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빌4;1
서로의 눈을 마주보는 동안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고 평안을 인식하는 옥시토신이
분비되는데, 호르몬을 목적으로 마주 보면 분비되지 않는답니다. 조작이 불가능
하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이 인체를 창조하신 신비입니다. 그럼에도 기뻐하라고
명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Oxytocin, which lowers stress levels and recognizes peace, is secreted while
looking into each other's eyes, but it is not secreted when facing each other for
hormone purposes. It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manipulate. This is the
mystery that God created the human body. But how can we apply the command
to be happy?
-
예에공, 조선왕조에서 인수대비는 무려 6대 왕조를 만들어낸 입지적인 인물이다.
조선 제9대왕 성종의 어머니이자, 폭군으로 알려진 연산군의 할머니로서 더욱
유명한 인수대비는 시아버지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데 공을 세운 1등 공신이고
남편의 죽음으로 잃어버렸던 왕비 자리를 대신해 자신의 어린 둘째 아들을 왕으로
만들면서 대비 자리에 올라 세조,덕종,예종,성종,연산군,중종까지 무려 6대 왕조에
걸쳐 영향을 끼쳤단다.
Princess! In the Joseon Dynasty, Queen Insu was a positional figure who created
the six dynasties. Even more famous as the mother of King Seongjong, the nin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andmother of Yeonsan-gun, known as a
tyrant, Insu Daebi was the No. 1 contributor who contributed to his father-in-law's
ascension to the throne, and when he made his younger second son king in place
of the queen, who was lost due to the death of his husband, he rose to the throne
and influenced as many as six dynasties, including King Sejo, Deokjong, King
Yejong, King Yeonsan, and King Jungjong.
-
빌립보 교회가 처음 세워질 때 여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는데 그 중에는 재력이
있는 여인들도 있었다. 자연스레 그녀들은 교회에서 지도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그런데 에바브로 디도를 바울에게 보내는 건으로 지도력 있는 두 여인 사이에 미묘한
갈등이 생겨났어. 이제 교회 공동체는 이 두 여인의 갈등을 함께 풀어야 할 상황이다.
When the first Bilibbo Church was founded, women played an important role, some
of whom were wealthy. Naturally, they came to exercise leadership in the church.
However, the sending of Evabro Dido to Paul caused a subtle conflict between the
two leading women. The church community is now forc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women together.
-
더구나 유대주의자들의 신학적 정치적 공격은 머지않은 미래에 핍박과 환난으로
번질 수 있는 형국이었으니 교회는 내적, 외적 문제에 슬기롭게 대처해야했어. 영향력
있는 두 여인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다툼으로 흔들리고 있는 교회를 향해 바울은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고 하며 성도들이 이 일을 도우라고 권고하였다.
Moreover, theological and political attacks by the Jews could lead to persecution
and hardship in the near future, so the church had to wisely deal with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Paul advised the saints to help the church, which was shaken by
the quarrel between two influential women, Yuodia and Sundugue, by saying,
"Have the same heart in the Lord."
-
바울은 이것을 두 사람이 알아서 해결할 개인적인 문제로 보지 않고 교회 공동체
전체가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로 제시한다. 다툼과 분쟁은 교회의 정체성을 해치는
것이며, 포용과 화해는 복음의 본질에 관한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교회나 나라나 어디든지 말썽을 일으키는 사람은 예외로 열심 있는 사람들이다.
Paul does not see this as a personal problem for the two to solve on their own,
but presents it as a task that the entire church community must solve together.
This may be because quarrels and disputes undermine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inclusion and reconciliation are about the essence of the gospel. Those who
cause trouble in the church, in the country or anywhere are exceptionally eager
people.
-
전생에 나라를 구한 일꾼(개국공신)의 열심이 정변을 일으키고 교회를 뒤흔드는
법이다. 데이비드 폴리슨이란 학자는 그의 책 ‘악한 분노, 선한 분노‘에서 사람의
분노의 뿌리에는 내가 하나님이 되어 세상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가치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하더라. 상황을 내 마음대로 통제 하고 싶은 욕구 그 밑
뿌리에는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는 내 자아가 있다. 바로 그 것이 근원적인 죄란다.
The hard work of a worker who saved the country in his previous life causes political
upheaval and shakes the church. In his book, "Vicious Rage, Good Rage," a scholar
named David Polison said that at the root of a person's anger lies a value judgment
that I become God and that the world should revolve around me. At the root of the
desire to control the situation at my own will is my ego, who loves it more than God.
