 『신증』 현감 정여창이 고쳐 짓고, 이름을 광풍(光風)이라 하였다.
『신증』 제월당(霽月堂) 관풍루와 연해 지었다.
【학교】 향교 현 북쪽 3리 지점에 있다. 현에 옛날에는 학교가 없었으므로 학생들이 관아에 우거하였는데, 성화(成化) 9년에 현감 최영(崔榮)이 후암사(厚巖寺) 옛 터에 지었다. 향교 남쪽에 점풍대(點風臺)가 있다. 두 가닥 물이 대 밑에서 합류하여 동천이 되는데 증점(曾點)이 무에서 바람 쏘인 뜻을 따서 이름하였다.
【역원】 임수역(臨水驛) 현 동쪽 5리 지점에 있다. 수원(藪院) 현 남쪽 5리 지점에 있다. 반락지원(半落只院) 현 북쪽 10리 지점에 있다. 장풍원(長風院) 현 북쪽 40리 지점에 있다.
『신증』 【교량】 동천대교(東川大橋) 동천에 있다. 용문교(龍門橋) 향교 앞에 있다. 장풍교(長風橋) 감음현 하류에 있다.
【불우】 영각사(靈覺寺) 덕유산(德裕山)에 있다. 극락암(極樂庵) 영취산(靈鷲山)에 있다. 장수사(長水寺) 지우산(智雨山)에 있다. 절 앞에 폭포가 있고, 그 밑에 용추(龍湫)가 있다.
【사묘】 사직단 현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현 서쪽 2리 지점에 있다. 여단 현 북쪽에 있다.
【고적】 가을산소(加乙山所) 현 서쪽 40리 지점에 있으며 딴 이름은 옥산(玉山)이다. 고려 때에는 함양 속현이었는데, 그 뒤에 내속되었다. 감음 폐현 현 북쪽 35리 지점에 있으며 군창이 있다.
『신증』 【명환】 본조 정여창(鄭汝昌)ㆍ문관(文瓘).
【인물】 고려 하천(河千) 고종 때 사람이다. 성품이 솔직하고 문장을 잘하여 당시의 표문(表文)과 전문(箋文)은 모두 그의 솜씨에서 나왔다.
본조 임정(林整) 벼슬이 서경 도순문 찰리사(西京都巡問察理使)에 이르렀다. 임득정(林得禎) 정의 손자이다. 무예로써 현달하여 벼슬이 절도부사에 이르렀다.
【효자】 고려 반전(潘腆) 홍무 무진년에 왜적이 현에 침입하여 아비 숙(淑)을 잡아 갔다. 전이 은띠와 은덩이를 가지고 왜적에게 가서 아비와 바꾸기를 청하니, 왜적이 의롭게 여겨서 허락하였다.
본조 박인손(朴仁孫) 11세 때에 그의 아비가 악질에 걸렸는데, 의원이 무명지의 뼈가 매우 좋다 하였다. 인손은 곧 손가락을 끊어 술에 타서 먹게 하였더니, 병이 나았다. 조귀천(趙貴千) 아비가 악질에 걸렸다. 무명지를 끊어서 국에 타서 먹게 하였더니, 아비 병이 곧 나았다. 일이 알려져서 정려하고 복호(復戶)하였다.
【열녀】 본조 옥금(玉今) 17세 때에 남편이 죽고 시부모를 따라 살았다. 길에서 마을 사람을 만났는데, 욕보이고자 하므로 거절하고 복종하지 않았다. 마을 사람이 핍박하여 문까지 오니, 옥금은 피할 수 없음을 알고 목매어 죽었다.
【제영】 수성촌적격전림(數聲村笛隔前林) 배둔(裵屯)의 시에, “아침에 산음을 떠나 저물녁에 안음에 와서, 홀로 동헌에 기대니 가을 밤이 깊어 온다. 한 점 등잔불은 벽을 반쯤 밝히는 데, 두어 마디 피리 소리 앞 숲에서 들려오네. 만고의 흥망 속에 산은 옛날 그대로이고, 천 가지 영욕속에 머리가 눈 빛일세. 성은을 보답하지 못하고 늙음이 슬퍼라. 삼각산과 한수가 그리워 길게 읊조리네.” 하였다. 십리계산위고현(十里溪山圍古縣) 노숙동(盧叔仝)의 시에, “10리에 뻗은 시내와 산은 옛고을을 둘렀고, 두어 집 울타리는 성긴 숲에 보이네.”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영종 4년에 혁폐하고, 역적 정희량(鄭希亮)이 역모하여 혁폐하고, 현의 땅을 함양과 거창에 분속시켰다. 12년에 다시 두고 43년에 안의(安義)라 고쳤다.
【고읍】 감음(感陰) 북쪽 35리. 본래는 신라의 남내(南內)이다. 경덕왕(景德王) 36년에 여선(餘善)으로 고치고, 거창군의 속현으로 하였는데 고려 태조 23년에 감음으로 고쳤고, 현종 9년에 합천에 속하게 하였다. 의종 15년에 무고(誣告)한 옥사로 인해 부곡으로 강등되었는데, 공민왕 2년에 다시 감무를 두고 이안(利安)을 내속시켰다.
【방면】 현내(縣內) 끝이 5리이다. 황곡(黃谷) 동남쪽 끝이 20리이다. 초참(草站) 동쪽 끝이 20리이다. 대대(大代) 위와 같다. 지대(知代) 북쪽 끝이 20리이다. 남리(南里) 북쪽 끝이 30리이다. 고현(古縣) 북쪽 끝이 10리이다. 동리(東里) 위와 같다. 북상동(北上洞) 북쪽으로 끝이 60리이다. 북하동 북쪽으로 끝이 50리이다. 서상동(西上洞) 서북쪽으로 끝이 70리이다. 서하동 서쪽 끝이 40리이다. 위의 6면은 감음의 옛 현 땅이다. ○ 가을산소(加乙山所) 지금은 옥산(玉山)이라 부르며 서쪽으로 40리이다.
【성지】 고성(古城) 서쪽으로 3리이다. 성산(城山)이라 부르며 유적이 있다.
【창고】 읍창(邑倉)ㆍ고현창(古縣倉) 감음 땅이다. 옥산창(玉山倉) 서쪽으로 40리에 있다.
【교량】 대교(大橋) 동천(東川). 용문교(龍門橋) 향교 앞. 장풍교(長風橋) 북쪽으로 40리, 감음현의 하류이다.
【토산】 닥종이[楮]ㆍ호두[胡桃].
【누정】 광풍루(光風樓)ㆍ화학루(花鶴樓) 모두 읍내에 있다.
【사원】 용문서원(龍門書院) 숙종 계미년에 세웠고 현종 임인년에 사액했다. 정여창(鄭汝昌) 문묘 편을 보라. 정온(鄭薀) 광주(廣州) 편을 보라. 황암사(黃巖寺) 숙종 을미년에 세우고 정미년에 사액하였다. 곽준(郭䞭) 호는 임재(任齋)이고, 본관은 현풍(玄風)이다. 벼슬은 안음현감이었는데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으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조종도(趙宗道) 호는 대소헌(大笑軒)이며 본관은 함안이다. 벼슬은 함양 군수(咸陽郡守)였는데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으며,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정용(鄭庸) 자는 자상(子常)이며 본관은 지주이다. 임진왜란 때에 문경 현감(聞慶縣監)의 서리였는데 진주에서 죽었다. 유명개(劉名蓋) 자는 현보(顯普)이며 본관은 거창이다. 정유년 난리 때에 거창 좌수(座首)로 이 읍에서 순절하였다. 위의 두 사람은 숙종 을미년에 별사(別祠)에 배향하였다.
* 단성(丹城) 右道. 10일. 서울과의 거리는 8백 46리이다
異名: 강성(江城). 진성(珍城). 책읍(冊邑). 책계(冊溪).
* 단성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제도위
* 단성훈도, 종9품.
동쪽으로 진주 경계까지 12리이고, 남쪽으로 같은 주 경계까지 8리이며, 서쪽으로는 같은 주 경계까지 17리이고, 북쪽으로는 산음현 경계까지 21리인데, 서울과 거리는 8백 80리이다.
