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상대와 나의 마음을 알 수 있다면 현재보다 더욱 행복하게 살 수 있다. 요즘 우리는 외모지상주의에 얽매여 빛나는 외모를 갖기 위해 무척 노력한다. 성형외과나 헬스 클럽이 성행하는 것이 이를 잘 뒷받침해 준다. 일상에서 외모의 평가에 따라 대접이 달라지는 불합리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외모를 가꾸는 것에 집착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불합리가 빚은 불편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진정한 외모의 아름다움은 인간의 깊은 마음속에 있다는 것을 잊고 있는 것도 또한 현실이다. 이 책은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쓰였다. 상대와 나의 마음을 알 수 있다면 현재보다 더욱 행복하게 살 수 있다. 책을 통해 가족과 친구와 애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사회에서 만나는 여러 타인들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나 자신의 마음도 좀 더 깊게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타인과 원만한 관계와 소통을 위해 나를 먼저 알고 사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람들은 대부분 상대가 자신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 자신의 욕구를 채워 주기 바라지만, 그런 상대는 그리 많지 않다. 아니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상대도 자신의 마음을 먼저 알고 자신의 욕구를 채워 주기를 바란다. 결국, 갈등은 서로 자신의 마음을 알아 달라고 아우성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상대가 나를 미워하고 비수를 꽂는 말을 하는 것은 상대의 마음이지만, 그것에 내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는 내 마음이다. 우리는 자신에게 ‘반응에 대한 선택권’이 있다는 것을 잊은 채로 상대를 대하곤 한다. 자신을 향한 상대방의 미움을 미움으로써 대응한다면 갈등이 커져서 곧 서로의 상처가 된다. 이러한 갈등은 상대의 탓도 있겠지만 내 안에서 키우고 있는 상대를 향한 미움의 탓이 더 크다. 그 미움에서 비롯된 자기방어는 결국 상대에 대한 미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한다. 또 상대에 대한 미움은 자신에게도 상처를 입힌다. 이러한 상처가 많이 쌓이면 자신은 중심을 잃은 영혼 없는 삶을 살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와 나의 마음을 알지 못하여 받은 상처는 다양하다. 부모는 부모의 말에 순종하던 어린 자녀가 커서 반항할 때 당황스럽고, 자녀가 학교 가기를 싫어하고 성적이 떨어지니 실망스럽다. 또한 학교에서 발생하는 자녀의 문제는 부모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자녀도 부모님과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 눈치를 보느라 고단하긴 마찬가지다. 또한 많은 젊은이들은 취업난과 결혼 문제, 부부 갈등 등으로 삶이 고달프다. 갈 곳 없는 노인들은 자신을 살펴 줄 이 하나 없는 가난하고 비참한 생의 끝자락을 한탄한다. 생활이 안정된 직장인조차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불확실한 퇴직 시기 때문에 불안해하곤 한다. 책은 상대와 자신의 마음을 알고 관계 개선을 실천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대인관계에서 발생한 갈등과 상처를 치유해 줄 것이다. 이제 영혼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하는 독자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
<저자소개>
박 종 팔 “나는 누군가를 꿈꾸게 하고, 그 꿈을 이루도록 돕고 싶다. 그 과정에서 깊은 상처가 있는 사람에게 위로하고, 감정 골이 깊은 사람에겐 관계를 회복하게 하고 싶다. 이 문제의식이 이 책을 쓰게 만들었다.” 스물아홉인 딸과 스물다섯과 스물한 살인 아들을 둔 평범한 아빠. 부모에게 말 못 할 고민을 해결해 주는 ‘삼촌’, 자식에게 말 못 할 고민을 해결해 주는 ‘어른’. 대학의 청춘들과 함께 앎과 꿈 그리고 아픔을 공유하며 행복감을 누리는 선생이다.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한서대학교 문학박사, Enoch University 상담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용인송담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진로상담협회에서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가정폭력상담소에서 부부 갈등이나 부모와 자녀 간 갈등에 대한 상담을, 역동상담연구소에서 우울증 및 상처받은 사람을 상담해 준다. 강원도 노인보호전문기관의 관장과 강원도인권위원 활동, 청솔종합복지관, 국민연금관리공단, 처인구청과 기흥구청, 노인대학, 강원도 부녀회 등에서 강의 및 자문하고 있다. 압구정고등학교 학교폭력대책위원, 대검중앙수사부 수사관, 법률사무소에서 이혼 상담을 해 주었다. 진로상담전문가, 청소년상담전문가, 가정폭력상담전문가, 사회복지사1급, 심리상담사2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저서는 『가족상담 및 치료』, 『사회복지시설 운영론』, 『사회복지법제론』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