That is the fundamental sin. -
이 상황에서 바울은 교회가 굳게 서기 위해 "기뻐하라"고 말한다. 관용을 베풀라는
것이야. 내가 그 상황을 내 중심으로 통제하고 지배하려는 마음을 내려놓고, 그리스도께서
가지셨던 바로 그 마음을 품으라는 뜻이다(빌2;5).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주의 날이
가깝기 때문이다.
In this situation, Paul says, "Joy" for the church to stand firm. I mean to be tolerant.
It means to let go of my desire to control and dominate the situation around me, and
to embrace the very heart that Christ had (Bill 2;5). That's possible because the day
of the week is near.
-
그 날을 믿기에 핍박을 받아도 기뻐하고 비난을 받아도 관대할 수 있다. 반 세기를 살아
보니 염려와 걱정이 나를 지켜주지 못하더라. 감사로 드리는 기도 속에서 하나님의
평강이 내 마음과 생각을 지켜주실 것이야. 마지막으로 바울은 교회가 굳게 서기 위해
"생각하라" 그리고 "행하라"고 말한다. 성도들은 먼저 참되며, 경건하며, 옳으며, 정결
하며, 사랑받고 칭찬받을 만한 미덕에 관해 주의 깊게 생각해야 해.
You can be happy to be persecuted and tolerant to be criticized for believing in the day.
After half a century of living, my worries and worries did not protect me. In the prayer
of gratitude, God's peace will protect my heart and thoughts. Finally, Paul says "Think"
and "Do" for the church to stand firm. Saints must first think carefully about the virtues
that are true, pious, right, upright, and worthy of love and praise.
-
물론 도덕적 선함이 중요할지라도 성도의 행함의 근거는 도덕이 아니라 복음이란다.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모든 일에 기도하라는 의미는 구한 것을 무엇이든 다 들어
주시겠다는 것이 아니다. 기도 안 해도 되는 상황이나 문제는 없다는 뜻일 것이고,
하나님의 능력을 제한하지 말라는 것으로 본다. 나는 주안에서 굳게 서있는가?
Of course, moral goodness is important, but the basis for the actions of the saints
is the gospel, not morality. Praying for everything without worrying about anything
does not mean that you will listen to whatever you have saved. It would mean that
there is no situation or problem that you do not have to pray, and I believe that you
should not limit God's ability. Am I firmly in the main?
-
공주야! 헌금은 교회 안에서 민감한 주제이다. 오랫동안 헌금은 복 받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고 지금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헌금이 내
욕망을 다스리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욕망을 부추기는 도구가 된 것이 안타깝구나.
바울이 선교여행 중 수 많은 교회를 개척했지만 바울에게 경제적으로 지원한 교회는
기록에 잘 나타나지 않는데 빌립보 교회가 헌금으로 도운 것은 특별한 케이스이다.
Princess! Donations are a sensitive topic in church. For a long time, donations have
been regarded as a means to be blessed, and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still taught
like that. So it's a pity that donations are not a tool to control my desires, but a tool
to encourage them. Although Paul pioneered numerous churches during his
missionary trip, the church that financially supported Paul is not well seen in the
records, and it is a special case that the Bibbbo Church helped with donations.
-
바울은 선교 헌금을 받고 매우 기뻐하면서도 그 기쁨의 원인에 대해 오해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 바울이 기뻐한 것은 필요한 재정이 채워졌기 때문이 아니라,
빌립보 교회 성도들이 그것을 모아서 보냈다는 사실 때문에 기뻐하는 것이란다.
헌금 때문이 아니라 성도들 때문에 기뻐하고 감사하고 있어. 성도들의 선교에 대한
비전이 이제 열매를 맺은 것이지. 그래서 채워진 사랑 때문에 기뻐하는 것이 아닐까?
Paul is very happy to receive the missionary donation, but he is particularly careful
not to misunderstand the cause of his joy. Paul was pleased not because the
necessary finances were filled, but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the
Pilipbo Church collected them and sent them. I'm happy and grateful for the saints,
not for the donations. The vision of the saints' missionary work has now come to
fruition. Isn't that why they're happy because of the filled love?
-
칸트의 '도덕 법칙'은 이런 원리를 말할 것이다. 아빠가 직장을 그만두고 2년 정도
취업 준비를 하던 시절에 수련회 강의를 4시간 정도 했는데 교회 청년부로부터 지목
헌금을 받은 적이 있다. 얼마 되지 않은 돈이었지만 하얀 봉투 속에 든 헌금을 받고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 아빠는 그때 하나님께서 내 길을 지지하고 계신다는
사인으로 받아들였고, 내가 가르친 청년들이 배운 대로 적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가슴에서 불끈 올라오는 불덩어리를 경험하면서 내가 죽으나 사나 우리 공동체와
함께 하겠다고 다짐을 했던 기억이 아직까지 생생하다.