【건치연혁】 강성현(江城縣)은 본래 신라 궐지군(闕支郡)이다. 경덕왕이 궐성(闕城)이라 고쳤고, 고려에서는 강성현이라 고쳤다. 뒤에 군으로 승격하였고 현종이 진주에 예속시켰으며, 공민왕이 감무를 두었다. 본조 공정왕조(恭靖王朝)에는 임시로 우접한 영선(永善)의 명진현(溟珍縣)을 합쳐서 진성현(珍城縣)이라 하였는데, 세종조에 명진을 다시 거제에 예속시켰다. 단계현(丹溪縣)은 본래 신라 적촌현(赤村縣)이다. 경덕왕이 단읍(丹邑)이라 고쳐서 궐성군 속현으로 만들었고, 현종이 합주에 예속시켰으며, 공양왕이 도로 강성에 예속시켰다. 본조 세종조에 두 현 명칭을 따서 지금 명칭으로 고치고, 현감으로 만들었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인.
【군명】 궐지(闕支)ㆍ궐성(闕城)ㆍ강성(江城)ㆍ진성(珍城)ㆍ귀성(龜城)ㆍ적촌(赤村)ㆍ단읍(丹邑)ㆍ단계(丹溪).
【성씨】 본현 문(文)ㆍ송ㆍ여(呂)ㆍ이ㆍ조(曺), 하(河) 진주(晉州). 주(周) 초계(草溪). 김 용궁(龍宮)ㆍ김해(金海)ㆍ계성(桂城)ㆍ송림(松林). 탁(卓) 속성(續姓)이다. 단계(丹溪) 이ㆍ하ㆍ서ㆍ여(余)ㆍ사(史), 송 투화(投化)에서 온 성씨이다.
【풍속】 근검함을 숭상하고, 절의를 높인다.
【산천】 내산(來山) 현 북쪽 1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이다. 지리산 현 서쪽 41리 지점에 있다. 보암산(寶巖山) 현 북쪽 37리 지점에 있다. 월명산(月明山) 현 동북쪽 30리 지점에 있다. 집현산(集賢山) 현 동쪽 15리 지점에 있고 진주 경계이다. 둔철산(芚鐵山) 현 북쪽 30리 지점 산음현 경계에 있다. 소괴산(消怪山) 현 서쪽 8리 지점 진주 경계에 있다. 척지산(尺旨山) 현 북쪽 50리 지점인 산음현 경계에 있다. 올율산(屼栗山) 현 동쪽 22리 지점에 있다. 신안진(新安津) 현 동쪽 5리 지점에 있다. 곧 산음현 우탄 하류인데, 진주 소남진(召南津)을 지나서 남강(南江)이 된다. 양천(梁川) 현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 단계천(丹溪川) 하류로서 신안진에 들어가며 단계현에 있다. 물 근원이 산음현 황산에서 나오며 양천으로 들어간다.
【토산】 철 척지산에서 산출한다. 매실ㆍ감ㆍ비자ㆍ꿀[蜂蜜]ㆍ대[竹]ㆍ차ㆍ석류ㆍ은어[銀口魚].
【성곽】 동산성(東山城) 현 북쪽 7리 지점에 있으며, 삼면이 절벽이다. 둘레는 2천 7백 95척이고, 동남쪽 백여 척은 석축으로 보수되어 있다. 성 안에 샘 하나, 못 하나가 있으며 군창이 있다.
【봉수】 입암산 봉수(笠巖山烽燧) 현 북쪽 27리 지점에 있다. 남쪽으로 진주 광제산(廣濟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삼가현 금성산에 응한다.
【누정】 쌍청루(雙淸樓) 객사 북쪽에 있으며, 귀감(龜鑑)이라 하기도 한다. 신안루(新安樓) 딴 이름은 강루(江樓)이다. 현 동쪽 5리 지점에 있으며, 동쪽 돌 벼랑에 달려 있는 듯하다. 매년 여름 장마 때면 위태하던 돌이 가끔 강에 떨어진다. 옛날 강성군이던 때에 태수가 밤에 객과 기생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술을 마시는 중에 돌이 떨어져서 배에 있던 자는 모두 빠졌고, 고을의 인장도 잃었다 한다.
【학교】 향교 현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역원】 신안역(新安驛) 현 북쪽 16리 지점에 있다. 벽계역(碧溪驛) 단계현에 있다. 신안원(新安院) 신안역 동쪽에 있다. 송계원(松界院) 송계부곡에 있다.
『신증』 【교량】 양천교(梁川橋) 양천에 있다.
【불우】 운룡사(雲龍寺) 보암산에 있다. 율곡사(栗谷寺) 척지산에 있다. 정취사(淨趣寺) 둔철산에 있다. 청안사(靑安寺) 월명산에 있다. 봉서암(鳳棲庵) 올율산에 있다. 소괴사(消怪寺) 소괴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 현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현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여단 현 북쪽에 있다.
【고적】 단계 폐현(丹溪廢縣) 현 동북쪽 28리 지점에 있으며 군창이 있다. 송계부곡(松界部曲) 현 북쪽 25리 지점에 있다. 문을(文乙)부곡 현 서쪽 9리 지점에 있다.
【명환】 본조 강윤(姜允)ㆍ손창(孫昌) 정사에 임하여 청렴하고 간명하여서 성종이 특별히 한 품계를 승진시켰다.
【인물】 고려 문익점(文益漸) 공민왕 때 과거에 올랐다. 정언으로써 서장관이 되어 원(元) 나라에 갔다가, 목화(木花) 종자를 구해서 돌아왔다. 그의 장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부탁하여 심게 하였더니, 3년 만에 크게 번식하였고, 씨앗 발라 내는 기구와 실 뽑는 기구는 모두 천익이 만들었다.
익점이 홍무년 중에 어미 상을 만나 곁에서 시묘하였다. 그때 왜적이 한창 성하여서 사람들이 모두 도망쳐 숨었으나, 익점은 움직이지 않고 3년을 마쳤다. 본조 태종조에 참지의정부사 강성군(江城君)으로 추증(追贈)되었다.
【우거】 고려 허옹(許邕) 충숙왕조(忠肅王朝)에 과거에 올랐고, 벼슬이 전리판서에 이르렀다. 호는 우헌(迂軒)이며 강직한 것으로써 이름났다.
본조 윤자영(尹子濚) 율정(栗亭) 택(澤)의 현손이다. 과거에 올랐고 또 중시와 발영시에도 뽑혔다. 벼슬은 진주 목사에 이르렀다.
【효자】 고려 주경(周璟) 아비가 죽자 상례를 《가례(家禮)》와 똑같이 하고 3년 동안 시묘하였다. 정문하고 비석을 세웠다. 허계도(許繼道) 허옹의 아들이며 벼슬이 개성 소윤(開城少尹)에 이르렀다. 홍무 계해년에 아비가 죽자 3년 동안 시묘하였다. 그 때 왜적의 침해가 한창 성하였으나, 계도는 하루도 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일이 알려져서 장려하였다.
본조 천년(千年) 지극한 효성으로 어미를 섬겼다. 큰 비가 와서 가옥이 모두 침몰하였는데, 천년은 처자를 버리고 어미만 업고 피하였다. 그리하여 처자는 모두 떠밀려 가버렸다. 일이 알려져서 상으로 베를 주고 복호(復戶)하였다.
본조 나유문(羅有文) 연산조(燕山朝)에 복상제도(服喪制度)를 단기(短期)로 하는 법이 엄하였다. 그러나 유문은 어미가 죽자 홀로 예법대로 집상하였다. 몹시 애통하였으므로 인해 병이 되었는데, 죽을 무렵에 그의 아내와 영결하면서, “3년 동안 어머님께 제(祭)하는 것을 내가 살았을 때와 같이 하오.” 하였다. 아내는 그 말과 같이 하여서 비록 비와 눈이 와도 몸소 무덤에 제하여 폐하지 않았다. 지금 임금 5년에 정려되었다.
【열녀】 본조 소사(召史) 16세이었는데 남편이 나무하다가 범에게 해를 당했다. 소사는 매우 슬퍼하여 뼈가 드러날 지경으로 수척하였다. 부모가 억지로 그의 뜻을 꺾으려 할까 두려워하여 항상 맹세하기를, “나에게 딴 뜻이 있으면 무슨 면목으로 시부모를 볼 것이며, 지하의 죽은 사람을 볼 것인가.” 하였다. 하루는 그의 부모가 과연 딴 곳에 시집보내려고 하였는데, 소사는 미리 알고 목매어 죽었으므로 일이 알려져서 정려되었다. 이씨(李氏)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고 19세에 홀로 되었다. 3년 동안 매우 슬퍼하였다. 그 아들이 또 요절하였으나 시부모를 정성껏 섬겼다. 그 아비가 젊은 나이에 홀로 된 것을 불쌍하게 여겨서, 그 지조를 억지로 굽히고자 하였다. 이씨는 듣고 3일 동안 통곡하다가 집 앞에 두어 길이나 되는 깊은 못이 있었는데 스스로 빠져 죽었다. 이웃 여자가 놀라서 그의 오라비에게 알려서 구원하여 깨어났다. 그 뒤로부터 시부모 섬기기를 더욱 정성스럽게 하였다. 일이 알려져서 정려되고 복호하였다. 연이(燕伊) 밤에 남편이 문 밖에서 신을 삼고, 연이는 문 안에서 삼(麻)을 매만지고 있었는데, 범이 남편을 물어가자, 연이는 왼손으로 범 꼬리를 잡고 오른손으로 범을 때렸다. 그리하여 범이 소리를 지르면서 달아나서 남편이 살아났다.
