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롱차(청차) ; 반발효차
다예사 수업시간에 배운 이론을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채엽-위조-做青(凉青,摇青)-살청-유념-건조
1.采叶 ; 잎은 다 자란 一心三叶를 기본으로 한다.

2。萎凋 : 위조시 반드시 햇볕 아래서 말려야 하며 이때 햇빛이 차 본래의 青草气를 없애주고
찻잎이 가지고 있는 다른 향기를 품어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2. 凉青 ;이렇게 햇빛에 말린 찻잎을 실내로 가져와서 20~25도의 온도의 실내 환경을 만든 후
건조를 시키면 실내 산소와 접촉하여 자연 발효를 함
3 ,摇青 ; 凉青을 끝낸 차를 넓적한 대나무 광주리 같은 곳에 옮겨 담고 흔들어 줌
이렇게 凉青,摇青을 반복하며 발효를 시키는 과정에서 시간을 적게 하면 경발효,
길게 하면 중발효 등으로 나누어 짐.
4. 시간이 흐르면서 동그랗던 차의 원형이 서로 부딪혀 부서지게 되고 그 손상된 잎의 가장자리는
산소와 접촉하여 쉽게 산화 반응을 일으켜 잎 가장자리가 갈색으로 변하게 됨. (氧化过程)
따라서 찻잎 가장자리가 부서진 것도 청차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5. 유념시에 찻잎의 형태가 결정되며 球形,半球形,条形등의 형태 등올 나타남
6. 건조시에는 수분을 최소 5% 이내로 하며 건조 이후에 줄기와 함께 있는 모차를
찻잎과 줄기를 분리하여 포장을 함
→ 
우롱차는 보통 일년에 4번 수확을 합니다.
춘차(春茶):4월말~5월중순
여름차(夏茶):6월말 ~ 7월중순
숙차(熟茶):8월 중순~9월초
가을차(秋茶):9월말~10월 중순
이 중에서 봄차를 제일로 치며 여름차와 숙차는 자극적인 맛을 지니고 있으며 쓴맛을 지니고 있고,
탕색은 선명한 녹색입니다. 가을차는 향기가 제일 높고 쓴맛도 적어서 많이 마시는 차이기도 합니다.
우롱차는 전통방식에 의하면 중발효에 속하여 탕색이나 잎이 황색을 띄어야 하지만,
신선한다는 느낌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찾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이유로 요즘엔 발효를 약하게 하여 초록색을 많이 띄게 만든다고 합니다.
원료: 4월말~5월(봄차), 6월~7월초(여름차), 8월초(숙차)의 다 자란 성숙한 잎을 사용
탕색: 경轻발효(青绿色) 중中발효(黄绿色) 중重발효(金黄色)
향기: 경轻발효(清新的花香) 중中발효(果香) 중重발효(熟果香)
맛: 果味,带微苦,回甘
성질: 温凉性,발효도가 클수록 따뜻한 성질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