Kant's "moral law" will speak in this context. When my dad quit his job and was
preparing for a job for about two years, I taught for about four hours at a retreat
and received a donation from the church's youth. It was a small amount of money,
but I didn't know how happy I was to receive a donation in a white envelope. Dad
was then God paid me I took it as a sign that I was supporting the road, and I still
remember that I was determined to be with our community even though I was
dead while experiencing a fireball rising from my chest after confirming that the
young people I taught applied as they learned.
-
연보에 감사하면서도 바울이 고백하고 싶은 것은 물질의 많고 적음이나 있고 없음에
상관없이 어떤 형편에서도 자족할 수 있는 힘을 주신 것은 하나님의 은혜일 것이다.
가난하든 풍요롭든 감사할 줄 알았고, 배고프든 배부르든 만족할 줄 안 것은 상황이
변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내가 변했기 때문이 아니겠니?
While grateful for the annals, what Paul wants to confess is God's grace that has
given him the power to be self-sufficient in any circumstance,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lot of material or not. Isn't it not because things have changed, but because
I have changed in Christ that I know how to be satisfied, whether I am poor or rich?
-
이랜 맥락에서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가 나왔다.
이 구절은 ‘불가능이 없다는 적극적 사고’를 지지하는 말씀이 아니란다. 거꾸로 긍정의
힘이나 물질 숭배를 거절하고 자족과 감사의 삶을 사는 것이야.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이
에바브로디도 편에 보내준 헌금은 단지 물질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향기로운
제물이요, 바울에게 기쁨이 되기 전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싸가지
좀 봐라.
In this context, "I can do everything in those who give me the ability." This phrase is not i
n support of 'active thinking that there is no impossibility'. Conversely, you refuse the
power of positivity or material worship and live a life of self-sufficiency and appreciation.
Look at Paul's sprouting saying that the donations sent by the saints of Bilibo to Evabrody's
side are not just matter, but a fragrant offering that God deserves, and that he is pleased
before he is a joy to Paul.
-
그러니 그 하나님께서 영광가운데서 빌립보 성도들의 모든 쓸 것을 풍성하게 채워달라고
바울은 기도하는 거야. 하나님이 받으셨으니 하나님이 챙겨 주시는 게지. 나는 주가 공급해
주시는 능력으로 살고 있는가?
So Paul is praying that the God will enrich all the writings of the Pilgrims in glory.
Since God has received it, God has taken care of it. I am in the power of the Lord to
supply me Are you living?
-
내 기쁨이요, 면류관은 무엇인가?
내 성품 때문에 상처를 준 일이 있는가, 나는 진정 폭군인가?
물질을 통한 복음 사역 참여, 어떻게 일꾼들을 도울 것인가?
나도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모든 것이 가한가?
나는 왜 내가 main이 될 때 만 잘하는가?
주님이 주시는 평화와 기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My pleasure, what is the crown of noodles?
Has my character hurt me, am I truly a tyrant?
Participation in gospel ministry through material, how to help workers?
Is everything possible in the person who gives me the ability as well?
Why am I only good when I'm main?
What does it take to maintain peace and joy from the Lord?