【제영】 이락무인행자성(籬落無人杏子成) 정윤의(鄭允宜)의 시에, “첫 새벽에 말을 달려 외딴 성에 들어오니, 울타리엔 사람 없고 살구 맺었다. 뻐꾸기는 왕사(王事)가 급한 줄 알지 못하고, 숲 속에서 종일토록 봄갈이만 권하네.”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선조 32년 산음현(山陰縣)과 합하였다 왜구가 모두 섬멸시켰기 때문이다. 광해주 5년에 다시 두었다. 치소(治所)를 내산(來山) 밑으로 옮겼다가, 숙종 28년에 강성(江城) 옛터로 옮겼으나 영종 7년에 다시 내산으로 옮겼다.
【방면】 현내(縣內) 끝이 15리이다. 오동(梧桐) 동쪽으로 끝이 10리이다. 도산(都山) 동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20리이다. 원당(元堂) 남쪽으로 처음이 5리, 끝이 15리이다. 북동(北洞) 서북쪽으로 처음이 3리, 끝이 25리이다. 생북양(生北陽) 동북쪽으로 처음이 20리, 끝이 35리이다. 채등(彩燈) 북쪽으로 처음이 20리, 끝이 40리이다. 범물야(凡物也) 북쪽으로 처음이 35리, 끝이 50리이다. 신동(新洞) 북쪽으로 끝이 40리이다.
【창고】 읍창(邑倉) ㆍ단계창(丹溪倉) 고현(古縣)에 있다.
【진도】 신안진(新安津) 동쪽으로 5리이다.
【토산】 숫돌[礦石].
【사원】 도천서원(道川書院) 태종 신사년에 세웠고 정종 정미년에 사액하였다. 문익점(文益漸) 자는 일신(日新)이고 호는 삼우당(三憂堂)이며,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공민왕 때에 서장관으로 원 나라에 가서 목화 씨를 얻어 와 우리나라에 심었다. 벼슬은 좌사의 우문관제학이었다. 본조 태종조(太宗朝) 때에 참지의정부사 강성군(江城君)을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권도(權濤) 자는 정보(靜甫)이고 호는 동계(東溪)이며,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벼슬은 대사간이었는데 이조 판서를 추증했다.
* 거창(居昌) 右道. 8일 반. 서울과의 거리는 7백 35리이다.
異名: 居烈(거열), 居陀(거타). 娥林(아림). 濟昌(제창).
* 거창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제도위. 문관, 무관. 뒤에 도호부로 승격.
* 거창훈도, 종9품.
동쪽으로 합천군(陜川郡) 경계까지 28리이고, 남쪽으로 삼가현(三嘉縣) 경계까지 28리이며, 산음현(山陰縣) 경계까지는 34리이다. 서쪽으로 안음현(安陰縣) 경계까지 25리이고, 북쪽으로 지례현(知禮縣) 경계까지 46리이며, 전라도 무주현(茂朱縣) 경계까지는 66리이고, 서울까지는 7백 35리 거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신라 거열군(居烈郡) 거타(居阤)라 한 곳도 있다. 경덕왕이 지금 명칭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이 합주(陜州)에 예속시켰고, 명종(明宗)이 비로소 감무를 설치하였다. 본조 태종조에 거제현(巨濟縣)과 합쳐서 제창(濟昌)이라 부르다가, 뒤에 다시 쪼개어 거창현으로 만들고, 관례대로 현감으로 고쳤다. 전하 원년에는 왕비(王妃)의 내향(內鄕)이라는 이유로 군으로 승격시켰다.
【속현】 가조현(加祚縣) 현 동쪽 15리 지점에 있다. 본래 신라 가소현(加召縣)이었으나, 사투리가 서로 비슷하므로 소(召)가 변하여 조(祚)로 되었다. 경덕왕이 함음(咸陰)이라 고쳐서 본군에 내속시켰고, 고려 초에는 옛 명칭으로 환원시켰다. 현종이 합주에 이속시켰다가 뒤에 다시 내속시켰다. 원종 때에 거제현(巨濟縣)이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피해서 관아도 여기에 우접하고 그대로 거제라 일컬었다. 우리 세종조에 와서, 거제는 본래 섬으로 돌아가고 현도 또한 거창으로 도로 예속되었다.
【관원】 군수ㆍ훈도 각 1인.
『신증』 지금 임금 초년에 다시 현으로 되었다.
【관원】 현감 1인.
【군명】 거열(居烈)ㆍ거타(居陁)ㆍ아림(娥林)ㆍ제창(濟昌).
【성씨】 본현 유(劉)ㆍ신(愼)ㆍ장(章)ㆍ정(丁)ㆍ주(朱), 최 내성(來姓)이다. 가조(加祚) 사(史)ㆍ조(曺)ㆍ갈(葛)ㆍ유(劉)ㆍ신(辛).
【풍속】 습속이 억세고 사나움을 숭상한다 관풍안에 있다.
【형승】 온 도에서 가장 서쪽 지역이다. 북쪽으로 삼봉산(三峯山)을 바라보고, 남쪽으로 감악(紺嶽)을 바라본다 모두 허광(許匡)의 척서루기(滌暑樓記)에 있다.
【산천】 건흥산(乾興山) 군 북쪽 8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이다. 삼봉산(三峯山) 군 북쪽 51리 지점에 있으며, 전라도 무주현(茂朱縣) 경계이다. 감악(紺岳) 군 남쪽 20리 지점에 있다. 삼가현(三嘉縣) 편에도 적혔다. 금귀산(金貴山) 군 동쪽 15리 지점에 있다. 우두산(牛頭山) 가조현 동쪽에 있으며, 곧 합천 가야산 서쪽 줄기이다. 수도산(修道山) 군 동북쪽 36리 지점에 있다. 우마현(牛馬縣) 군 북쪽 50리 지점에 있는데, 지례현(知禮縣) 경계이다. 도마현(都麽縣) 군 북쪽 55리 지점에 있는데, 전라도 무주현 경계이다.
적현(赤峴) 가조현 북쪽 30리 경계에 있으며 성주(星州) 경계이다. 영천(瀯川) 군 남쪽 1리 지점에 있다. 물 근원이 둘인데, 하나는 안음현 월성산(月星山)에서 나오고, 하나는 덕유산(德裕山)에서 나온다. 군 동쪽 5리 지점에 와서 아월천(阿月川)과 합류한다. 아월천(阿月川) 군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 물 근원이 둘인데, 하나는 우마현에서 나오고, 하나는 도마현에서 나오며 군 동쪽에 와서 영천에 들어간다. 가조천(加祚川) 가조현 서쪽 2리 지점에 있다. 물 근원이 적현에서 나오며, 합천 부자연(父子淵) 위에 와서 영천과 합류한다. 웅곡지(熊谷池) 군 남쪽 6리 지점에 있다.
【토산】 꿀[蜂蜜]ㆍ오미자ㆍ감ㆍ밤ㆍ은어[銀口魚]ㆍ석이버섯[石蕈]ㆍ송이[松蕈]ㆍ잣[海松子]. 『신증』 사향ㆍ웅담ㆍ당귀.
【봉수】 금귀산 봉수(金貴山烽燧) 남쪽으로 합천 소현(所峴)에 응하고, 북쪽으로 거말흘산( 巨末訖山)에 응한다.
거말흘산(巨末訖山) 곧 우마현 서쪽 봉우리이다. 남쪽으로 금귀산에 응하고 북쪽으로 지례현 귀산(龜山)에 응한다.
【누정】 척서루(滌暑樓) 객관 서쪽에 있다. 정통(正統) 갑자년에 현감 김제남(金第南)이 건립하였고, 허광(許匡)의 기문이 있다.
『신증』 침류정(枕流亭) 영천 위에 있다.
【학교】 향교 군 북쪽 3리 지점에 있다.
