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베어링과 휠 그리고 스페이서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작성된 것이며, 성능등은 논외로 합니다.
1. 휠의 선택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휠은 허브(프라스틱 부분)의 베어링 삽입구 에대한 지름차를 기준으로 608용 휠( 일반용, 스탠더드,또는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에 해당) 과 698용 휠( k2의 카탈리스트와 모드 lt 기종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688용 휠(최근에 마이크로 라고 표시된 휠)로 구분됩니다. 이들 분류는 근본적으로 어떤 치수의 베어링을 사용하는가 에 따른 분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허브의 내경이 608 휠은 지름이 22미리, 688 마이크로 휠은 16미리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2. 베어링의 선택
출발을 휠에서 했습니다만, 선택을 베어링에서 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겠지요. 또한 마찬가지로 608 베어링, 698 베어링, 688 베어링(편의상 작다는 의미에서 마이크로로 통칭)이 있습니다. 이들의 치수는 608베어링->8(내경)-22(외경)-7(폭) 688베어링->8(내경)-16(외경)-5(폭) 698베어링->8(내경)-19(외경)-6(폭)입니다. 베어링의 내경이 8미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외경이 상이한 관계로 그에 준하는 허브 구경을 가진 휠이 필요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한 폭의 상이로 인하여 다음에 언급하는 적합한 스페이서와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참고로 무게는 608베어링이 12g 내외 688 마이크로 베어링이 4g 내외로 608 대비 약 1/3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608베어링은 내부 볼수가 7개, 688베어링은 9개 입니다만 특수한 경우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3. 스페이서의 선택
스페이서는 1차적으로 인라인 기종별 엑슬의 지름이 선택 기준입니다. 엑슬 지름이 6미리인 경우 6미리 스페이서를, 8미리인 경우 8미리 스페이서와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2차적으로 베어링의 폭(두께)에 따라 일반용(608베어링용)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688마이크로용을 선택하실 것인가를 추가로 판단해야 합니다. 스페어서의 미세한 차이로 인하여 고가의 장비도 성능에 결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니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히 예민하게 선택하여야 하는 부분입니다.
사진에서 스페이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듯이 베어링을 지지하는 부분에 길이가 현저히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 조금 특수한 경우로 베어링과 프레임 사이에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라인 스케이트에서는 6미리 엑슬을 사용하지만 8미리 스페이서를 선택하셔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608베어링 사용 기종
** 가장 일반적이 조합입니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대부분의 피트니스급 모델, 어린이용등)
** 6미리 스페이서 사용: k2의 피트니스급 모델, 하이프노, 필라, 로체스의 대부분 기종, 국산 브랜드 제품 상당기종
** 8미리 스페이서 사용: k2의 트레이닝급 이상기종, 롤러브레이드, 살로먼, 울트라 휠즈 등에서 상당한 기종과 레이싱급의 대부분 기종
5. 688 마이크로 베어링 사용 기종
** 2002년 이후 트레이닝급 이상에 사용되고 있으며, 2003년 급속확산 추세에 입니다. 상대적으로 휠과 베어링이 고가여서 추가 유지비용이 발생합니다. 일부 608베어링 조합에서 688 베어링 조합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최근 추세의 변화입니다.
6. 608 조합 <==> 688 조합 변경시 고려사항
**.1차적으로 베어링 규격을 선택 (608 규격 베어링, 688 규격 베어링 선택)합니다.
* 가끔 오인하고 계신 아벡 숫자는 베어링의 외부 규격과는 전혀 무관하기 때문에 고려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2차로 선택한 베어링에 적합한 허브 규격을 가진 휠을 선택합니다.
* 이때도 휠에 표시되어있는 경도표시(A) 숫자는 무시하시면 됩니다.
**. 마지막으로 스페이스를 선택합니다.
* 엑슬의 지름에 따라 6미리, 8미리를 선택하고 베어링의 규격에 따라 608용, 688용을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페이스 생산회사에 따라 모양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양이 선택의 절대기준은 아닙니다.)
7. 예)K2 카탈리스트와 모드 lt에서의 조합 변경을 보겠습니다.
*. 위의 기종은 698베어링과 조합한 조금 특이한 기종들입니다.
** 카탈리스트의 기본 사양은 698 베어링, 698 휠, 698스페이서, 8미리 엑슬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들 조합을 608베어링 조합으로 변경하는 경우를 보면, 먼저 608 베어링이 선택 되었으니 다음으로 608휠을 엑슬의 지름이 8미리인 관계로 8미리 스페이서를 베어링이 608인 관계로 608 스페이서를 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즉 608 베어링, 608용 휠, 608 8미리 스페이서를 선택하여 조합 변경이 가능합니다. 동 기종에서 688 베어링, 688 휠, 688 8미리 스페이서로 변경도 물론 가능하겠지요.
** 다음은 모드 lt( 모드 6와 함께 탄생 배경이 참 궁금합니다)에서의 688 조합으로 변경하는 경우 입니다. 카탈리스트와 차이점은 6미리 엑슬을 사용한다는 것이지요. 해서 688베어링, 688휠, 688 6미리 스페이서의 조합으로 선택하시면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608베어링, 608휠, 608 6미리 스페이서로의 선택도 가능 하겠습니다.
**. 타 기종의 조합 변경도 이에 준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스페이서에서 언급한 베어링과 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보조기구(휠 스페이서?)나 라커링 등이 있는 경우 스페이서 선택은 좀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베어링 내륜의 미세한 두께 차이로 688 베어링 지원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 미처 언급하지 못한 휠 사이즈 선택에 대한 정보 공유를 부탁드리며, 카페에서 지원할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 미세한 부분까지도 정정의 손길 기다립니다.