-
권면의 요지. 주 안에 서라(1)
권면1; 바른 연합의 모습, 내적 측면(2-3)
a.유오디아와 순두게에게, 주 안에서 같은 것을 생각하라:2
b.공동체에게, 그녀들을 도우라:3
권면2; 바른 대결의 모습, 외적 측면(4-7)
a.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4
b.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일게 하라:5
c.염려하지 말고 기도하라:6-7
권면3:합당한 생활, 종합적 측면(8-9)
a.바른 생활을 숙고하고 배운 바를 행하라:8
b.평강의 하나님께서 함께 하실 것이다:9
에바브로디도를 통해 전달한 선물에 대한 감사(10-20)
a.선물에 대한 감사:10
b.오해의 여지를 없앰, 선물을 더 요구하는 것이 아님:11-13
c.선물의 의미1, 바울 사역에 동참한 것:14-16
d.선물의 의미2,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물:17-18
e.선물에 대한 반응, 하나님이 갚아주심을 바람:19-20
문안 인사와 축도(21-23)
a.문안 인가:21-22
b.축도:23
-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1a)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1b)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1c)
-
내가 유오디아를 권하고 순두게를 권하노니(2a)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2b)
-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 한 자 네게 구하노니(3a)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부녀들을 돕고(3b)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 자들을 도우라(3c)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3d)
-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4a)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4b)
-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5a)
주께서 가까우시니라(5b)
-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6a)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6b)
너희 구할 것을(6c)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6d)
-
그리하면(7a)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7b)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7c)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7d)
-
종말로 형제들아(8a)
무엇에든지 참되며(8b)
무엇에든지 경건하며(8c)
무엇에든지 옳으며(8d)
무엇에든지 정결하며(8e)
무엇에든지 사랑할만하며(8f)
무엇에든지 칭찬할만하며(8g)
무슨 덕이 있든지(8h)
무슨 기림이 있든지(8h)
이것들을 생각하라(8i)
-
너희는 내게 배우고(9a)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하라(9b)
그리하면(9c)
평강의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계시리라(9d)
-
내가 주 안에서 크게 기뻐함은(10a)
너희가 나를 생각하던 것이 이제 다시 싹이 남이니(10b)
너희가 또한 이를 위하여(10c)
생각은 하였으나(10d)
기회가 없었느니라(10e)
-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11a)
어떠한 형편에든지(11b)
내가 자족하기를 배웠으니(11c)
-
내가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12a)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12b)
모든 일에 배부르며(12c)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12d)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12e)
-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13a)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13b)
-
그러나 너희가(14a)
내 괴로움에 함께 참예하였으니(14b)
잘하였도다(14c)
-
빌립보 사람들아 너희도 알거니와(15a)
복음의 시초에(15b)
내가 마게도냐를 떠날 때에(15c)
주고받는 내 일에(15d)
참예한 교회가(15e)
너희 외에 아무도 없었느니라(15f)
-
데살로니가에 있을 때에도(16a)
너희가 한번 두 번(16b)
나의 쓸 것을 보내었도다(16c)
-
내가 선물을 구함이 아니요(17a)
오직 너희에게 유익하도록(17b)
과실이 번성하기를 구함이라(17c)
-
내게는 모든 것이 있고 또 풍부한지라(18a)
에바브로디도 편에(18b)
너희의 준 것을 받으므로 (18c)
내가 풍족하니(18d)
이는 받으실만한 향기로운 제물이요(18e)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것이라(18f)
-
나의 하나님이(19a)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19b)
영광 가운데 그 풍성한대로(19c)
너희 모든 쓸 것을 채우시리라(19d)
-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께(20a)
세세 무궁토록 영광을 돌릴 찌어다 아멘(20b)
-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성도에게 각각 문안하라(21a)
나와 함께 있는 형제들이 너희에게 문안하고(21b)
-
모든 성도들이 너희에게 문안하되(22a)
특별히 가이사 집 사람 중 몇이니라(22b)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에 있을 찌어다(23)
-
주 안에 굳게 서라_ Stand firm in the Lord
한마음을 품어라_ Embrace one mind
주 안에서 관용하라_ Be tolerant in the state
-
평강의 주님, 세상에서 지혜가 하나님 나라에서는 어리석은 일일 수 있나이다.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알지 못해 아내와 그리고 이웃과 다투고 산 날들을 용서하옵소서.
하나님께서 나를 구원하셨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구원을 내가 돕는 것
때문에 누리는 기쁨을 다시 회복하게 하옵소서.주님 때문에 감사합니다.
올바른 헌금은 적극적 사고방식과 물질 숭배를 거절하고 자족과 감사의 삶을 살게 합니다.
성도가 서로 돕고 복음을 아는 사람들이 합당하게 열매를 맺으며 어떤 처지에서든지,
특별히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껴지는 때라도 주님의 자리매김에 잘 순종하게
도와주옵소서. 그래서 훗날 이 모든 영광을 하나님, 당신께만 돌리게 하옵소서.
Lord of the peace, can wisdom be foolish in the kingdom of God. Forgive me for the
days when I fought with my wife and neighbors because I did not know the order of
God's country. For God has saved me, let me restore the joy I enjoy in helping others
save. Thank you for the Lord. The right donations turn down active mindsets and
material worship and lead a life of self-sufficiency and appreciation. The saints help
each other, and those who know the gospel properly bear fruit, and help them obey
the Lord's position in any case, especially when I feel I can't do anything. So let all
this glory be attributed only to you, God.
2023.12.26.tue.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