【역원】 성초역(省草驛) 군 서북쪽 54리 지점에 있다. 성기역(星奇驛) 군 북쪽 24리 지점에 있다. 무촌역(茂村驛) 군 남쪽 14리 지점에 있다. 동원(東院) 군 동쪽 5리 지점에 있다. 정태원(鼎台院) 군 남쪽 15리 지점에 있다. 고천원(古川院) 군 남쪽 34리 지점에 있다. 병화원(竝火院) 군 북쪽 16리 지점에 있다. 성기원(星奇院) 성기역 남쪽에 있다. 석적원(石積院) 군 북쪽 40리 지점에 있다. 고제원(高梯院) 군 북쪽 30리 지점에 있다. 성초원 성초역 북쪽 10리 지점에 있다. 무촌원(茂村院) 무촌역 남쪽에 있다.
『신증』 【교량】 영천대교(瀯川大橋) 영천에 있다. 고제교(高梯橋) 고재원 북쪽에 있다.
【불우】 건흥사(乾興寺) 건흥산에 있다. 보해사(普海寺)ㆍ보광사(普光寺) 모두 수도산에 있다. 견암사(見巖寺) 우두산에 있다. 바위 구렁이 깨끗하고 훌륭하다. 홍무(洪武) 을해년에 우리 태조가 고려의 왕씨(王氏)를 위해서 밭 1백 결(結)을 내리고, 매년 5월과 10월에 내향(內香)을 내려서 수륙재(水陸齋)를 실행하였다.
【사묘】 사직단 군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군 동쪽 4리 지점에 있다. 여단 군 북쪽에 있다.
【고적】 아주촌(鵝洲村) 거제가 가조현(加祚縣)에 우거했을 때에, 본도의 속현 및 역원 등을 가조현 경내에 아울러 설치하였는데, 아주현은 군 동쪽 10리 지점에 있고, 송변현(松邊縣)은 무촌역 남쪽 5리 지점에 있으며, 오양역(烏壤驛)도 가조현 서쪽에 있었다. 그리하여 주민이 지금도 그대로 일컫는다. 금귀산고성(金貴山古城) 석축이며 둘레는 1천 5백 87척이고, 성 안에 샘 둘이 있다.
【명환】 본조 조항(曺沆) 세종조에 현감이 되었다. 『신증』 문계창(文繼昌).
【인물】 본조 신기(愼幾) 과거에 올랐고, 벼슬이 전라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신전(愼詮) 과거에 올라, 벼슬이 황해도 관찰사에 이르렀다.
【효자】 본조 허광(許匡) 벼슬이 성균관 직강이었다. 어버이를 위해서 3년 동안 시묘하였는데, 일이 알려져서 정려되었다. 이녹련(李祿連) 9세 때에 손을 끊어서 아비의 악질을 치료하였다. 일이 알려져서 정려하였다. 『신증』 김석(金碩) 어머니를 지극한 효도로 섬겼다. 어머니가 갑자기 죽자 손가락을 끊어서 술에 타 먹였더니, 어머니가 다시 깨어났다. 지금 임금 5년에 정려되었다.
【열녀】 고려 최씨 낭장 김순(金洵)의 아내이다. 홍무(洪武) 경신년 7월에, 왜적이 본현을 침입하여 최씨를 잡아서 더럽히고자 하였으나, 굳게 거절하고 따르지 않다가 그들에게 살해되었다. 그 동리를 절개있는 부인의 마을이라 하여 정표하였다.
【제영】 조운고첩다(朝雲古堞多) 안등(安謄)의 시에, “봄 비에 앞 시냇물이 빨라졌고, 아침 구름은 옛 성가퀴에 많다.”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효종 9년에 안음현(安陰縣)에 합하였다 노예가 주인을 죽였기 때문이다. 현종 9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영조 5년에 단의왕후(端懿王后) 신씨(愼氏 중종(中宗) 왕비)를 복위시킨 뒤에 관향이기 때문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가, 정조 11년에 현(縣)으로 강등시키고, 21년에 다시 승격시켰다.
《대동지지(大東地志)》
【토산】 호두[호도(胡桃)]ㆍ대[竹].
【성지】 건흥산 고성(乾興山古城) 신라 문무왕(文武王) 13년에 거열주(居烈州) 만흥사(萬興寺)의 산에 쌓았는데, 성의 둘레는 3리이다. 가조고현성(加祚古縣城) 금귀산성(金貴山城)이라 하며, 신라 파사왕(婆娑王) 8년 7월에 가소(加召)에 쌓았는데, 성의 둘레는 1천 5백 87척이며 우물이 두 개다. 고성(古城) 북쪽으로 5리, 평강(平岡) 위에 있는데 둘레가 3리이다. 월곡산성 남은 터가 있다.
【방면】 동부(東部) 끝이 5리이다. 음석(陰石) 동쪽으로 처음이 5리, 끝이 10리이다. 모곡( 毛谷) 동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15리이다. 고모현(古毛峴) 동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20리이다. 지상곡(只尙谷) 동쪽으로 처음이 15리, 끝이 25리이다. 웅양(熊陽) 동북쪽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48리이다. 적화현(赤火峴) 동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50리이다. 남흥(南興) 동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30리이다. 무등곡(無等谷) 위와 같다. 천외(川外) 남쪽으로 끝이 10리이다. 청림(靑林) 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20리이다. 고천(古川) 남쪽으로 처음이 15리, 끝이 35리이다. 천내(川內) 서쪽으로 끝이 10리이다. 갈지(乫旨) 위와 같다. 주곡(主谷) 북쪽으로 처음이 20리, 끝이 30리이다. 고제(高梯) 북쪽으로 처음이 35리, 끝이 60리이다. 지차리(只次里) 처음이 20리, 끝이 25리이다. 가동(加東) 동쪽으로 처음이 35리, 끝이 40리이다. 가서(加西) 동쪽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35리이다. 상가남(上加南) 동쪽으로 처음이 40리, 끝이 50리이다. 하가남 동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40리이다. 가북(加北) 동북쪽으로 처음이 30리, 끝이 60리이다. 이상 5면은 가조(加祚) 고현의 땅이다.
【교량】 대교(大橋) 영천(瀯川)에 있다. 고제교(高梯橋) 북쪽으로 30리이다.
【창고】 읍창ㆍ고제창(高梯倉) 북쪽으로 40리이다. 신창(新倉) 동북쪽으로 30리이다. 가조창(加祚倉) 동쪽으로 30리이다.
【사원】 도산서원(道山書院) 현종 경자년에 세우고, 임인년에 사액하였다. 김굉필(金宏弼 )ㆍ정여창(鄭汝昌)ㆍ이언적(李彦迪) 모두 문묘 편에 보라. 정온(鄭薀) 광주(廣州) 편에 보라.
○ 완계서원(浣溪書院) 현종 갑진년에 세우고, 경신년에 사액하였다. 김식(金湜) 청풍(淸風) 편에 보라.
○ 포충사(褒忠祠) 영조 정사년에 세우고 무오년에 사액하였다. 이구원(李逑源) 자는 선숙(善淑)이며 연안(延安) 사람이다. 영조 무신년에 좌수(座首)로써 절개를 지키다가 죽었으며, 벼슬은 본부 증 대사헌(本府贈大司憲)이다.
* 자인(慈仁) 左道. 7일. 서울과의 거리는 7백 30리이다.
이명 : 노사화(奴斯火). 기화(其火). 자주(慈州).
* 자인현감겸대구진관병마절제도위. 문관.
* 자인훈도. 종9품.
* 웅천(熊川) 右道. 10일. 서울과의 거리는 8백 70리이다.
異名: 웅구(熊口). 웅신(熊神). 웅산(熊山). 屛山(병산)
* 웅천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제도위. 문관, 무관. 임기 3년.
* 웅천훈도. 종9품.
동쪽으로 김해부(金海府) 경계까지 15리이고,
남쪽으로 제포(薺浦)까지 2리이며,
서쪽으로 창원부(昌原府) 경계까지 25리이고,
북쪽으로 김해부 경계까지 15리이며,
서울과의 거리는 9백 1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신라의 웅지현(熊只縣)이다. 경덕왕(景德王)이 웅신(熊神)이라 고쳐서, 의안군(義安郡)의 속현으로 만들었고, 고려 현종(顯宗)은 금주(金州)에 예속시켰다. 본조 세종조(世宗祖)에서 구자(口子)를 설치하여 첨절제사(僉節制使)를 두었는데, 문종조(文宗朝)에 지금 명칭으로 고쳐서 현감(縣監)을 두었다.
【관원】
현감ㆍ훈도(訓導) 각 1인. 『신증』 금상(今上) 5년에 왜구(倭寇)를 평정하였으므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가, 곧 사시 현으로 만들었다.
【군명】
웅지(熊只)ㆍ웅구(熊口)ㆍ웅신(熊神)ㆍ병산(屛山)ㆍ웅산(熊山).
