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장비라 함은 산행때 꼭 갖추어야 할 기본장비를 말합니다.
등산화, 배낭, 수통, 헤드랜턴, 방수방풍의...이렇게 5가지 품목을 말합니다.
등산 장비가 거품이 많아
지름신이 강림하지 않은이상
같은 품목을 두번 구입하는 실패는 하지 말아야한다.
1. 등산화
-내발에 편해야 한다.
-특정 메이커에 절대 연연하지말자.....(바보짓)
-바위나 젖은곳에서 잘 미끌리지 않아야 한다.(비브람창은 밀린다는 얘기들이....요즘은 어떤가요? )
-마찰력이 좋으면 채력소모가 적다.(마찰력이 좋으면 마모가 빠르다.그러나 장점이 많다.)
-경등산화(발목이 짧은것).중등산화(발목이 긴것)
등산화를 잘 골라야 산행이 즐겁습니다.
발이 고통스러우면 아무리 멋진 절경이나, 산우님들이 좋아도 소용없습니다.
초보든 많은 경험자든 이건 변함 없고 예외도 없습니다.
서울근교나 당일산행을 주로 하실 경우에 워킹화, 또는 릿지화를 권합니다.
릿지등반을 하지 않는다 하여도 서울근교의 산들은 바위가 많아 필요하실 겁니다.
릿지화를 구입하실 때는 먼저 가격보다 신발창이 바위에 잘 붙는지 확인하십시요.
요즘 뜨는 켐프라인 등산화및 릿지화도 수준급입니다.
등산화는 꼭 신어보시는데, 등산용양말을 신고 발에 맞게 신으면 됩니다.
너무 꽉 끼거나 신발과 발가락 사이의 여유가 많아도 좋지 않습니다.
아울러 신발의 목이 긴것을 신으시면 발목 삐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봄, 여름, 가을에 신을 등산화는 꼭 고어텍스 제품을 구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고어텍스 제품은 방수처리가 된다는 것인데, 반대로 말하자면 일단 젖으면
안마르기로 유명하죠. 산행내내 젖은 발로 다녀야 된다는 겁니다.(여벌의 양말이 있으면 좋지요)
비가 많이 오는 계절, 계곡산행을 많이 하는 계절에 쥐약이라는 말입니다.
물론 동계용 등산화는 방수가 필수라고 고어텍스를 사용한 등산화를 구입해야 하지요.
2. 배낭은
-등판이 편해야한다(딱 붙는 느낌)
-어깨가 편해야 한다.(이게 불편하면 하루종일 무임금노동 ㅎㅎㅎ)
-확장성이 좋아야 한다.
-원단이 얇은것과 두꺼운것이있다.(당연 그에따른 등반의 성격에 맞게 구입해야겠죠)
-산행에 딱 맞는것보다 약간 큰게 좋다.
40리터 이하 제품은 등판 구조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 겁니다.
즉, 어느 제품을 구입하셔도 거기가 거기라는 말입니다.
40리터 이상 제품은 등판구조가 아주 중요하니 경험자의 의견을 구하시고 구입하십시요.
-어느 메이커의 배낭이 본인의 채형에 잘 맞는경우도 있습니다.-
당일 산행을 다니신다면, 35~40/40+10리터면 충분합니다.
여성은 30~35리터면 무난하겠네요.
배낭은 국내및 도입 브렌드와 도이터,오스프리,바우데.......등등.......
그레고리,메텔리우스,마무트,몬추라 등등은 너무 고가라 좀더 생각해보시고요.(구입에부담 없으면 페스~)
3. 수통은 그냥 생수통으로 사용하십시요.
가볍고, 잃어도 아깝지 않고요.
다만, 겨울에 뜨거운 물이나 국을 넣어 가지고 다닐 생각이시면
보온물병이나
날진 수통 1리터를 구입하시면 요긴하게 사용할 것입니다.
-날진형/비닐주머니형(아주 가벼움.실용적.얼릴수도있음.시중에 별로 없고 사용자별로없음)
-카멜백형.
4. 헤드랜턴은
LED가 주류.
렌턴을 구입하실 때 건전지가 AAA , AA형을 구입 나머진 패스~.
당일산행에 헤드랜턴을 가지고 오지 않으신 분들이 많으신데요.
헤드랜턴은 구호장비라는 점입니다.
단 한번.........산행중 밤길 하산을 할 경우에 그때 요긴하게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야간산행에 사용하기도 하지만 말입니다)
성능이 좋은 것을 구입할 것을 권합니다.
페츨,국산브렌드들......
5. 방수방풍의는 흔히 고어텍스 제품을 떠 올리시는데요.
고어텍스 제품이 최고의 품질은 아닙니다.
회사에 따라 다양한 방수방풍의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물과 바람을 막는 역활이지 보온의류는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인식하시면 됩니다.
당일 산행에 필요없다는 분들도 계시지만, 그건 잘못된 말입니다.
산행 날씨는 아무도 장담을 할 수 없습니다.
언제 어느때 눈,비가 내릴지 모릅니다.
없으면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니
꼭 구입을 하십시요.
입지 않드라도 꼭 배낭에 챙겨오는 습관을 들이십시요.
구입하실 때 요령이 있다면,
1. 꼭 고어텍스 제품만을 고집하지 마십시요.
그러면 선택의 폭이 무척 다양해 집니다.
2. 고어텍스 제품을 구입한다면 고어텍스-XCR 같은 고급제품을 피하십시요.
우리나라 산행중에 그런 제품이 필요한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3. 옷이 여러 조각을 만들어 진 제품보다 가능하면 옷감이 통채로 된 것, 조각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는 말입니다.
조각이 많으면 이어 붙인 곳에 방수처리기법(심실링 테이핑)을 그만큼 많이 한다고 생각하십시요.
4. 바지는 바깥쪽 하단 부위에 자크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등산화를 신은 상태에서 입고 벗기 좋은 제품을 구하시면 됩니다.
5. 한 벌을 구입할 수도 있겠지만, 한 벌 값으로 자켓을 좋은 것으로 선택하십시요.
방수방풍의의 효과는 내장이 있는 신체...즉 배와 가슴을 중점으로 보호하고
나아가 머리를 보호하는 겁니다.
즉, 신쳉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기능제품이라는 말입니다.
하체에서 뺏기는 열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다만, 폭우나 눈이 올 경우를 생각해서 저렴한 가격의 바지를 따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다만, 얇아서 겨울철 걱정을 하시는데, 방수방풍의는 보온의류가 아니라는 점만
생각하시고 보온의류를 별도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ㅎㅎㅎ
마지막.....장비점을 선택하실 경우....
요기 저기 항상 변화를 주면서 구입을 하지 마시고,
신뢰할 장비점을 선정하여 메인장비점을 만든 후 그곳에서 구입을 할 수 없는 제품만
다른 장비점을 이용하십시요.
신뢰할 장비점이라 함은 적어도 아는 사람과 같이 가거나 혼자 가거나 가격차이가
거의 없어야 합니다.
사람에 따라 가격이 들쑥 날쑥한 장비점이 많으니 발품을 많이 파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