【성씨】
본현 서(徐)ㆍ주(朱)ㆍ유(劉), 김(金) 금주(金州). 사법(寺法) 제(諸).
천읍(川邑) 공(公). 완포(莞浦) 전(田)ㆍ정(鄭)ㆍ김.
【형승】
천 층 줄지은 멧부리와 만 이랑 파도 정사(鄭賜)의 시에, “천 층 줄지은 멧부리는 3면을 둘렀고, 만 이랑 파도는 한편에 넓다.” 하였다.
【산천】
웅산(熊山) 현 북쪽 5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鎭山)이다.
병산(屛山) 현 북쪽 1리 지점에 있으며 북쪽으로 웅산과 이어졌다.
고방산(庫房山) 현 서쪽 6리 지점에 있다.
장복산(長福山) 현 서쪽 30리 지점에 있다.
고산(高山) 완포현(莞浦縣) 북쪽 5리 지점에 있으니, 본현(本縣)과의 거리는 45리이다.
사현(私峴) 현(縣) 서북쪽 30리 지점인 창원부 경계에 있다.
율천현(栗川峴) 현(縣) 동쪽 15리 지점에 있다.
수락암(水落巖) 천읍부곡(川邑部曲) 동쪽에 있으며 본현(本縣)과의 거리는 13리이다. 율천현(栗川縣) 산의 남쪽 시냇물이 산허리 바윗돌 사이에 흘러들어서 수십 장(丈) 폭포가 되며, 세 가닥으로 갈라져 수직으로 내린다. 그 지방 사람들은, “전라도가 가물려면 서쪽 물줄기가 마르고, 경상도가 가물려면 동쪽 물줄기가 마르며, 충청도가 가물려면 복판 물줄기가 흐르지 않는다.” 하여, 이것으로 올해의 홍수와 가뭄 여부를 점쳤다. 바다 현 남쪽에 있다. 백산도(白山島)ㆍ흑산도(黑山島) 모두 현 동쪽에 있으며 물길로 20리인데, 두 섬 사이는 1리이다. 가덕도(加德島) 현 남쪽 바다 가운데 있다. 둘레는 75리이며 목장이 있다. ○ 정이오(鄭以吾)의 시에, “한식(寒食) 시절 옛 나루터에, 어지러운 물결과 질펀한 숲이 사람을 시름겹게 하네. 백 년 남은 성 여기인데 사람은 어디 갔나. 지난 일 알 길 없어 백구(白鷗)에게 묻노라.” 하였다. 감물도(甘勿島) 염소를 기르는 목장이 있다. 사의도(蓑衣島)ㆍ대죽도(大竹島)ㆍ소죽도(小竹島) 모두 현 서쪽 바다 가운데 있다. 이슬도(里瑟島)ㆍ벌도(伐島)ㆍ우음지도(亏音之島) 모두 현 서쪽에 있다. 송도(松島)ㆍ연도(椽島)ㆍ수도(水島) 모두 현 남쪽에 있다. 만산도(滿山島) 현 동쪽 20리 지점에 있다. 초리도(草里島) 제포(薺浦) 바다 가운데에 있다. 물길로 13리이니, 곧 거제현(巨濟縣) 경계이다. 부곡포(釜谷浦) 현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 웅포(熊浦) 현 남쪽 2리 지점에 있다. 덕산포(德山浦) 현 서쪽 16리 지점에 있다. 양곡포(梁谷浦) 현 서쪽 55리 지점에 있다. 제포(薺浦) 현 남쪽 5리 지점에 있으며 늘 거주하고 있는 왜호(倭戶)가 있다. 주포(主浦) 현 동쪽 30리 지점에 있으며 김해부(金海府) 경계이다. 『신증』 부인산(夫人山) 현 동쪽 20리 지점에 있다. 날씨가 가물면 비가 내리기를 기원한다.
【토산】 대구[大口魚]ㆍ청어ㆍ전어ㆍ홍어ㆍ문어ㆍ전복[鰒]ㆍ오징어[烏賊魚]ㆍ조개[石首魚]ㆍ굴[石花]ㆍ소금ㆍ미역ㆍ표고[香蕈]ㆍ오사(烏蛇)ㆍ산무애뱀[白花蛇]ㆍ석류ㆍ유자ㆍ대ㆍ해삼ㆍ 실미역ㆍ세모(細毛).
『신증』 낙지[絡締]ㆍ조기ㆍ숭어[秀魚]ㆍ농어[鱸魚]ㆍ모래무지[鯊魚]ㆍ담채.
【성곽】 읍성(邑城) 석축(石築)이다. 둘레는 3천 5백 14척이고 높이는 15척이다. 성안에 우물 둘이 있다.
【관방】 제포진(薺浦鎭) 우도 수군첨절제사영(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 있다.
관할하는 곳은 안골포(安骨浦)ㆍ사량(蛇梁)ㆍ당포(唐浦)ㆍ영등포(永登浦)ㆍ옥포(玉浦)ㆍ조라포(助羅浦)ㆍ평산포(平山浦)ㆍ적량(赤梁)이다. 석성(石城)이 있는데 둘레는 4천 3백 13척이며 성안에 우물 둘이 있다.
○ 첨절제사 1명이다. 안골포 영(安骨浦營) 현(縣) 동쪽 20리 지점에 있다. 석성이며, 둘레는 1천 7백 14척이고 높이는 10척이다. 성안에 시내 하나, 우물 하나가 있다. ○ 수군 만호 1명이다.
【봉수】 가덕도 봉수(加德島烽燧) 동쪽으로 김해부(金海府) 성화례산(省火禮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사화랑산(沙火郞山)에 응한다. 사화랑산 봉수 현 남쪽 6리 지점에 있다. 동쪽으로 가덕도에 응하고, 서쪽으로 창원부(昌原府) 여음포(余音浦) 및 본현(本縣) 장복산(長福山)에 응한다. 장복산 봉수(長福山烽燧) 동쪽으로 사화랑산에 응하고 서쪽으로 고산(高山)에 응한다. 고산 봉수 동쪽으로 장복산에 응하고 남쪽으로 같은 여음포에 응하며, 서쪽으로 같은 부(府) 성황산(城隍山)에 응한다.
『신증』 성산(城山) 봉수(烽燧) 정덕(正德) 병인년에 가덕도 봉수를 여기에다 옮겼다.
『신증』 【궁실】 왜관(倭館) 제포 남문 밖에 있으니, 왜국 사신을 접대하는 곳이다. 정덕 경오년에 왜구를 평정하고 관을 폐쇄하고 사절(謝絶)하였다. 이전에 대마도(對馬島) 왜놈이 국내에 옮겨와 살기를 청하여 관 앞 바닷가에 살게 하였는데, 점차 불어나서 오백 호(戶)가 넘었다. 부산포(釜山浦)에 살던 왜가 진장(鎭將)이 돌봐주지 않는다고 분하게 여겨서 제포 왜놈과 난리를 일으키기로 모의하였다. 현성(縣城)을 습격하여 함락시켜서 거의 다 도륙하고 불태우니, 우리 조정에서 방어사(防禦使) 유담년(柳聃年)과 황형(黃衡)을 보내어 길을 나눠 토벌하고 평정하여 왜놈들의 소굴을 태운 다음, 다시는 거류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뒤에 왜놈이 정성을 다해서 항복하고 조빙(朝聘)하기를 청하니, 다시 관을 설치하였다.
【누정】 진동루(鎭東樓) 객관(客館) 동쪽에 있다. ○ 현감 양찬(梁瓚)이 지었다. 『신증』 식파루(息波樓) 곧 성 남쪽 문루(門樓)이다. 회원루(懷遠樓)ㆍ수항루(受降樓)ㆍ조종각(朝宗閣) 모두 제포(薺浦)에 있다.
【학교】 향교(鄕校) 현 북쪽 1리 지점에 있다.
【역원】 보평역(報平驛) 현 서문 밖에 있다. 낙수원(落水院) 현 동쪽 11리 지점에 있다. 혜제원(惠濟院) 현 서쪽 20리 지점에 있다. 팔현원(八峴院) 현 서쪽 7리 지점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현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鄕校)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현 북쪽 1리 지점에 있다. 여단(厲壇) 현 북쪽에 있다.
『신증』 웅산신당(熊山神堂) 산 꼭대기에 있다. 그 지방 사람이 매년 4월과 10월에 신을 맞이하여 산에서 내려와서 반드시 쇠북과 북을 치며 여러 가지 놀이를 벌이는데, 멀고 가까운 곳의 사람들이 앞다투어 와서 제사한다.
【고적】 완포폐현(莞浦廢縣) 현 서쪽 30리 지점에 있다. 본래 합포현(合浦縣) 완포향(莞浦鄕)인데 고려에서 현으로 승격하여 전주(全州)에 예속시켰고, 본조(本朝) 문종(文宗) 때에 본현에 내속(來屬)시켰다. 석성(石城)이 있으니, 둘레가 4천 1백 72척이고 높이는 15척이다. 성안에 시내 하나, 샘 둘이 있다. 사법부곡(寺法部曲)ㆍ천읍부곡(川邑部曲) 현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 고산성(高山城) 석축(石築)이며 둘레가 4천 1백 71척이다.
『신증』 【명환】 본조 권승(權勝) 청렴하고 검소하게 정사를 하여, 백성의 재물은 추호도 침범하지 않았다.
【제영】 만리풍도제포변(萬里風濤薺浦邊) 강맹경(姜孟卿)의 시에, “오경(五更) 북소리는 웅성(熊城) 위이고, 만리 풍도(風濤)는 제포 가로다. 지금의 왕화(王化)를 알고자 하여, 두어 곡조 고기잡이 피리 소리 들으며 누선(樓船)에 기대었네.” 하였다. 태평강새한조두(大平彊塞閑刁斗) 이파(李坡)의 시에, 겹겹이 높은 산은 푸름이 끝없고, 아득한 큰 바다는 넓어서 가이 없다. 변방이 태평하니 조두(刁斗 순행 도는 딱다기)가 한가하고, 풍파가 고요하니 달빛이 배에 드네.” 하였다. 해일여반출효천(海日如盤出曉天) 김계창(金季昌)의 시에, “부상(扶桑 동방)의 사신 선위(宣尉)하는 자리에, 임의 은혜는 간 곳마다 기쁘구나. 섬 오랑캐도 마음을 고쳐 관호(官戶)에 편입되고, 바다에서 돋는 해 쟁반 같아 새벽 하늘에 나오는구나. 조두(刁斗)는 딱딱 옛 성첩을 돌고, 깃발은 펄럭펄럭 변방에 빛나네. 장군 장막 밖에 별일 없으니, 봉화도 편안함을 보고하고 달빛만 배에 가득하네.” 하였다. 한기공언여장변(漢旗空偃女牆邊) 이형원(李亨元)의 시에, “주(周) 나라 예법을 매번 융막(戎幕) 속에서 들었고, 한(漢) 나라 깃발을 성가퀴 곁에 눕혔네. 우리 백성은 안도하며 도무지 일 없으니, 다시금 낚싯대 잡고 고깃배에 오른다.”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방면】 읍내(邑內) 끝이 7리이다. 동면(東面) 처음이 10리, 끝이 30리이다. 중면(中面) 북쪽으로 처음은 12리, 끝이 20리이다. 상서(上西) 처음이 20리이고 끝이 30리이다. 하서(下西) 서북으로 처음이 25리, 끝이 40리이다.
○ 천읍부곡(川邑部曲)은 동으로 10리이다. 사법부곡(寺法部曲).
【성지】 완포고현성(莞浦古縣城) 둘레가 4천 1백 72척이다. 샘이 하나 시내가 하나 있다. 고성(古城) 고산(高山에 있는데 완포(莞浦) 고현(古縣)과 북으로 5리 거리이다. 둘레는 4천 1백 72척이다. 웅포성(熊浦城) 왜인이 새로 쌓았다.
【진보】 가덕도진(嘉德島鎭) 섬 가운데 수로(水路)가 30리이며 중종 30년에 진을 세웠는데 암석이 우뚝우뚝 서 있어 배가 정박할 수 없었다. 선조 임진년 후에는 안골성(安骨城)으로 옮겼다가 효종 7년에는 옛터로 다시 옮겼다. ○ 수군첨절제사가 한 사람이다. 천성포진(天城浦鎭) 가덕도(加德島) 가운데 있는데 가덕진의 남으로 10리에 있다. 중종 29년에 진을 설치하고 선조 임진년 후에는 안골성으로 옮겼고 효종 7년에는 옛터로 다시 옮겼다. 수군만호가 한 사람이다.
안골포진(安骨浦鎭) 동으로 30리에 있는데 성의 둘레가 1천 7백 14척이고 우물이 하나 있다. ○ 수군 만호가 한 사람이다. 제포진(薺浦鎭) 남으로 5리에 있는데 성의 둘레는 4천 13척이고 우물 둘이 있다. 회원루(懷遠樓)의 옛터가 있으며 첨사(僉使)가 있다. 선조 임진년 후에는 안골성으로 옮겼다가 인조 3년에는 옛터로 다시 옮겼다. ○ 수군 만호가 한 사람이다. 신문보(新門堡) 남으로 30리에 있다. ○ 수군별장이 한 사람이다. 청천보(晴川堡) 동으로 20리에 있다. ○ 수군별장이 한 사람이다. 풍덕포보(豐德浦堡) 서북으로 40리에 있으며 진에는 별장(別將)을 두었는데 영종 27년에 없앴다.
【창고】 읍창(邑倉)ㆍ서창(西倉) 서북쪽으로 45리에 있다. 진창(鎭倉)이 여섯이다.
【토산】 감ㆍ비자ㆍ김ㆍ홍합(紅蛤).
* 칠원(柒原) 右道. 10일. 서울과의 거리는 7백 80리이다
異名: 柒吐(칠토). 柒提(칠제). 龜城(구성). 茂陵(무릉)
* 칠원현감겸진주진관병마절제도위. 임기 3년.
* 칠원훈도. 종9품.
동쪽으로 창원부(昌原府) 경계까지 26리이고
서쪽으로 함안군(咸安郡) 경계까지 11리이며,
남쪽으로 창원부 경계까지 8리이고 북쪽으로
영산현(靈山縣) 경계까지 23리이며,
서울과의 거리는 8백 28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신라 칠토현(漆吐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칠제(漆隄)라고 고쳐서 의안군(義安郡)의 속현으로 만들었고, 고려 초기에 지금 명칭으로 고쳤다. 원(原)은 원(圓)으로 된 곳도 있다. 현종(顯宗)이 김해부(金海府)에 예속시켰으며 공양왕(恭讓王)이 감무(監務)를 두었는데, 본조에서 현감(縣監)으로 고쳤다.
【속현】 귀산현(龜山縣) 현 남쪽 41리 지점에 있다. 본래 성법부곡(省法部曲)인데 고려 때에 현으로 승격하여 지금 명칭으로 고치고, 웅신현(熊神縣)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금주(金州)에 이속시켰다. 공양왕 때에 내속(來屬)하였고, 일명 은산(銀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창원부 서촌(西村)과 경계가 넘나든다.
【관원】 현감ㆍ훈도(訓導) 각 1인.
【군명】 칠토(漆吐)ㆍ칠제(漆隄)ㆍ귀성(龜城)ㆍ무릉(武陵).
【성씨】 본현 김(金)ㆍ윤(尹)ㆍ정(丁) 귀산 제(諸) 부곡 남(南) 우질포(亏叱浦)와 같다.
【군명】 【풍속】 습속이 검소하고 솔직하다. 관풍안(觀風案)에 있다.
【산천】 청룡산(靑龍山) 현 동쪽 2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鎭山)이다. 무릉산(武陵山) 현 북쪽 10리 지점에 있다. 성산(城山) 현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청량산(淸涼山) 귀산현(龜山縣) 동쪽 2리 지점에 있는데 예전 귀산현의 진산(鎭山)이다. 적현(赤峴) 귀산현 북쪽 9리 지점에 있으며 창원부(昌原府) 경계이다. 바다 귀산현 남쪽에 있다. 여화곶(汝火串) 귀산현 남쪽에 있다. 둘레가 45리이며 목장이 있다. 『신증』 가덕도(加德島)의 목장을 혁파하고 그곳 말을 여기에 옮겨왔다. 저도(猪島) 귀산현 남쪽에 있으며 둘레가 15리이다. 대천(大川) 귀산현 동쪽 1리 지점에 있다. 물의 근원이 창원부 광산(匡山) 남쪽에서 나오며, 남쪽으로 흘러 귀산포에 들어간다. 서천(西川) 현 서쪽 5리 지점에 있다. 물의 근원이 창원부 광산에서 나오며, 북쪽으로 흘러 매포(買浦)에 들어간다. 마전포(麻田浦) 귀산현에 있다. 귀산포(龜山浦) 귀산현 동남쪽 3리 지점에 있다. 우질포(亏叱浦) 현 북쪽 30리 지점에 있다. 곧 영산현(靈山縣) 기음강(岐音江) 하류이다. 여음포(餘音浦) 귀산현에 있다. 멸포(蔑浦) 일명 매포이며, 현 북쪽 30리 지점에 있으니, 곧 우질포 하류이다. 벼랑 위에 누각이 있다. ○ 이첨(李詹)의 시에, “긴 강이 동쪽을 향해 졸졸 흐르는데, 들은 넓고 산은 열려 하늘 끝까지로다. 배와 상앗대는 몇 해나 사람을 건너 주었는가. 풍진(風塵) 만리 길에 객은 누(樓)에 올랐도다. 연기는 두자(杜子)가 진회(秦淮)에서 보낸 밤에 서렸을 때와 같고, 달은 동파(東坡)가 적벽(赤壁)에서 보낸 가을처럼 작네. 갈림길은 남쪽으로 큰 진(鎭)에 통하니, 나그네의 말은 매양 여기에 와서 머문다.” 하였다.
【토산】 벌꿀ㆍ청어ㆍ대구[大口魚]ㆍ인삼ㆍ감ㆍ옻[漆]ㆍ산무애뱀[白花蛇]. 『신증』 해삼ㆍ조기[石首魚]ㆍ붕어[鯽魚]ㆍ홍어ㆍ소금ㆍ대.
【성곽】 읍성(邑城) 석축(石築)이며 둘레는 1천 5배 95척이고 높이는 11척이다.
【봉수】 안곡산 봉수(安谷山烽燧) 현 서쪽 10리 지점에 있다. 남쪽으로 창원부 성황산(城隍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영산현 봉산(峯山)에 응한다.
【누정】 택승정(擇勝亭) 객관(客館) 남쪽에 있으니, 현감 이숙규(李淑珪)가 지었다.
【학교】 향교(鄕校) 현 동쪽 3리 지점에 있다.
【역원】 창인역(昌仁驛) 현 서쪽 7리 지점에 있다. 영포역(靈浦驛) 현 북쪽 21리 지점에 있다. 혜민원(惠民院) 현 서쪽 2리 지점에 있다. 멸포원(蔑浦院) 멸포 벼랑에 있다.
【불우】 장춘사(長春寺)ㆍ 천계사(天溪寺) 모두 무릉산(武陵山)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현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鄕校)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현 동쪽 1리 지점에 있다. 여단(厲壇) 현 북쪽에 있다.
【고적】 경양대(景讓臺) 우질포(亏叱浦) 서쪽 벼랑에 우뚝한 바위가 있고 그 위는 평탄하여 손바닥 같은데 10여 명이 앉을 만하다. 고려 이인로(李仁老)가 일찍이 여기에서 놀이하였다. ○ 이첨(李詹)의 시에, “강 위엔 가을빛이 맑고 그윽한데, 원융(元戎)이 한가한 날에 배를 띄웠네. 물은 쪽빛 같고 모래는 눈 같으며, 산은 병풍 같고 술은 기름 같아라. 석벽(石壁)은 아침저녁 물결에 깎이고, 피리 소리는 고금의 시름을 깨뜨리네. 이 중에 네 가지 일 모두 다 흠 없으니, 흠뻑 취하여 촛불 잡고 논들 어떠하리.” 하였다. 우질포향(亏叱浦鄕) 현 북쪽 25리 지점에 있다. 부곡부곡(釜谷部曲) 현 남쪽 7리 지점에 있다. 산성(山城) 현 북쪽 4리 지점에 있다. 석축(石築)이며 둘레가 1천 3백 42척이었는데 지금은 다 무너졌다.
【명환】 본조 남질(南軼) 고을 백성에게 은애(恩愛)를 끼쳤다. 지금까지도 사람들이 그가 심은 나무를 가리켜 남정자(南亭子)라 한다.
【인물】 고려 윤환(尹桓) 공민왕 때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되었고 칠원백(漆原伯)에 봉해졌다. 윤환은 본래 무인(武人)으로 다섯 조정을 내리 섬겨서 세 번이나 수상(首相)이 되었고, 집안이 대단한 부자로, 일찍이 칠원으로 돌아가기를 청하여 유동리(柳洞里)에 살았다. 그 해에 큰 흉년이 들어서 사람끼리 서로 잡아먹을 형편이었는데, 윤환이 자기 재물을 흩어서 구제하고 가난한 백성이 꾸어간 재물에 대한 문서를 가져다가 모두 불살라 버렸다. 그때 한창 오랫동안 가물어 있었는데, 윤환의 밭에서 갑자기 물이 솟아나 남의 밭에까지 젖어들어 큰 풍년이 드니, 경상도 백성이 칭송해 마지않았다. 윤수상(尹守常) 벼슬이 도첨의평리 예문관 제학(都僉議評理藝文館提學)에 이르렀다. 본조 윤자당(尹子當)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참여하여 칠원 부원군(漆原府院君)으로 봉해졌다.
【효자】 고려 송한문(宋漢文) 어머니가 미친병에 걸리자, 오른손 손가락을 끊어서 피를 약으로 먹였더니 어머니의 병이 나았다. 정문(旌門)되었다. 『신증』 본조 강계흠(康季欽) 아버지를 정성껏 섬겼다. 일찍이 부역 때문에 서울에 갔는데, 멀리 떠나 있는 동안에 뜻밖의 연고라도 있을까 염려하여 고기를 먹지 않았다. 또 그의 첩이 아버지에게 공손하지 못하다는 것을 듣고 사람을 보내 쫓아버렸다. 돌아오는 도중에 아버지가 편안하다는 것을 듣고 비로소 고기를 먹었다. 아버지가 병중에 생선을 먹고 싶어하자, 계흠이 물가에서 울부짖다가 잉어가 노는 것을 보고 작살로 잡아서 아버지에게 드렸다. 아버지가 죽자 여묘(廬墓)하였고, 3년상을 마친 다음에도 묘 옆에 집을 짓고 또 3년을 살았다. 【열녀】 본조 연이(燕伊) 귀산현의 정경(丁敬)이라는 자가 욕보이고자 하니, 응하지 아니하고 절개를 지켜 죽었다. 정문(旌門)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선조 34년에 창원(昌原)에 합쳤다. 왜란 후에 읍이 쇠잔하였기 때문이었다. 광해주 9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고읍】 귀산(龜山) 남으로 70리에 있는데 본래는 성법부곡(省法部曲)이었다. 고려 때 귀산현으로 승격 시켰다가 웅신현(熊神縣)에 예속시켰다. 후에 금주(金州)에 예속시켰다가 공양왕 때 내속(來屬)시키고 은산(銀山)이라 하였다.
【방면】 상리(上里) 남으로 끝이 25리이다. 서면(西面) 서로 10리, 서북쪽으로 30리이다. 북면(北面) 처음은 5리, 끝은 25리이다. 귀산(龜山) 바로 귀산고현(龜山古縣)으로 창원부(昌原府)의 서쪽 경계까지 넘어가 있으며, 바로 여음포(餘音浦)의 북쪽이다. 동남으로는 바다에 접해 있으며 처음은 40리, 끝은 80리이다. ○ 우포향(亏浦鄕)은 북으로 25리, 부곡부곡(釜谷部曲)은 남으로 7리이다.
【성지】 고성(古城) 북으로 4리에 있는데 성산(城山)이라 칭하며, 둘레는 1천 3백 40척이다.
【진보】 귀산포진(龜山浦鎭) 귀산포에 있는데 광해주 6년에 진을 설치하고 첨사를 두었다. 현종 9년에 없앴다가 14년에 다시 두었다.
○ 수군 동조창 영운차사원(水軍同漕倉領運差使員)이 있다.
【진도】 매포진(買浦鎭) 영산(靈山)으로 통한다. 상포진(上浦鎭).
【목장】 여화곶(汝火串) 귀산현 남쪽에 있는데, 가덕(加德)목장을 이곳으로 옮긴 후에 없앴다.
【누정】 진귀루(鎭龜樓)ㆍ망궐루(望闕樓).
【사원】 덕연서원(德淵書院) 인조 신사년에 세웠고, 숙종 병진년에 사액하였다. 주세붕(周世鵬) 순흥( 順興)편에 있다.
* 영양(英陽) 左道. 7일 반. 서울과의 거리는 6백 50리이다.
이명: 고은(古隱). 연양(延陽). 예주(禮州)
* 영양현감겸안동진관병마절제도위.
* 영양훈도. 종9품.
안동진관영양현(安東鎭管英陽縣)
동쪽으로 영해 경계 30리 東至寧海界三十里
서쪽으로 예안경계 30리 西至禮安界三十里
남쪽으로 진보 경계 25리 南至眞寶界二十五里
북쪽으로 강원도 울진 경계 80리 北至江原道蔚珍界八十里
서울까지 656리 7일 정 距京六百五十六里七日程
남쪽으로 감영까지 320리 3일 정 南距監營三百二十里三日程
남쪽으로 병영까지 370리 4일 정 南距兵營三百七十里四日程
남쪽으로 수영까지 480리 5일 정 南距水營四百八十里五日程
남쪽으로 통영까지 560리 6일 정 南距統營五百六十里六日程
坊里
邑內面距官門二里南面距官門二十里東面距官門十里西面初度距官門十里二度距官門三十里北面初度距官門十里二度距官門二十里首比面距官門四十里 己卯式元戶二千七百二十五戶人口一萬四百十三口內
道路
自官門東距大川十里自大川至寧海界二十里
西距靑杞倉二十里自靑杞倉至禮安界十里
南距南面二十里自南面至眞寶界五里
北距首比面四十里自首比面至江原道 蔚珍界四十里
建置沿革
本新羅
古隱縣後改今名爲郡高麗顯宗屬禮州明宗復爲縣置監務別號益陽。
本朝合屬寧海府 肅宗二年因邑民趙頙等疏請許令復設三年還革復屬于寧海四年因民情分割南面 東面 德峯 首比移屬眞寶 靑杞 石保屬寧海九年更因邑民陳疏特 命復設置縣監 石保因屬寧海 靑杞移屬
군명(郡名)
고은(古隱). 연양(延陽). 익양(益陽)
형승(形勝)
北控日月 南襟大川
관직(官職)
현감(縣監) 음관 6품.
좌수(座首)一人. 별감(別監)二人. 군관(軍官)三十人. 인리(人吏)五十二人. 지인(知印)二十一人. 사령(使令)二十三名. 관노(官奴)十二口. 관비(婢)十四口
산천(山川)
일월산(日月山) 在縣北三十里自安東通丘山來爲一邑之鎭山東臨滄海俯見日月之出故名 흥림산(興霖山) 在縣西十里自日月山來山有雲氣則雨
검마산(劍磨山) 在縣東北五十里自安東通丘山來
울연산(蔚然山) 在縣北五十里自劍磨山來
작약산(芍藥山) 自日月山來卽新治之主山
대천(大川) 在縣東五里其源出日月山至眞寶爲神漢川
장군천(將軍川) 在縣北十里其源出日月山卽大川之上流
성씨(姓氏)
본현(本縣) 남(南). 김(金). 방(房)
한양조씨(漢陽趙). 함양오씨(咸陽吳). 능성구씨(綾州具). 봉화금씨(奉化琴). 야성정씨(野城鄭). 반남박씨(潘南朴). 안동권씨(安東權). 월성손씨(月城孫). 죽산안씨 (竹山安) 모두 래성이다.
풍속(風俗)
俗尙勤儉務農桑
학교(學校)
鄕校 在縣北十里
묘단(壇廟)
社稷壇 在縣西一里 文廟 在鄕校 城隍壇 在縣南二里 厲壇 在縣北一里 英山書院 在縣南三里祀文純公 李滉配享文忠公 金誠一肅宗朝賜額 鄕賢祠 在官門外祀英毅公 南敏 肅宗朝己巳立祠
공해(公廨)
객사(客舍) 동헌(東軒) 향사당(鄕射堂) 군관청(軍官廳) 장관청(將官廳) 이리청(人 吏廳)
저수지(堤堰)
項谷堤 在縣東五里周二千八百五十二尺水深四尺 元唐堤 在縣東北七里周一千六百九 十八尺水深五尺
창고(倉庫)
군기고(軍器庫) 대동고(大同庫) 사창(司倉) 진휼고(賑恤庫) 고마고(雇馬庫) 청사 창(靑祀倉) 在縣西二十里 수비창(首比倉) 在縣北四十里
물산(物産)
蜂蜜 松蕈 木賊 五味子 當歸 茯苓 芍藥 蒼术
교량(橋樑 )
板橋 在客舍門外
목장(牧場)
無分養馬一匹七月受來 翌年三月上納該寺
사찰(寺刹)
道成寺 在劍磨山 龍化寺 在日月山
고적(古跡)
首比部曲 在縣北五十里本屬英陽 高麗文宗朝屬蔚珍今還屬英陽 主谷部曲 在縣北二十里 大靑部曲 小靑部曲 皆在靑杞
명환(名宦)
本朝朴崇阜 新設之初明立科條吏畏民安至今稱之 鄭錫僑 居官淸白推孝爲政 朴民秀 廉簡之治當辛壬癸大無闔境全活民不知稅有遺愛 沈鋿 創立賑雇歲荒而救恤官交而送迎民蒙其惠永世不忘
人物
新羅 南敏 本姓金名忠唐 汝南人天寶中奉使日本遇風漂泊于寧海地事聞天子詔從攸居之願乃卜居于英陽以其自汝南而至賜姓南改名敏諡英毅英人立祠以祀之 南翼 敏之孫官至檢校太子僉事封英陽君 高麗 南洪輔 官至重大匡都簽議贊成事 孝子本朝吳無怍 年十五强盜數十明火突入以劍擊傷其父無怍以身翼敝其父賊露刃亂斫身被六七創流血淋漓一息如縷而愈敉衛大呼曰殺我無傷我父家財無所惜賊感其誠兩釋之遂父子俱全後父歿廬墓三年長改名三省 顯宗庚戌旌閭 趙儉 年十四而孤居喪盡禮奉養祖母盡誠祖母嘗病累月專廢食飮一日思食錦麟魚膾儉往水濱上下而時當季冬氷塞川瀨乃叩氷號泣曰亡父生前孝能感天精靈若在必有應忽見尺許錦鱗坼水自躍持還試嘗因獲全瘳時人異之名其里曰飛鯉洞祖母歿三年居廬未嘗見齒丙子南漢之圍齋沐中宵泣禱皇天人稱忠孝俱全 當宁丁巳事聞復戶 趙 儉釋之遂父子俱全後父歿之孫當父病歲餘不瘳求醫試藥靡不盡誠忽夜夢有一老翁來傍曰汝嘗試粉齊草乎必嘗此乃瘳時積雪遍山無地可求晨往一處雪中崖谷粉薺尙靑採歸試之父病卽愈人以爲純誠之篤世濟其美 當宁丁巳事聞復戶
밭(旱田)
元帳付一千二百四十四結五十八負九束內各樣免稅陳雜頉竝四百十九結六十七負己卯時 起八百二十四結九十一負九束
논(水田)
元帳付二百五十八結三十六負九束內各樣免稅陳雜頉竝一百二十六結七十負一束己卯時起一百三十一結六十六負八束
進貢
人蔘 茯神 甘菊 赤茯苓 白芍藥 赤芍藥 柴胡 生淸 五味子 槐實 麥門冬 枸杞子 連翹 紫草茸 生獐
糶糴
元會大小米一百五十四石五刀七合六夕雜穀二千六百十八石十斗二刀九合七夕賑色大小米八十六石九斗五刀六合二夕雜穀一千四百三十八石十四斗七刀四合常平廳大小米五百四十七石三刀九合三夕雜穀一萬二千一百九十四石六斗五刀七夕別會大小米六石一斗一刀九合四夕雜穀三百二十二石七斗一刀六合一夕私賑雜穀一千二十六石六刀五合二夕每年十月開倉十二月封倉巳卯條爲準
田稅
作木十八同七疋八尺三月收捧四爲以陸路七日達于京納于戶曹己卯條爲準
大同
作木二十二同錢木參半田稅時收捧上納惠廳米四百八石十斗一刀三夕儲
置本官一多寡無常從惠廳區劃己卯條爲準
均稅
田稅條木十疋十尺二寸. 大同條木十九疋九寸. 結錢五百二十一兩九錢七立. 田稅一時收捧上納選武布一同十疋. 九月收捧. 十月以陸路七日達于京納子均廳己卯條爲準
俸廩
衙祿位四十結. 米四石. 太六石十斗. 公須位十五結. 米一石五斗. 太二石十斗.
官需米一百八十六石十斗. 民結所出每夫燒木三作乃十四束. 炭五斗.
雉一首. 鷄一首. 生草二作. 乃藁草二作 乃式捧用
軍兵
訓鍊都監砲保三十七名. 御營正軍二十名. 資保二十二名. 官保九十五各. 禁衛正軍十四名. 資保十五名. 官保五十一名. 兵曹騎兵二十二名. 步兵九名. 禁軍保四名. 內吹保二名. 樂生正軍一名. 保六名. 樂工保十一名. 工曹匠人九十二名. 水軍二百十九名. 武學二十四名. 束伍馬步軍一百八十二名. 馬步保一百九十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